바빌로니아 별자리와 천문전승 - 별자리 상세 3. 고귀한 신전의 상속자자리
고대 바빌로니아에서는 천구의 북극에 천상세계의 기둥이 있다고 믿었으며, 그 주변을 '고귀한 신전(Exalted Temple)'이라 불렀습니다.
이들에게 용자리 알파별 투반(Thuban)은 고귀한 신전을 표시하는 별이었습니다.
하지만 바빌로니아 점성술사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극축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여러 별 사이를 천천히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흐르면 고귀한 신전을 표시하는 임무가 투반에서 북극성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즉, 고귀한 신전의 상속자자리란 바로 '북극성'을 말합니다.
고귀한 신전의 상속자자리는 '물 이빌라 에 마흐(Mul Ibila E-mah)'로 표기합니다. |
![]() |
이 별에 대한 아카드 이름으로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
'자손', '상속자', '아들'을 의미하는 '이빌라' 는 두 개 표기가 조합하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첫 번째 표기는 '두무'라고 읽는 표기로서, 이 표기는 여성의 가슴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 표기의 일반적 의미는 '아이'입니다. 좀더 한정된 의미로는 '아들', '후손', '사내아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빌라의 두 번째 표기는 '우쉬' 또는 '니타'라고 읽습니다. 이 표기는 '남자의 성기', '남자다움', '남성', '사내다운'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에' 표기는 '집' 또는 '신전'을 의미합니다. 이 표기는 기둥이 많은 건물의 입구를 묘사한 것입니다. 영어에서 '집'은 '건물, '가족', '문중'을 의미하기도 하며, 좀더 넓은 의미로 '종족' 또는 '왕가'를 의미하기도 하죠. '마' 표기의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귀한, 최상의 고품질의, 높은 위치에 있는' 등을 의미합니다. 이상의 전체 표기를 조합하면 '고귀한 신전의 후손' 또는 '고귀한 신전의 상속자'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
바빌로니아 인들은 인간 세계의 극점 뿐 아니라 천상 세계의 극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춘분 및 추분점과 하지 및 동지점과 마찬가지로 천상 세계의 극점 역시 매 72년마다 1도 속도로 별 사이를 이동했습니다.
그래서 수천 년의 시간이 흐르면 주기적으로 새로운 북극성을 골라야 할 필요성이 생겨나죠.
바빌로니아 점성술사들은 위대한 시대의 표지인 극점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했을 겁니다.
오늘날의 점성술사들은 춘분점 이동을 들어 양자리 시대, 물고기자리 시대, 물병자리 시대 따위의 새로운 시대를 이야기하곤 하죠.
이는 그 옛날 바빌로니아 점성술사들의 믿음과 같은 방식입니다.
초기 청동기 시대에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이 있었던 밝은 별은 마차자리(the Wagon, 큰곰자리)의 손잡이를 구성하는 세 개 별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원전 2천년 기 중반까지 천구의 북극은 마차자리 객차 위로 이동했습니다.
그 이후에도 천구의 북극은 쉼없이 움직였고, 오늘날엔 하늘의 마차자리(the Wagon of Heaven, 작은곰자리) 손잡이 끝에 있는 북극성 가까이로 이동하였습니다.
물아핀(Mul-Apin)에서 북극성은 하늘의 마차자리 밧줄 위에 있는 별로 언급됩니다.
그래서 '매어진 멍에자리(the Hitched Yoke)'라 불린 별처럼, 고귀한 상속자자리는 하늘과 땅을 하나로 엮는 천상의 밧줄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하늘의 밧줄자리(the Ropes of Heaven)'에서 다시 언급할 것입니다.)
하늘의 마차자리는 세차 운동의 결과 천구의 북극이 이곳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이미 예측하고 만들어진 별자리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래서 이 사실을 알고 있었던 바빌로니아 점성술사들이 북극성을 '고귀한 신전의 상속자'라고 명명하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정황은 기원전 3천년 기 후반, 바빌로니아의 점성술사들이 세차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이것이 천상의 좌표계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알고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을 뒷받침합니다.
이를 고려했을 때,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천문 관측은 매우 이른 시기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전통이 수 세기 동안 이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세차 운동 자체가 오랜 시간동안의 관측이 누적되어 있어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동 경로 역시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
그림 1 : 아시리아와 바빌론의 왕위 계승자인 에사르하돈(Esarhaddon)과 두 아들 부조 (기원전 7세기 경) |
점성술에서 고귀한 신전의 상속자자리가 갖는 최고 성위로서의 성격은 이와 연관된 신을 통해 엿볼 수 있습니다.
물아핀에 등장하는 이 별자리의 주재신은 엔릴(Enlil)입니다.
엔릴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만신전 최고 신인 아누(Anu)의 적자입니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이 별자리와 관련된 치유 주문에서는 상속자의 정체를 엔릴의 장자로 보고 있습니다.
오! 고귀한 신전의 상속자시여.
엔릴의 장자시여.
당신은 산의 신전(에쿠르, E-kur)에서 내려오셨습니다.
당신은 마차를 타고 하늘의 한 가운데 서 계시나이다.
마지막으로 후기 바빌로니아 문서인 VR46은 이 별자리의 주재신을 '심판의 신'이라 기록하여 특정 신을 지목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심판의 신'이라는 호칭은 엔릴과 마르둑(Marduk)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호칭이죠.
길일을 기록한 자료에 따르면 아시리아의 왕은 길일로 간주되는 매달 10번째 날에 마차자리와 고귀한 신전의 상속자자리에 제물을 바쳐야 했습니다.
바빌로니아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이 글은 천문작가 Gavin White의 책으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별자리와 천문전승을 담은 에세이집 Babylonian Star Lore (ISBN-13 : 978-0955903748)를 번역한 것입니다.
2.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