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케플러 Mission 39

1,284 개의 새로운 외계행성이 식별되다.

케플러 미션에서 1,284개의 새로운 외계행성이 식별되었다. 이번 발견은 단일 발견으로는 최대치에 해당한다. NASA 본부 수석 과학자인 엘렌 스토판(Ellen Stofan)의 소감은 다음과 같다. "이번 보고에 포함된 행성의 갯수는 지금까지 케플러 미션을 통해 확정된 외계행성의 수를 2배 이상 늘려주는 수치입니다. 이번 발견은 우주 어디에선가 우리와 상당히 비슷한 환경을 가진 또 하나의 지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심어주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은 2015년 7월 작성된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행성후보목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해당 목록에는 총 4,302개의 행성 후보 천체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중에서 해당 천체가 실제 '행성'일 확률이 99퍼센트 이상인 천체는 총 1,284개이다. 이들은 모두..

WD 1145+017 : 미행성을 증발시키고 있는 백색 난쟁이별

그림 1> 이 상상화는 백색 난쟁이별 주위를 공전하며 증발되고 있는 작은 암석질 천체를 그린 것이다. 천문학자들이 K2 미션의 관측 데이터로부터 백색 난쟁이별의 전면을 지나는 행성형 천체를 처음으로 식별해냈다. 이 천체는 천천히 파괴되면서 백색 난쟁이별의 표면에 먼지가 된 물질들을 남기게 될 것이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재활용 미션인 K2 미션을 통해 과학자들이 백색 난쟁이별을 나선형으로 돌며 산산히 부서지고 있는 작은 암석질 천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 이번 발견은 백색 난쟁이별이 행성계 내에서 살아남은 행성 잔해를 집어삼킬 수 있다는, 오랜동안 이론으로만 남아 있던 가설을 확인해 준 계기가 되었다. 네이처에 개재된 논문의 주저자인 하바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의 대학원생 앤드류 반더버그(Andr..

또다른 지구를 찾아서

그림 1> 이번에 새로 발견된 외계행성 케플러 452b는 지금까지 발견된 그 어느 행성보다 지구를 닮은 외계행성이다. 이 그림은 화가의 상상으로 그려내어 나란히 세운 생명가능구간 상의 지구와 유사한 외계행성들이다. 왼쪽부터 케플러 22b(Kepler-22b), 케플러 69c(Kepler-69c), 그리고 이번에 발견된 케플러 452b (Kepler-452b), 케플러 62f(Kepler-62f), 케플러 186f(Kepler-186f)가 도열해 있다. 가장 오른쪽에는 행성 지구가 자리잡고 있다. 태양과 같은 별 주위를 도는 슈퍼 지구급의 행성을 발견하는 것은 태양계와 같이 물이 가득한 또 하나의 행성계를 찾는 우리의 여정을 한 걸음 더 나아가게 해준다. NASA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미리내의 수많은 별들 중..

케플러 452b (Kepler-452b) :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견해낸 지구의 사촌행성

그림 1> 과학자들이 NASA 케플러 미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처음으로 태양과 같은 별의 생명가능구간을 돌고 있는, 지구와 유사한 크기의 외계행성을 확정했다. 생명가능구간(the habitable zone)이란 별 주위에 물이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온도를 유지하는 구간을 말한다. 이 상상화는 이번에 새로 식별된 외계행성 케플러 452b(Kepler-452b, 우측)를 지구(왼쪽)에 대비해 묘사한 것으로서 이 행성의 크기는 지구 대비 60% 정도 더 크다. 케플러 452b의 모습은 그저 상상으로 묘사된 것이며 이 행성이 실제 지구처럼 바다나 대륙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는 전혀 밝혀지지 않았다. 지구와 이 행성 모두 G2 유형의 별 주위를 공전하지만 케플러 452b가 돌고 있는 별의 나이는 60억년으로..

케플러 138b (Kepler-138b) : 화성 크기 외계행성의 질량을 측정하다.

그림 1> 이 상상화는 크기는 지구보다 작으면서 크기와 질량이 모두 측정된 최초의 행성인 케플러 138b와 이 행성을 품고 있는 케플러 138 행성계를 묘사하고 있다. 이 행성의 크기는 자신의 별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과장되어 있다. 표1> 이 표는 크기와 질량이 모두 측정된 가장 작은 외계행성의 측정값들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 태양계의 행성들은 비교를 위해 붉은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케플러 138 행성계의 3개 행성들은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태양계의 작은 4개 행성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케플러 138b는 지구보다 작은 행성으로서는 질량과 크기가 모두 측정된 최초의 행성이며 이는 밀도측정과 함께 행성 탐사의 범주를 현저하게 확대시켰다는데에 의미가 있다. 케플러 138b (Kepler-138b)..

숫자로 보는 케플러 호의 6년

이 도표는 2009년 5월 12일 이후 태양계 너머에 존재하는 외계행성을 탐사해온 케플러 위성의 이야기를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우리는 케플러 위성에 의해 수집된 귀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주에 행성이 일반적으로 존재하며 태양과 같은 별은 최소 하나 이상의 행성을 가지고 있고 자연은 상상도 할 수 없는 다양한 행성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케플러 호는 2009년 5월 6일에 발사되었다. 이 위성의 임무는 미리내에서 얼마만큼의 별들이 생명체의 서식이 가능한 지구와 같은 크기의 행성 또는 다른 형태의 행성을 가지는지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특히 생명체 서식 가능구역인, 항구적인 액체상태의 물이 유지될 수 있을만큼 적절한 거리를 자신의 별로부터 유지하고 있는 행성들에 관심을 두었다. 우리가 아는한 생명..

물을 품고 있는 또다른 세계들

그림 1> NASA는 우주에서 발생하는 일들을 이해하기 위해 태양계와 그 너머에 대한 탐사를 계속하고 있으며 별들 사이에서 물과 생명체를 계속 찾고 있다. 물을 품고 있는 또다른 세계들 NASA가 진행하고 있는 각종 임무들은 태양계를 탐사하고 새로운 세상을 조사하면서 생각지도 못한 놀라운 장소에서 물을 찾아내고 있다. 물은 지구 너머에서 생명체의 거주가 가능할만한 행성과 생명체를 찾는데 있어 한 부분에 해당하며 전혀 상관이 없을것 같은 세계도 놀라운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는 매개체이다. NASA의 수석 과학자인 엘렌 스토판(Ellen Stofan)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NASA의 과학 활동들은 최근 물과 관련된 놀라운 발견들을 이루어냈고, 우리의 기원과 또다른 세상에 대한 환상적인 가능성으로 우리를 고..

5개의 작은 행성을 거느린 고대의 행성계를 발견하다.

그림> 케플러 444(Kepler-444) 라는 이름의 이 밀집 행성계는 매우 촘촘한 공전궤도를 가진 작은 행성 5개의 집이기도 하다. 이 행성들은 이 상상화에서 묘사하고 있는 것처럼, 자신의 별 전면을 지날 때 야기시키는 별의 밝기 변화를 통해 발견되었다. 천문학자들이 5개의 작은 행성을 거느린 고대의 행성계를 발견하다. 천문학자들의 케플러의 관측 데이터에서 우리 은하인 미리내가 20억살밖에 되지 않았던 당시에 존재했던 다섯개의 작은 행성을 거느리 행성계를 발견해냈다. 케플러 444(Kepler-444)로 명명된 이 촘촘하게 밀집된 행성계는 수성 정도 크기의 작은 행성부터 최대 금성 정도 크기에 해당하는 다섯개의 행성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섯개의 행성들은 태양과 같은 별 주위를 10일도 채 안되는 ..

K2미션이 처음으로 다중행성계를 발견하다.

그림설명> 이 상상화는 K2라는 이름의 새로운 임무 하에 행성 탐색을 계속하고 있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묘사한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누구에게나 공개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K2미션에서 처음으로 하나 이상의 행성을 거느린 별을 찾아낸 것으로 보인다. 천문학자들이 K2미션으로 새로 태어난 케플러 위성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3개의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 이번 발견에 대한 논문은 아스트로피지컬 저널에 개제를 목적으로 제출되었다. 지구 크기의 1.5배에서 2배를 약간 넘는 크기 범주를 보이는 이 잠재적 행성 후보군들은 우리 태양 절반의 크기와 질량을 가진 별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이중에서 가장 외곽을 돌고 있는 행성은 표면상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거리 범주인 생명체 서식 가능 구역의 안쪽 모서리를 따라..

케플러 호가 발견한 외계행성이 1천개를 돌파하다.

그림1> 케플러 명예의 전당에 등록된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의 작은 외계행성들 NASA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어 행성으로 검증된 행성의 수는 1000개를 넘어서고 있다. 이중 8개는 지구 2배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별을 생명체 서식 가능 구역에 돌고 있다. 이 별들이 공전하고 았는 별들은 모두 태양보다 약간 작은 크기와 약간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다. 태양과 같은 별 주위의 생명체 서식 가능 구역에서 지구 크기의 행성을 찾기 위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케플러 호가 발견한 외계행성이 1천개를 돌파하다. 얼마나 많은 태양과 같은 별들이 지구와 같은 행성을 품고 있을까? 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우리 태양계 너머 12만개의 별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4천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