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조성운

2008. 5. 8. 19:253. 천문뉴스/ESA 허블

 

 

이 사진은 백조 성운이라 불리는 M17의 중심부를 촬영한 것으로
새로 탄생한 어린 별들이 차갑고 어두운 거대한 수소구름으로 구성된 자신들의 요람과 찬란한 색깔로 불타오르고 있는 가스들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니다.

 

이 멋진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 ACS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것이다.

 

사진에 나타난 지역은 ACS가 촬영한 지역의 60% 정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너비는 우리 태양계 너비의 3500배를 초과하는 너비이다.

 

이 성운은 궁수자리에 위치하며 지구로부터 5500광년 떨어져 있다.

 

우리에게 유명하게 알려진 오리온 성운과 마찬가지로 백조 성운 역시 갓 태어난 거대한 별들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복사에 의해 빛을 받고 있다.
사진의 오른쪽 상단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어 이 사진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이 별들은 그 하나하나가 태양보다 30배 이상 무거우며, 6배 이상 뜨거운 온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 별로부터 방출되는 강력한 복사선으로 인해 새로운 별을 형성시키고 있는 차가운 가스가 증발되거나 깍여나가고 있다.이처럼 신랄한 공격을 받고 있는 가스구름은 수소, 질소, 산소, 황 원자가 활성화되면서주로 파란색, 초록색, 붉은색의 빛을 방출하게 된다.

 

특히 오른쪽 중간에 장미처럼 생긴 구조물은 수소와 황으로부터 활성화된 원자가 방출해낸 붉은 빛으로 구성된 것이다.

 

갓 태어난 별이 주위를 둘러싼 가스구름을 가열하면서 이 별들은 더더욱 고밀도의 가스 뭉치에 노출이 되고 결국 하나의 어엿한 별로서 성장을 하게 된다.

 

고밀도로 뭉쳐진 가스 뭉치들은 넓게 퍼져 있는 구름들보다 복사선에 대한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이들은 불타오르는 가스의 바다 속에서 마치 구름에 부조된 조각처럼 또는 외따로 떨어진 섬처럼 보인다.

 

이 뭉치들 중 하나가 중심부근 밝은 지역에 보이는데 이 구조물의 크기는 태양계의 10배에 달한다.그리고 또 하나의 덩어리가 사진의 왼쪽 끝에 보이는데 그 형태가 마치 오리온 성운의 유명한 말머리 은하를 닮았다.

 

허블 ACS가 이곳을 관측한 것은 2002년 4월 1일과 2일이었다.사진의 색채는 청색, 근적외선, 알파 수소 그리고 이중 이온 산소의 4개 필터를 통해 얻어진 이미지를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html/heic0206d.html

 

 

 

원문>

A watercolour fantasyland? No. It's actually a photograph of the centre of the Swan Nebula, or M17, a hotbed of newly born stars wrapped in colourful blankets of glowing gas and cradled in an enormous cold, dark hydrogen cloud. This stunning picture was taken by the newly installed Advanced Camera for Surveys (ACS) aboard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The region of the nebula shown in this picture is about 3500 times wider than our Solar System. The area also represents about 60 percent of the total view captured by ACS. The nebula resides 5500 light-years away in the constellation Sagittarius.

Like its famous cousin in Orion, the Swan Nebula is illuminated by ultraviolet radiation from young, massive stars – each about six times hotter and 30 times more massive than the Sun - located just beyond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image. The powerful radiation from these stars evaporates and erodes the dense cloud of cold gas within which the stars formed. The blistered walls of the hollow cloud shine primarily in the blue, green, and red light emitted by excited atoms of hydrogen, nitrogen, oxygen, and sulphur. Particularly striking is the rose-like feature, seen to the right of centre, which glows in the red light emitted by hydrogen and sulphur.

As the infant stars evaporate the surrounding cloud, they expose dense pockets of gas that may contain developing stars. Because these dense pockets are more resistant to the withering radiation than the surrounding cloud, they appear as sculptures in the walls of the cloud or as isolated islands in a sea of glowing gas. one isolated pocket is seen at the centre of the brightest region of the nebula and is about 10 times larger than our Solar System. Other dense pockets of gas have formed the remarkable feature jutting inward from the left edge of the image, which resembles the famous Horsehead Nebula in Orion.

The ACS made this observation on 1 and 2 April 2002. The colour image is constructed from four separate images taken in these filters: blue, near infrared, hydrogen alpha, and doubly ionised oxygen.

Image credit: NASA, the ACS Science Team (H. Ford, G. Illingworth, M. Clampin, G. Hartig, T. Allen, K. Anderson, F. Bartko, N. Benitez, J. Blakeslee, R. Bouwens, T. Broadhurst, R. Brown, C. Burrows, D. Campbell, E. Cheng, N. Cross, P. Feldman, M. Franx, D. Golimowski, C. Gronwall, R. Kimble, J. Krist, M. Lesser, D. Magee, A. Martel, W. J. McCann, G. Meurer, G. Miley, M. Postman, P. Rosati, M. Sirianni, W. Sparks, P. Sullivan, H. Tran, Z. Tsvetanov, R. White, and R. Woodruff) and ESA

Credit: NASA, Holland Ford (JHU), the ACS Science Team and ESA

 

 

'3. 천문뉴스 > ESA 허블' 카테고리의 다른 글

M27  (0) 2008.05.14
IC 4406  (0) 2008.05.11
NGC 281의 Bok Globule  (0) 2008.04.24
N11B  (0) 2008.04.12
솜브레로 은하(Sombrero Galaxy, M104)  (0) 2008.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