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케플러 Mission(39)
-
케플러 호가 수수께끼에 싸여 있는 외계행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다.
NASA의 케플러 위성에 의해 발견된 행성후보 중 4분의 3이상에 해당하는 행성들의 크기는 지구와 지구의 4배 정도 크기인 해왕성 사이의 크기를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주로 우리 은하에 위치하고 있지만 우리 태양계를 대변하지는 않는다. 천문학자들은 이들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그리고 암석질 행성인지 물로 가득한 행성인지, 아니면 가스상 행성인지 여부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 오늘 케플러 팀은 케플러가 찾아낸 외계행성계에 대한 지상에서 수행된 4년간의 후속 관측에 대해 미국 천문학회에서 보고했다. 이 관측을 통해 케플러가 찾아낸 상당수가 실제 행성임을 확정하였고, 이들 수수께끼의 세계에 대한 질량측정치는 이들이 지구와 해왕성 크기 사이에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이 알려주었다. 여기에는 지구 크기보다..
2014.01.08 -
케플러의 두번째 빛
Image Credit: NASA Ames 사진 1> 케플러의 두번째 빛. 이 사진은 NASA의 케플러 위성이 지난 10월 새로운 시연 모드로 촬영한 케플러 망원경의 전체 필드 사진이다. K2로 명명된 새로운 임무의 컨셉은 외계행성의 지속적인 탐색과 새로운 과학 탐사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당신은 아마도 케플..
2013.12.03 -
새로운 천문학의 시대로 안내하는 케플러 호의 측정 자료들
전세계의 과학자들이 제 2 차 케플러 과학 회의를 위해 NASA 에임스 연구소에 모여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관측 자료로부터 분석된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공유하게 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공유될 내용에는 케플러 연구팀에 의해 보고된 833개의 새로운 행성 후보 천체의 발견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전체 행성 후보 천체 중 10개의 천체는 지구의 2배 이내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별로부터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여 생명이 서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액체로 된 물의 유지가 가능한 위치인 생명체 서식 가능 구역의 거리에서 자신의 별을 공전하고 있다. 2년전에 열린 회의에서 케플러 팀은 케플러 22b(Kepler-22b)라는 생명체 서식 가능 지역의 행성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이후 하나의 행성계에 ..
2013.11.23 -
케플러 78b(Kepler-78b) : 지구 크기의 암석질 행성을 최초로 발견하다.
그림1> 이 삽화는 지구와 케플러 78b라는 새로 확정된 그을린 행성을 비교해서 보여주고 있다. 케플러 78b는 대략 20%정도 지구보다 더 큰 규모이며 지구보다 70%정도 더 무거운 행성이다. 케플러 78b는 8.5시간만에 한 번 자신의 별을 맹렬한 속도로 공전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열기가 가득찬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천문학자들이 지구와 같은 암석질로 구성된 지구와 유사한 크기의 행성을 외태양계에서 처음으로 발견해냈다. 케플러 78b 는 자신의 별 주위를 8.5시간마다 공전하고 있는데 이로인해 맹렬하게 불타오르고 있어서 우리가 알고 있는 한 생명이 살기에 적합한 행성은 아니다. 이번 발견에 대한 논문은 네이처지에 두 개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NASA 에임스 연구소의 케플러 미션 과학자인 나탈리 바탈라(..
2013.11.19 -
케플러 7b(Kepler-7b) - 최초로 구름지도가 작성된 외계행성
그림설명 : 케플러 7b(Kepler-7b)는 목성보다 1.5배 큰 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대기상의 구름지도가 작성된 최초의 외계행성이다. 천문학자들이 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과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케플러 7b로 알려진 매우 뜨거운 목성을 닮은 외계행성에 대한 최초의 구름지도를 제작하였다. 이 행성은 높은 구름들이 몰려 있는 서쪽과 청명한 하늘을 지닌 동쪽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행성이다.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활용한 이전의 연구에서는 다른 별 주위를 돌고 있는 이 행성의 기온지도를 만든 적이 있다 그러나 멀리 떨어져 있는 이 또다른 세계의 구름 구조를 들여다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캠브리지 메사추세츠 기술연구소의 브라이스-올리비에르 데모리(Brice-Olivier Demory)의 설명은 다..
2013.10.01 -
과학자들은 어떻게 생명이 존재할만한 행성을 찾고 있을까?
그림 1> 독성 가득한 불모지인가 아니면 숲이 우거진 파라다이스인가? 이 상상화는 왼편으로는 슈퍼 금성(Super Venus)을 그리고 오른쪽으로는 슈퍼 지구(Super Earth)를 묘사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생명가능구간'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 태양계 바깥에 존재하는 행성들 중 이렇게 두 개 유형의 행성을 구분하고 있다. 슈퍼 금성과 슈퍼 지구는 각각 금성 및 지구와 유사한 행성이지만 질량은 훨씬 큰 행성을 말한다. 우리 태양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슈퍼 지구는 대양을 품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에 반해 슈퍼 금성은 메마르고 유독가스가 가득 들어찬 불모지일 가능성이 높은 행성을 말한다. 생명이 넘쳐나고 있는 행성 하나를 우리는 알고 있다. 당신이 생각했을 그 행성은 바로 지구이다. 지구는 표면에서 생명을..
2013.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