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piter 81

목성의 깊은 대기를 관측하다

CREDITS: NASA, ESA, and M.H. Wong (UC Berkeley) and team 사진 1> 목성의 대적반을 담은 이 사진들은 2018년 4월 1일 허블우주망원경과 제미니천문대의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두 개의 관측 설비로 거의 동시에 수집된 데이터를 합쳐 대적반에 보이는 검은 구조물들이 특정 물질 덩어리가 아니라 구멍이라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상단 왼쪽과 하단 왼쪽 사진 :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가시광선 사진으로서 대적반 내에 태양빛을 반사해 내고 있는 구름들 사이로 검은 구조물들이 보인다. 상단 우측 : 동일한 지역을 제미니천문대에서 촬영한 열적외선 사진으로 적외선 에너지로 방출되고 있는 열을 볼 수 있다. 구름이 겹쳐진 차가운 지역은 검게 ..

목성은 얼마나 많은 물을 가지고 있을까?

사진 1> 주노 우주선에 탑재된 주노캠으로 촬영된 이 사진은 2017년 9월 1일 목성의 적도 남쪽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목성의 극점들이 좌, 우로 위치하는 방향으로 촬영되었다. NASA 주노 미션에서 목성 대기에 있는 물의 양에 관한 첫번째 탐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네이처 아스트로노미(the journal Nature Astronomy)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주노는 목성의 적도 위치에서 탐사를 수행했으며 목성 대기를 구성하는 분자의 0.25%가 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이는 태양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1995년, 갈릴레오 미션사무국에서는 목성이 태양에 비하면 극단적으로 건조한 상태일 것이라고 추정한 바 있다. 이번 발견은 갈릴레오 미션의 발표 이후 목성 대기의 물 ..

허블이 촬영한 목성과 수축되고 있는 대적반

목성의 대적반은 어떻게 변하게 될까?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행성인 목성의 질량은 지구 질량의 320배나 된다. 목성은 또한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하고 가장 오랫동안 지속된 폭풍인 대적반을 품고 있기도 하다. 이 대적반이 사진 왼쪽에 보인다. 대적반은 너무나 거대해서 이미 이 폭풍은 잦아들고 있는 상태임에도 지구를 충분히 삼킬 수 있는 크기이다. 150년 전의 역사적 기록과 비교해보면 현재 이 폭풍의 크기는 당시의 1/3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ASA의 외행성 대기 지속관측 프로그램 (Outer Planets Atmospheres Legacy, 이하 OPAL)은 최근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이 폭풍을 감시하고 있다. 이 사진은 2016년 촬영된 것이며 붉은 빛을 좀더 확실하게 나타내도록 ..

적외선으로 담아낸 목성 북극 비행영상

Animation Credit: NASA, JPL-Caltech, SwRI, ASI, INAF, JIRAM 목성의 북극을 비행하는 것은 어떤 모습일까? 이 동영상은 NASA의 주노 우주선이 촬영한 실제 사진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으로 그 답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목성 북극은 어둠 속에 잠겨 있다. 따라서 이 동영상은 목성에서 복사되는 적외선을 담아낸 것이다. 동영상에서 가장 온도가 뜨거운 곳이 가장 밝게 빛나고 있다. 동영상이 시작되면 주노 우주선은 이 거대한 행성을 확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곧이어 목성의 북극을 장식하고 있는 8개의 회오리폭풍 중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하나씩 하나씩, 목성 북극을 휘감고 있는 여덟게 회오리 폭풍이 모두 등장한다. 각 폭풍 하나하나는 지구의 모든 대륙과 ..

목성을 그려내다.

붓의 터치와 같은 목성의 대기 띠와 소용돌이 폭풍들이 행성후기인상파의 작품을 연출하고 있다. 이 사진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는 주노 우주선이 주노캠으로 촬영한 사진들이다. 디지털 캔바스에 색채를 입히기 위해 선택된 밝고 어두운 톤의 색깔들에 유화기법의 소프트웨어 필터가 적용되었다. 사진이 촬영된 것은 지난 2017년 12월 16일, 주노 우주선이 10번째 목성 근접비행을 수행하고 있을 때였다. 당신 주노우주선은 목성 북반구의 상층 구름 위 13,000 킬로미터 상공을 지나고 있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8년 4월 7일 자) https://apod.nasa.gov/apod/ap180407.html 참고 : 주노 우주선의 다양한 탐사자료 등, 목성에 대한 각종 포스팅은 아래 링크..

목성 북극의 소용돌이 폭풍들

목성 북극의 소용돌이 폭풍을 담고 있는 이 멋진 사진을 만드는데는 주노 우주선에 탑재된 목성적외선오로라맵퍼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목성구름 상층부의 열복사를 측정하는 이 적외선 관측기구들은 관측대상 반구를 비추는 태양빛에 전혀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 관측기구들을 통해 8개의 소용돌이 구조가 모습을 드러냈다. 각각의 소용돌이의 폭은 약 4천 킬로미터인데 이 거대한 행성의 지리적 북극점에서 약간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목성의 남극을 바라본 유사한 데이터는 남극 주위를 감싸고 있는 5개의 소용돌이 폭풍을 보여주었다. 남극에서 촬영된 소용돌이 폭풍은 북극의 폭풍보다 약간 더 규모가 컸다. 카시니호의 데이터는 거대한 가스 행성인 토성의 북극과 남극이 각각 하나의 거대한 소용돌이 폭풍인 것을 보여준 바 있다..

목성을 통과하며

Video Credit & License: NASA, Juno, SwRI, MSSS, Gerald Eichstadt; Music: Moonlight Sonata (Ludwig van Beethoven) 여기! 목성이 다가온다. 주노 호는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이 행성을 큰 이심율의 타원형 궤도로 53일째 비행하고 있다. 이 동영상은 주노 우주선이 목성궤도에 도착한 2016년 중반 이후 11번째 최근접 통과를 하는 동안 촬영된 것이다. 인위적으로 색깔을 과장하여 처리한 이 동영상은 주노캠으로 촬영한 총 36장의 사진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4시간 동안의 분량과 형태 변화를 담고 있다. 동영상은 주노우주선이 목성의 북쪽에 다가가면서 떠오르는 목성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주노 우주선이 목성에 다가가면서 - 목성 ..

적외선으로 바라본 목성

적외선으로 바라본 목성은 약간 다르게 보인다. 목성의 구름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주노 우주선이 바라본 특정 지역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허블우주망원경은 목성 전체의 모습을 주기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목성의 색채는 자외선이나 적외선 대역과 같은 사람의 가시범위를 넘어서는 대역에서도 모니터링되고 있다. 2016년 촬영된 이 사진은 근적외선 영역의 3개 대역을 담은 것으로서 각각의 대역은 특정 색깔로 표시되어 있다. 목성은 적외선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반사되는 태양빛의 양이 명확히 구분되며 구름의 높이 차이와 위도별로 밝기가 불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익숙한 구조들도 상당히 많이 보인다. 적도 부근으로는 목성을 휘감고 있는 밝은 부분과 어두운 띠가 보..

목성으로 뛰어들다.

Image Credit: NASA, JPL-Caltech, SwRI, MSSS, Gerald Eichstadt, Justin Cowart 이 동영상과 함께 태양계 최대 행성인 목성의 상층 대기로 뛰어들어가보라. 이 놀라운 동영상은 현재 목성궤도에 있는 주노 우주선에 탑재된 주노캠과 마이크로파 복사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동영상은 남반구 목성구름 상층 위 3,000 킬로미터 상공에서 시작되며 왼쪽에 나타난 고도표를 통해 동영상의 고도를 추적해 볼 수 있다. 고도가 낮아질수록 온도는 증가하고 목성의 그 유명한 대적반에 깊숙히 들어갈수록 온도는 역시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주노는 태양계 최대 폭풍인 이 대적반에 대해 깊이 300킬로미터 지점까지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지구의 경우 조사..

주노 우주선이 촬영한 목성의 거대 폭풍

목성의 어떤 폭풍들은 대단히 복잡한 양상을 보여준다. 지난달 말 NASA의 주노 우주선이 소용돌이 치고 있는 폭풍 하나를 촬영하였다. 이 사진은 3만 킬로의 폭을 담고 있다. 이 폭풍 하나의 크기가 거의 지구만한 것이다. 이 폭풍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주로 암모니아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밝은 색의 상승 구름이 포함된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밝게 보이는 이 구름들은 가장 높이 자리잡고 있으며 심지어는 오른쪽으로 그림자까지 드리우고 있다. 주노는 향후 몇 년동안 목성궤도를 돌며 탐사를 계속할 것이다. 주노 탐사선이 보내온 데이터를 통해 목성 대기에 물이 얼마나 분포하는지를 알게 될 것이며 이 환상적인 구름 아래 고체 표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