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빌로니아 별자리와 천문전승 - 별자리 상세 20. 매어진 멍에자리
매어진 멍에자리(the Hitched Yoke)의 위치는 마차자리(the Wagon)와 관련된 점성술 기록을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두 개 마차자리는 신아시리아 문서에 두 개 요소 즉, 마차와 끌채로 구성된 것으로 묘사됩니다.
같은 문서에 특히 마차자리에 대해서는 '세 개 별이 끌채에 서 있는데, 밝은 별 하나가 가장 앞에, 나머지 두 개가 끌채에 나란히 서 있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 세 개 별 중 하나는 여우자리(the Fox)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물아핀(Mul-Apin)에 명시적으로 기록되어 있죠.
나머지 두 개 별은 논리적 추정이 가능한데 하나는 암양자리(the Ewe), 그리고 나머지 하나가 바로 '매어진 멍에자리(the Hitched Yoke)'입니다.
저는 암양자리가 덴데라 황도대(the Dendera Zodiac)에서 황소 앞다리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양으로 그려진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이는 암양자리를 마차의 몸통에 가장 가까운 별인 알요우트(Alioth, 큰곰자리 엡실론ε 별)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남는 별은 딱 하나죠.
바로 끌채에서 가장 끝에 있는 별, 큰곰자리 에타(η)별인 알카이드(Alkaid)입니다.
따라서 이 별이 매어진 멍에자리의 별이 됩니다.
그 위치 역시 멍에를 가축 등에 지울 수 있게 설치하는 바로 그 위치입니다.
(마차자리the Wagon 항목의 그림 1을 참고하세요.)
매어진 멍에자리는 수메르어로 '물 무-부-케쉬-다(Mul Mu-bu-keš-da)'로 표기합니다. |
![]() |
아카드어로는 '니루 라크수(niru raksu)'라고 읽습니다. 역시 '매어진 멍에'라는 뜻입니다. |
'무부(Mubu)'는 새싹 형태의 기호이자 음성 요소인 무(Mu)와 머리에 뿔이 난 뱀을 묘사한 부(Bu) 표기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수메르어 사전에서 이 단어와 관련한 어떤 정보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 다만 출처가 불확실한 자료 하나에서 이 단어가 '묶는다'는 뜻을 가진 동사 마(Ma)에서 파생되었다는 내용을 봤습니다. 하지만 이 내용을 확인할 자료도 더 이상 없었습니다. 그래서 마지막 수단으로 아카드어 '니루(niru)'를 확인해야 했습니다. 니루(niru)는 '멍에', '대들보', '상인방'을 의미하는 단어였습니다. '케쉬(Keš)'는 밧줄로 묶은 두 개 나무토막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 표기는 형용사로 '묶은', '동여 맨', '매어 놓은'을 의미합니다. 또한 동사로 사용되어 '묶다' 또는 '매어 두다'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간혹 이 별자리는 무-시르-케쉬-다(Mu-Sir-Keš-da)'로 읽히기도 했으며 아시리아학이 연구되던 초창기에는 '무-기드-사르-다(Mu-Gid-Sar-da)'로 읽히기도 했습니다. 이 두 개 발음은 똑같은 표기를 서로 다르게 읽은 결과일 뿐입니다. |
멍에는 자연스럽게 천상의 마차를 끄는 동력체를 묶는 도구로서의 상징을 갖습니다.
따라서 이 별자리가 천구의 회전을 표현하기 위한 별자리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런데 짐승이 끄는 이승의 마차와 달리 천상의 마차는 최고신 엔릴(Enlil)이 매어진 멍에자리를 이용하여 돌리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슈파자리Šupa를 참고하세요.)
신화적 상상 체계속에서 매어진 멍에자리를 비롯하여 이와 연계된 지점은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하늘의 밧줄이 묶여있는 매듭으로 형상화됩니다.
여기에 또다른 별자리 형상이 끼어들 것이라는 추측은 오히려 난해한 생각입니다.
때문에 천상의 밧줄의 형태와 기능은 '하늘의 밧줄자리(the Ropes of Heaven)'라는 독립적인 별자리로 더 자세히 설명됩니다.
한편 안타깝게도 매어진 멍에자리에 관련되어 완전한 형태로 전하는 예언은 없습니다.
다만 일부만 전하는 예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만약 매어진 멍에자리가 쟁기자리(the Plough)에 접근한다면...
이 주문에 대한 해석은 '금성이 수성에 접근한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만으로 알 수 있는 최소한의 사실은 매어진 멍에자리가 금성의 별칭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입니다.
물아핀에서는 매어진 멍에자리를 아누(Anu)의 별자리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만신전의 최고신으로서 아누는 천상의 밧줄과 밀접환 연관성을 가지고 있죠.
아누는 대개 최초의 신으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아누 숭배 사상이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습니다.
이는 초기 기록에 나타나는 혼동 때문입니다.
아누의 이름은 여덟가닥으로 퍼진 별 모양(𒀭)으로 표기됩니다.
문제는 이 표기가 동시에 '하늘'을 의미하기도 하고 '신'을 의미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이 표기가 '아누'로 불리기 시작했다는 증거는 기원전 3천년 기 중반에서부터 등장합니다.
이때야 비로소 각 신의 이름과 배우자 이름, 그 시종신의 이름이 기록된 문서가 등장하죠.
![]() |
그림 1 별 사이에 있는 거룩한 마차 |
바빌로니아 전통에서 아누의 배우자는 하늘의 여신 안투(Antu)입니다.
그런데 안투라는 이름은 아누(Anu)를 여성형으로 표현한 것일 뿐입니다.
아누와 안투는 모두 마차자리 별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위대한 아누의 별이 천상에 나타나자마자 위대한 안투가 마차자리에 등장한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 문구는 바빌로니아 천문전승이 갖는 일반원칙의 한 단면을 표현합니다.
바로 천상의 왕국을 장악하고 있는 주요 신인, 아누(Anu), 엔릴(Enlil), 엔키(Enki)와 그 배우자 여신들이 천구의 북극을 감싼 별자리 및 하늘의 밧줄자리와 특별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참고 별자리 : 암양자리(the Ewe), 여우자리(the Fox), 하늘의 밧줄자리(the Ropes of Heaven), 마차자리(the Wagon), 멍에자리(the Yoke)
바빌로니아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이 글은 천문작가 Gavin White의 책으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별자리와 천문전승을 담은 에세이집 Babylonian Star Lore (ISBN-13 : 978-0955903748)를 번역한 것입니다.
2. 별자리 이름이 현대 별자리 이름과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별자리는 '이탤릭체'로 표시하였습니다.
3.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