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JPL Photo Journal 205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작고 독특한 소행성을 추적하다.

이 뉴스는 2014년 6월 19일에 발표된 뉴스입니다. 2020년 1월,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https://solarsystem.nasa.gov)사이트에서 발표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중 하나로 이 뉴스가 선정되어 오래된 내용이지만 이곳에 상세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역자 주) Image credit: NASA/JPL-Caltech/Northern Arizona University/SAO 사진 1> 이 사진은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2014년 2월, 20시간 이상에 걸쳐 촬영한 2011 MD 소행성의 모습이다. 너무나 작은 소행성의 희미한 신호를 포착하기 위해 적외선에서 오랜동안의 관측이 필요했다. 천문학자들이 스피처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제공하는 우리은하 미리내의 360도 영상

이 뉴스는 2014년 3월 20일에 발표된 뉴스입니다. 2020년 1월,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https://solarsystem.nasa.gov)사이트에서 발표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중 하나로 이 뉴스가 선정되어 오래된 내용이지만 이곳에 상세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역자 주) NASA/JPL-Caltech/University of Wisconsin 사진 1> 청명하고 어두운 밤에 미리내를 바라보면 머리위로 아치를 그리고 있는 밝은 별의 띠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 태양계가 자리잡고 있는 우리은하 미리내의 평단면이다. 우리은하 미리내 여행이 아주 쉬워졌다. 캐나다 벤쿠버 2014 테드액티브 컨버런스에서 줌기능을 갖춘 ..

스피처 우주망원경과 딥임펙트호가 혜성 수프를 위한 레시피를 구축하다.

이 뉴스는 2005년 7월에 발표된 뉴스입니다. 2020년 1월,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https://solarsystem.nasa.gov)사이트에서 발표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중 하나로 이 뉴스가 선정되어 오래된 내용이지만 이곳에 상세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역자 주) 사진 1> 배고픈 혜성을 위한 차림상? 천문학자들이 스피처우주망원경과 딥임펙트 미션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혜성 "수프"를 만들기 위한 재료들을 모아봤다. 혜성 "수프"란 우리 태양계에 있는 행성이나 혜성을 비롯한 여러 천체들을 만드는 원초적 재료들을 말한다. 2005년 7월 4일, 딥임펙트 호가 템펠 1 혜성에 성공적으로 충돌하였다. 이때 혜성에서 우리 태양계의 ..

토성의 가장 거대한 고리를 발견하다.

이 뉴스는 11년 전인 2009년 10월에 발표된 뉴스입니다. 2020년 1월,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solarsystem.nasa.gov)사이트에서 발표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 뉴스에서 이 뉴스가 첫 번째 뉴스로 꼽혀 오래된 내용이지만 이곳에 상세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역자 주) Image credit: NASA/JPL-Caltech/Keck 그림 1> 이 그림은 2009년 10월 7일 발표된 토성의 새로운 고리를 그린 상상화이다. 이 고리는 토성의 여러 고리들 중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이 고리는 스피처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다. NASA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통해 토성 주위를 휘감고 있는 거대한 고리가 ..

고대 화성 에리다니아 분지의 지질학적 모델

이 도표에는 화성 남반구의 에리다니아 분지에서 30억년 전 해저열수작용에 의해 형성된 퇴적물의 기원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다. 약 450킬로미터 길이의 지형을 담기 위해 지형도는 과장되어 표현되었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바다의 예측치를 표현한 것인데 이 고대의 바다는 얼음으로 뒤덮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점토성분이 많이 존재하는 두꺼운 퇴적물(초록색)은 해저화산물질의 열수작용에 의해 변질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해저면의 순환 표시는 철과 마그네슘 이온이 규산염 및 황화물, 탄산염등과 상호반응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깊숙한 곳의 균열부는 맨틀로부터 마그마가 솟아오르는 작용을 촉진시켰을 수도 있다. 염화퇴적물들은 분지 높은 곳에서부터 바닷물이 기화되면서 형성되었다. 이 도표는 네..

토성의 아름다운 소용돌이들

NASA 카시니호가 미묘하고 다양한 색감의 구름이 두르고 있고 토성의 북반구를 바라보고 있다. 하단 왼쪽으로는 밤과 낮의 경계가 보인다. 태양빛은 이 주야경계선을 따라 낮은 각도로 들어오고 있고 이곳에서 상층 대기의 수직 구조가 확연히 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좀더 높은 구름의 그림자가 아랫쪽으로 드리워진 모습을 만들어내며 몇몇 수직 구조가 명확하게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카시니호는 삼원색 분광 필터를 이용하여 이 장면을 촬영하였고, 그 결과 데이터가 자연색을 갖춘 이 사진으로 합성되었다. 사진이 촬영된 때는 2017년 8월 31일이며 사진을 촬영할 당시 토성까지의 거리는 110만 킬로미터였다. 사진의 해상도는 픽셀당 6킬로미터이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

집으로부터 너무나 먼 그곳.

이 장면은 카시니호가 토성과 주요 고리들을 멀리서 한 화면으로 잡은 마지막 사진 중 하나가 되었다. 지난 13년 동안 토성계는 카시니호의 집이나 마찬가지였다. 이제 그 여정이 거의 끝에 다다랐다. 카시니호가 토성과 함께 한 시간은 토성의 1년 중 거의 반 정도에 해당한다. 이 여정 역시 이제 끝에 다다랐다. 카시니호는 연장된 임무기간으로 인해 토성과 토성의 달들, 토성의 고리와 자기권 등에 나타나는 오랜 기간의 변화 양상을 관측할 수 있었다. 그저 스쳐지나가는 임무였다면 이러한 것들은 결코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카시니호가 토성에 다다랐던 2004년에 사진에 보이는 토성의 북반구는 어둠에 잠겨 있었고 겨울에서 벗어나고 있었던 때였다. (참고 : https://photojournal.jpl.nasa.go..

주노의 8번째 목성 근접 비행

인위적으로 색채를 과장하여 표현한 이 사진들은 공전궤도상에서 8번째 근접통과를 수행중인 NASA 주노 우주선이 목성에 다가서면서 주노캠을 이용하여 촬영한 것이다. 사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각각 한국시간 기준 2017년 9월 2일 오전 7시 3분에서 7시 11분 사이에 촬영되었다. 사진이 촬영될 당시 주노 우주선은 목성 최상층 구름으로부터 12,143킬로미터 및 22,908킬로미터 사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당시 위도는 -28.5406도에서 -44.4912도 사이였다. 사진에는 흥미로운 지역들인 "달마시안 존(Dalmatian Zone)/오딘의 눈", "다크 아이(Dark Eye) / 에스티비 고스티 이스트앤드(STB Ghost East End)", "목성에서 가장 멋진 곳(Coolest Place ..

목성 북극의 오로라

이 영상은 2016년 12월 11일 주노 우주선이 자외선화상화분광기(Ultraviolet Imaging Spectrometer, UVS) 필터로 담아낸 목성 북극의 오로라 사진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때는 주노우주선이 목성의 양 극을 통과하며 적도쪽으로 방향을 옮기던 때였다. 주노 우주선은 목성의 양 극지역을 초속 50킬로미터의 속도로 통과하였다. 이는 시속 16만 킬로미터에 해당하는 속도로서 고작 몇 초만에 오로라가 생성되고 있는 지역을 통과했다. 이러한 수치는 주노 우주선의 과학장비로 이 장면을 포착하는 것이 매우 도전적인 과제였음을 말해준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Photo Journal https://photojournal..

멜라스 카스마(Melas Chasma)의 황삼염 혼합층

NASA 화성궤도탐사위성(Mars Reconnaissance Orbiter, 이하 MRO)이 촬영한 이 사진에 담긴 밝은 톤의 황산염 퇴적물은 서로 다른 수산화 현상을 겪은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이곳의 어떤 층들은 물을 적게 포함하고 있는 황산염(1수화물 황산염(monohydrated sulfates)으로 알려져 있음) 층이며 어떤 층들을 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황산염(다수화물 황산염(polyhydrated sulfates)이라 불린다) 층이다. 물의 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황산염이 퇴적되는 동안 물에 의한 화학적 영향의 변동을 반영한 것일 수도 있고 수산화 상태의 감소의 원인이 되는 열이나 압력에 의해 특정 층에서 물이 빠져나갈 때 황산염층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화성의 많은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