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lar System 466

태양계의 초상화

Image Credit: Voyager Project, NASA 25년전 발렌타인 데이는 태양으로부터 64억 킬로미터 거리를 항해중이던 보이저 1호가 뒤를 돌아보며 처음으로 태양계 가족들의 초상을 담아냈던 마지막 순간이었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사진이 황도면 32도 상공에서 바라본 60장의 모자이크 사진이다. 보이저호가 광대역 카메라로 담아낸 이 사진들은 왼쪽으로 내태양계의 행성들이 보이고, 태양계에서 가장 외곽에 위치하고 있는 오른쪽의 거대가스행성인 해왕성까지 이어져 있다. 사진이 촬영될 당시 금성과 지구, 목성과 토성, 천왕성과 해왕성의 위치는 약어로 표현되어 있으며 태양은 사진들이 틀을 짜고 있는 중심 부근에 밝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행성을 담고 있는 네모 상자의 사진은 협대역카메라로 촬..

보이저 1호가 촬영한 목성의 대적반

목성의 대적반은 어떻게 될까? 1930년대 이래로 크기의 감소가 측정된 이래 목성의 대적반의 크기는 최근 몇년 새에 크기의 감소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지구보다 훨씬 더 큰 태풍이 만들어낸 대적반의 크기는 최소한 망원경으로 관측가능한 크기를 유지해왔다. 다른 대부분의 천문학적 현상들과 마찬가지로 대적반 역시 전혀 예측되지도, 그리고, 발견된 후 즉각적으로 이해되지도 않은 현상이다. 비록 대적반에 삼켜지고 있는 작은 소용돌이들이 일정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거대한 폭풍에 대한 보다 전반적인 이해는 여전히 연구과제로 남아 있으며, 아마도 그 결과는 우리 지구의 기상현상에 대해 보다 더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줄지도 모른다. 이 사진은 1979년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사진을 디지털 강화작업..

보이저가 바라본 해왕성

보이저 2호는 외행성계를 항해하면서 1989년 8월 25일 해왕성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다. 보이저 2호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이 얼음 행성을 방문한 유일한 우주선으로 남아 있다.   보이저 2호가 해왕성에 가장 가까이 근접한 때와 이후 며칠동안 촬영한 데이터를 근거로 만들어진 이 영감어린 사진에는 어둠에 잠겨있는 해왕성과 해왕성의 가장 거대한 위성인 트리톤, 그리고 희미한 고리가 함께 담겨 있다. 해왕성 궤도를 막 벗어났을 때, 보이저 2호가 태양을 향해 카메라를 돌리면서 태양빛을 반사해내고 있는 초승달 모양의 해왕성과 트리톤을 촬영하였다.해왕성의 남극을 휘감아 돌고 있는 새털구름과 어두운 띠가 남극 자체의 소용돌이 구름들과 함께 보인다. 이 합성사진에서 비록 가장 희미한 부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긴..

Mt. Remarkable

큐리오시티호가 가로질러온 화성의 이 지형은 무엇일까? 리마커블 산(Mount Remarkable)이라 명명된, 큐리오시티호가 우연히 맞닥드린 이 5미터 높이의 흙무더기는, 큐리오시티호가 최종적으로 도착하게될 5.5킬로미터 높이의 샤프 산을 향하여 여행을 계속하던 중 만나게 되었다.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사암의 밀도를 확신할 수 없어, 지상에 위치한 큐리오시티 운용팀은 리마커블 산의 조사를 위해 주변 암석을 뚫어보도록 큐리오시티호에 지시했다. 전적으로 가능하게도, 고밀도의 사암을 만들어내는데 포함되어 있는 물은 이 행성이 과거에 생명체가 살만했을지를 알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게일 크레이터의 중심부에 특이하게 솟아오른 샤프산은 기저부에서 봉우리에 이르기까지 지구의 에버레스트산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

브리즈번에 해와 달이 질때

호주 퀸스랜드의 남동쪽 모서리에 자리잡은 브리즈번 하늘에서 4월 29일 태양과 상현달이 만났다. 이들이 하늘에서 정렬해 서면서 2014년의 첫번째 일식이 부분일식으로 목격되었다. 이 드라마틱한 합성 사진은 망원렌즈와 태양필터를 부착하여 5분 간격으로 촬영한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 서쪽 지평선으로 다가서면 일식이 진행됨에 따라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구름들을 통해 나오는 어스름한 빛줄기가 그림자 진 달과 함께 어우러졌다. 브리즈번에서는 일식 최대치에 태양이 25%정도 가려졌으며 이는 해가지자마자 연출되었다. 남극대륙의 외진 곳 일부에서만 달의 태양을 완전히 가리면서 테두리로 얇은 불의 고리가 나타나는 짧은 금환일식을 볼 수 있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4년 5월 1일 자) http:..

부분일식의 일몰

Image Credit & Copyright: Andrew Wall 이 지는 해를 자세히 보면 뭔가 매우 이상한 점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태양의 왼쪽으로는 날고 있는 새가 보인다. 이것은 전혀 이상하지 않은 풍경이다. 태양의 아래쪽으로는 어두워진 바다가 보이고, 중간을 가린 검은 구름들이 보인다. 이들 역시 이상한 광경은 아니다. 정말 이상한 것은 태양 상단 오른쪽의 한 부분이 가려져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구름에 의해 가려진 것이 아니라 달에 의해 가려진 것이다. 비록 많은 지역에서 구름에 가려져 보이지 않긴 했지만 어제 달이 태양의 전면을 지나는 모습이 호주에서 관측되었다. 이 부분 일식은 해질녁에 간간이 목격되었다. 이 사진은 어제 호주 남부 애들레이드의 서쪽 수평선을 바라보면 촬영된 것이다. 일..

붉은 달과 초록색 빛줄기

이 장면은 공상과학영화의 특수효과가 아니다. 초록색의 빛줄기와 붉은 빛을 띤 달 원반은 실제 발생한 것으로서 4월 15일 이른 아침에 촬영된 것이다. 물론 붉은 빛의 달 원반은 이번 주 발생한 개기월식동안 촬영된 사진이라고 쉽게 설명할 수 있다. 그림자속에 잠겨드는 월식동안의 달은, 달의 입장에서 봤을 때,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행성 지구의 모서리를 통과한 일출과 일몰의 빛을 받아 희미한 붉은 빛을 반사해 내는 것이다. 초록색 빛줄기는 사실 레이저이다. 뉴멕시코주 남부, 아파치 포인트 천문대의 3.5미터 망원경에서 쏘아올린 이 빛줄기는 강력한 레이저 빛을 통해 지구 대기의 어른거리는 정도를 알려주고 있다. 이 레이저의 목표물은 1971년 아폴로 15호가 달에 남기고 온 반사체이다. 여기에 반사되어 온 ..

스피카, 화성, 월식의 달

붉은 빛이 도는 아름다운 달이 4월 15일 밤하늘을 미끄러져가며 한 시간여동안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잠겨들었다. 이는 올해 들어 첫 번째 개기월식이었으며 지구의 서반구 여러 지역에서 관측되었다. 카리브해 바바도스 섬에서 바라본 어스름한 달의 원반이, 다채로운 하늘의 풍경을 담은 이 사진에서 개기월식이 발생하는 동안 촬영되었다. 붉은 빛이 감도는 달이 처녀자리 알파별인 푸른색 별 스피카와 함께 멋지게 대조를 이루며 2도 정도의 거리를 유지한채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달의 오른쪽으로 10도 정도 떨어진 곳에는 스피카보다 더 밝게 빛나는 화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와 '충' 위치를 지나고 있다. 이 행성의 붉은 빛이 마치 월식을 맞고 있는 달의 빛에 대한 메아리인듯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

푸른 빛과 황금 빛이 어우러진 토성

왜 토성은 부분적으로 파란색을 띨까? 이 사진은 인간이 토성에 가까이 다가선다면 보게될 천연색을 최대한 살린 사진이다. 사진은 지금도 토성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카시니호에 의해 2006년 촬영되었다. 사진에서 토성의 웅장한 고리는 거의 수직으로 도열하여 얇은 선처럼 보인다. 이 고리는 그 복잡한 구조를 왼쪽에 그림자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수증기를 뿜어내고 있는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의 지름은 고작 500킬로미터밖에 되지 않는데 사진에서는 마치 토성고리평면에 부딪힌듯 보인다. 토성의 북반구가 부분적으로 파란색을 띄는 것은 지구의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지구와 토성 모두에서 구름이 없는 곳의 분자들은 붉은색보다는 파란색을 보다 더 산란시키게 된다. 그러나 토성의 구름속을 좀더 깊숙이 들여..

2014년 충에 다가서는 화성

오늘밤 화성은 지구의 밤하늘에서 충 위치에 있는 처녀자리 은하단을 통과하며 충(4월 8일)과 지구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4월 14일)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망원경으로 화성을 바라보기에 최적의 기간이 된다. 4월 3일 촬영된 이 사진처럼 말이다. 이 또렷한 고해상도 사진은 브라질 아시스에서 16인치 구경의 망원경과 초고속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것이다. 사진 왼쪽 상단이 화성의 북극이다. 또한 사진에는 하얀색의 산악지형에 낀 구름들도 보인다. 이 구름들은 화성에 도열해선 화산 봉우리 위 차가운 대기에 수증기 구름이 몰리면서 발생한 것이다. 화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때와 충에 위치하는 때는 지구 및 화성의 타원형 공전궤도 때문에 미세한 차이를 보인다. 당신이 소지한 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