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별자리 이야기/BABYLONIAN STAR LORE

바빌로니아 별자리와 천문전승 - 별자리 상세 23. 무지개자리

다락방별지기 2025. 6. 19. 11:40

남부와 중부 지역에 이따금씩 폭우가 내리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메소포타미아는 집약적 농경을 뒷바침하기 충분한 비가 내리는 지역이 아닙니다.

지중해에서 만들어진 구름은 대체로 메소포타미아 북부와 서부에 비를 뿌립니다.

그래서 메소포타미아 대부분 지역은 이른바 비그늘(Rain Shadow, 강수량이 훨씬 적은 지역)에 속합니다. 

 

이러한 기후적 요인 때문에 다음과 같은 속담이 등장하였습니다. 

 

무지개의 이름은 '풍요의 날'이다. 

무지개는 남쪽에는 비를

북쪽에는 홍수를

동쪽에는 비를

서쪽에는 폐허를 가져온다. 

 

점성술에서 무지개는 대개 긍정적 요소로 다뤄집니다. 

 

만약 도시 위에 무지개가 뜨면

왕과 귀족과 그 도시는 안전할 것이다. 

그림 1 경계석에 새겨진 무지개자리와 말머리

 

비와 햇살이 만들어내는 징후로서의 무지개는 자연스럽게 비가 올 것임을 알리는 상징이자, 풍요로운 수확을 약속하는 전조입니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도 존재합니다. 

 

만약 달이 무지개 관을 쓰고 있다면

아다드는 그 땅의 곡물을 파괴하고 비가 올 것...

 

비와 폭풍의 신인 아다드(Adad)는 일반적으로 땅의 황폐화와 흉작을 예견하는 존재입니다. 

 

이처럼 무지개에는 비와 관개농업과 같은 긍정적 요소와 함께 파괴적 홍수와 폭풍과 같은 부정적 요소도 뒤섞여 있습니다. 

그래서 점성술 문서에는 무지개자리(the Rainbow)에 대해 '비가 되어 내리지 않는 비'라는 역설적 성격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아래 금언은 이를 반증해 줍니다. 

 

비구름이 잔뜩 낀 날 무지개가 뜨면

비는 더 이상 내리지 않는다.

 

아마도 이 예언은 무지개가 뜰 때 즈음에는 이미 많은 비가 내려버린 다음이라는 사실 때문에 생긴 것 같습니다. 

무지개자리는 '물 딩기 티르-안-나(Mul Dingir Tir-an-na)'로 표기됩니다.
무지개자리는 아카드어로 '만지아트(manziat)'라고 합니다.
'딩기(Dingir)' 표기는 신을 비롯한 신령스러운 존재의 이름 앞에 위치하여 이들의 신성을 표시합니다. 

'티르(Tir)'는 한 무리의 나무나 초목이 빽빽하게 우거진 지역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표기는 ', 작은 숲, 덤불' 등을 의미합니다. 
한편 이 표기는 ''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티르-안-나'의 의미가 '하늘의 활'로 이해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수메르어 '안-나(an-na)'는 '하늘의' 라는 뜻입니다. 
이 표기는 별자리 이름에 종종 등장합니다. 

 

점성술에서 무지개자리는 종종 수메르의 미의 여신이자 금성의 여신인 인안나(Inanna)와 엘람의 무지개 여신인 만자트(Manzat)를 상징합니다. 

 

무지개자리가 인안나 여신과 연관성이 있는 것은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안나는 '하늘의 여왕'일 뿐만 아니라 '활의 여신'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전쟁의 상징으로서, 그리고 풍요의 상징으로서의 무지개는 '하늘의 활(the Bow of Heaven)'이라 불립니다. 

 

한편 무지개자리는 '닌우르타(Ninurta)의 왕관'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닌우르타는 천둥과 비의 신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기도문이 존재합니다.

 

닌우르타 신이시여.

당신의 왕관은 무지개이며

당신의 얼굴은 번쩍이는 번개와 같나이다.

 

물아핀(Mul-Apin)에서 무지개자리는 수사슴자리(the Stag)의 가슴을 장식하는 희미한 별떼로 묘사됩니다. 

'희미한 별떼(dusky stars)'란 성운이나 성단을 묘사할 때 일관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또다른 자료에서는 무지개자리를 말자리(the Horse)와 밀접하게 연계시키기도 합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하늘의 무지개는 안드로메다 은하(M31)를 일컫는 말이었다고 결론내릴 수 있습니다. 

 

바빌로니아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이 글은 천문작가 Gavin White의 책으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별자리와 천문전승을 담은 에세이집 Babylonian Star Lore (ISBN-13 : 978-0955903748)를 번역한 것입니다. 
2. 별자리 이름이 현대 별자리 이름과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별자리는 '이탤릭체'로 표시하였습니다.
3.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