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163

화성 : 달과 크레이터와 화산

화성 상공을 날아다닌다면 어떤 모습을 보게 될까?  이 사진이 바로 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마스 익스프레스호가 지난 7월에 촬영한 이 사진에는 화성에서 특히 흥미를 끄는 지역이 담겼다.  사진에서 가장 눈에 띠는 것은 바로 오른쪽 위로 보이는 올림포스 산이다.  이 산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이다.   오른쪽 지평선에 아른아른하게 보이는 또 다른 화산 역시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산으로 그 이름은 파보니스 산(Pavonis Mons)이다.  화성 지표 전반에 걸쳐 둥그런 충돌 크레이터가 여러 개 보인다.  사진을 특히 인상적이게 만드는 것은 바로 화성의 위성 중 하나인 포보스가 함께 촬영되었다는 것이다.  중앙에 보이는 돌덩이가 그것이다.  사진 아래 왼쪽에 보이는 거대한 타원형 지형은 오르쿠스 ..

화성의 명암

화성의 표면을 고해상도 확대상으로 잡아낸 이 사진에는 깊은 그림자가 만드는 빛과 어둠의 드라마틱한 대비가 담겨 있다. 2014년 1월 24일 MRO 위성에 탑재된 HiRISE 카메라로 촬영된 이 사진에는 폭 1.5킬로미터의 화성이 지형이 담겨 있다. 이 장면은 250킬로미터 상공에서 화성 남반구 고지대 크레이터의 모래언덕을 바라보며 촬영한 것이다 사진을 촬영할 당시 화성 지표에서의 태양고도는 약 5였으며 모래언덕의 윗부분에만 태양빛이 들어오고 있다. 당시 화성 남반구에는 길고 추운 겨울이 다가오고 있었고 서리가 내려앉아 사구의 선들이 그려져 있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8년 4월 14일 자) https://apod.nasa.gov/apod/ap180414.html 참고 : 다양한 ..

성운 사이의 화성

Image Credit & Copyright: Sebastian Voltmer 라군성운과 삼엽성운 사이에서 밝게 빛나는 붉은 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화성이다. 이 아름다운 사진에는 18세기에 찰스메시에에 의해 등재된 그 유명한 성운인 M8과 M20 및 그 사이를 지나는 붉은 행성이 담겨 있다. 사진 상단우측에 보이는 M20, 삼엽성운은 붉은색과 푸른색이 검은 먼지대역과 어우러져 인상적인 대조를 보여주고 있다. 하단 우측으로 가로질러 뻗어있는 붉은 빛은 M8, 라군성운의 빛이다. 두 성운 모두 지구로부터 수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 일시적으로 그 사이에 자리잡고서 밝은 빛을 뿜어내는 빛은 화성이다. 화성까지의 거리는 고작 10광분 정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8년 3..

베라루빈 산맥에서 촬영한 셀카

Image Credit: NASA, JPL-Caltech, MSSS - Panorama: Andrew Bodrov 화성 탐사를 시작한 후 1943일을 맞고 있는 큐리오시티 호가 베라 루빈 산맥의 남쪽 경계에서 셀카를 찍었다. 물론 여기서 1,943일은 화성일 기준으로서 화성의 하루는 지구보다 약 40분이 더 길다. 화성에서 1,943일을 맞는 때는 지구에서는 지난 2018년 1월 23일이었다. 반응형 360도 VR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모자이크 파노라마 사진은 큐리오시티호에 장착되어 있는 Mars Hand Lens Imager (MAHLI)로 촬영한 61장의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에 포함되어 있던 MAHLI의 팔 부분은 1903화성일에 마스트캠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배경을 구성하는 동안 제거되었다. ..

화성북극의 소용돌이 지형.

화성의 북극은 왜 이처럼 나선형구조를 보이고 있는 것일까? 매 여름마다 화성의 북극에는 얇은 화성의 대기로부터 얼어붙은 이산화탄소가 약 1미터 두께로 쌓인다. 이렇게 새로 생성된 층이 한 해 내내 유지되는 물얼음 위에 쌓인다. 극관의 중앙으로부터 강력한 바람이 휘몰아쳐 나오는데 이 바람이 행성의 자전에 의해 소용돌이 치면서 보레움 평원(라틴어로서 '북쪽 평원'을 의미함)에 나선형 구조를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 사진은 2017년 초 ESA의 마스익스프레스호가 촬영한 사진들을 모자이크한 것으로서 지형의 고도자료는 NASA의 마스글로벌서베이어 호에 탑재된 레이저 고도계가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향수 수년 내에 계획된 새로운 화성 탐사계획에는 화성굴착 계획과 엑소마스(ExoMars), 화성에서 현재와 ..

화성에서 촬영한 큐리오시티호의 셀카

셀카야 수도없이 찍어봤겠지만, 화성에서 셀카를 찍어본 적은 있는가? 화성에 있는 큐리오시티는 화성에서 셀카를 찍었다. 이 셀카는 여러개의 작은 사진을 이어붙여 만들어진 것이다. 그 와중에 카메라를 들고 있는 큐리오시티호의 로봇팔은 사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물론 이 로봇팔의 그림자는 사진에 담겨 있다.) 2015년 중반에 촬영된 이 사진에는 모험심 가득한 큐리오시티호 뿐만 아니라 검은 층을 가진 바위들과 밝은 빛을 보이는 샤프산의 봉우리, 그리고 화성을 가득 덮고 있는 녹슨 모래들이 함께 담겨 있다. 사진을 자세히 살펴보면 큐리오시티호의 바퀴에 낀 작은 돌멩이도 볼 수 있다. 2017년도 거의 끝나가는 지금, 큐리오시티호는 베라 루빈 능선에서 발견한 퇴적암 층에 대한 탐사를 계속하고 있다. 이 연구는 ..

고대 화성 에리다니아 분지의 지질학적 모델

이 도표에는 화성 남반구의 에리다니아 분지에서 30억년 전 해저열수작용에 의해 형성된 퇴적물의 기원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다. 약 450킬로미터 길이의 지형을 담기 위해 지형도는 과장되어 표현되었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바다의 예측치를 표현한 것인데 이 고대의 바다는 얼음으로 뒤덮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점토성분이 많이 존재하는 두꺼운 퇴적물(초록색)은 해저화산물질의 열수작용에 의해 변질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해저면의 순환 표시는 철과 마그네슘 이온이 규산염 및 황화물, 탄산염등과 상호반응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깊숙한 곳의 균열부는 맨틀로부터 마그마가 솟아오르는 작용을 촉진시켰을 수도 있다. 염화퇴적물들은 분지 높은 곳에서부터 바닷물이 기화되면서 형성되었다. 이 도표는 네..

화성전역을 뒤덮은 오로라

지난달 강력한 태양활동이 화성 전역에 강력한 오로라를 만들어냈다. 태양폭풍이 발생하기 전(왼쪽)과 발생하는 중(오른쪽)을 보여주는 이 사진은 화성의 오로라로부터 발생한 자외선 복사가 갑자기 치솟는 순간을 담은 것으로 이때의 자외선 복사 밝기는 현재 화성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메이븐 위성이 이전에 탐지한 오로라복사의 밝기보다 25배나 더 밝은 수준이다. 태양빛을 받고 있는 주간반구가 화성 야간반구 쪽에 분홍색으로 보이는 메이븐 위성의 자외선화상분광기가 획득한 데이터와 함께 보이는데 이 데이터는 관측 일시에 맞춰 조정된 것이다. 화성에서 태양폭풍은 행성 전반에 걸친 오로라를 만들어낸다. 이는 화성이 지구와 달리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지구의 경우 강력한 자기장의..

멜라스 카스마(Melas Chasma)의 황삼염 혼합층

NASA 화성궤도탐사위성(Mars Reconnaissance Orbiter, 이하 MRO)이 촬영한 이 사진에 담긴 밝은 톤의 황산염 퇴적물은 서로 다른 수산화 현상을 겪은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이곳의 어떤 층들은 물을 적게 포함하고 있는 황산염(1수화물 황산염(monohydrated sulfates)으로 알려져 있음) 층이며 어떤 층들을 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황산염(다수화물 황산염(polyhydrated sulfates)이라 불린다) 층이다. 물의 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황산염이 퇴적되는 동안 물에 의한 화학적 영향의 변동을 반영한 것일 수도 있고 수산화 상태의 감소의 원인이 되는 열이나 압력에 의해 특정 층에서 물이 빠져나갈 때 황산염층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화성의 많은 지역..

화성의 이레손 언덕(Ireson Hill)

화성에 이처럼 독특한 언덕을 만든 것은 무엇일까? 이 언덕이 만들어지게 된 역사는 주요 연구과제 중 하나가 되었지만 큐리오시티 호가 접근하게 된 이 언덕을 더더욱 독특하게 만들어주고 있는 것 중 하나는 그 형태 및 두 가지 색조로 이루어진 구조에 있다. 이레손 언덕(Ireson Hill)으로 명명된 이 흙무더기는 약 15미터의 직경에 5미터 높이로 솟아나 있다. 이 언덕은 게일 크레이터의 샤프산 사면에 자리잡고 있는 배그놀드 사구에 위치하고 있다. 41개의 사진으로 담아낸 이레손 언덕의 파노라마 사진은 전체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압축되었다. (위 사진은 수직압축이 되지 않은 사진입니다 : 블로그쥔장 주) 이 사진은 2017년 2월 2일 촬영되었으며 지난 주 공개되었다. 곧 화성이 태양 뒤편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