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bula 162

허블 24주년 기념 Release - NGC 2174

사진1> 허블우주망원경의 궤도안착 24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원숭이 머리 성운으로도 알려져 있는 NGC 2174의 특정 부분을 촬영한 아름다운 사진이 발표되었다. NGC 2174는 오리온 자리, 64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허블은 2011년에 이미 이 지역을 관측한바 있다. 다채로운 색깔을 뽐내는 이 지역은 새로 탄생한 별들을 품고 밝게 빛나고 있는 성긴 우주 가스와 먼지들로 가득 채워져 있다. 이 지역은 허블우주망원경 WFC3를 이용하여 적외선으로 촬영되었다. 허블 24주년 기념 Release - NGC 2174 허블 우주망원경의 궤도 안착 24주년을 기념하여 원숭이 머리 성운으로도 알려져 있는 NGC 2174의 아름다운 사진이 발표되었다. 다채로운 색깔을 뽐내는 이 지역은 새로 탄생한 별들을 품..

NGC 6188과 NGC 6164

NGC 6188의 작렬하는 가스구름 속에 숨겨진 이 환상적인 형상은 4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남반구의 별자리인 제단자리, 거대한 분자구름의 모서리 근처에 숨겨져 있는 이 발광성운은 가시광선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 지역에서는 고작 수백만년전 거대한 질량의 갓 태어난 별들로 구성된 제단자리 OB1 성협이 형성되었으며 이 별들로부터 발생하는 별폭풍과 강력한 자외선 복사에 의해 검은 형상들이 조각되는 한편 불타오르는 성운들이 만들어졌다. 최근에 생성된 별들은 이전 세대의 거대한 질량을 가진 별들이 초신성 폭발과 별폭풍에 의해 주변의 분자가스들을 쓸어내거나 압축하면서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에 보이는 NGC 6188과 더불어 희귀한 발광성운 NGC 6164 역시 이 지역에 존재하는 O-타입의 무거운 ..

적외선으로 촬영한 오리온 성운

Image Credit: NASA, JPL-Caltech, T. Megeath (Univ. Toledo, Ohio) 1500광년 거리의 거대한 별들의 육아실인 오리온 성운만큼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천체는 드물다 인위적인 색체로 처리된 이 아름다운 40광년 폭의 천체사진은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적외선 데이터로 만들어졌다.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사진과 보면 오린 성운에서 가장 밝은 이 지역은 트라페지움 성단이라고 알려진 갓 태어난 고온의 무거운 별들이 몰려있는 지역과 동일한 지역이다. 그러나 적외선으로 촬영한 이 사진에는 별의 형성이 진행중인 수많은 원시별들이 보이며 사진에서는 붉은 색조로 표현되어 있다. 밝은 성단의 왼쪽으로 늘어선 검은 먼지 필라멘트를 따라 위치하는 붉은 점들은 HOPS 68로 등재된..

타란툴라 성운 - 우주의 거미줄을 풀어내다.

사진1>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이 새로운 사진은 적외선으로 촬영한 타란툴라 성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지역엔 성단과 불타오르는 가스, 그리고 두꺼운 검은 먼지들이 가득 들어차 있다. 허블 타란툴라 트레저리 프로젝트(the Hubble Tarantula Treasury Project, 이하 HTTP)의 일환으로 관측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이 사진은 허블 WFC3와 ACS를 이용하여 촬영되었다. HTTP는 타란툴라 성운 내에 존재하는 수백만개의 별들을 스캔하고 촬영하고 있으며 이 별들의 위치와 속성을 규명해내고 있다. 이 관측자료들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별들의 구조를 보고 이 성운의 뼈대에 대한 이해를 종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타란툴라 성운 - 우주거미의 거미줄을 풀어내다. 허블우주망원경..

NGC 7293

물병자리, 700 광년이 채 미치지 못하는 거리에 우리 태양과 같은 별이 죽어가고 있다. 지난 수천년동안 만들어진 나선 성운(the Helix Nebula, NGC 7293)은 별의 진화과정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최후의 단계인 행성상 성운이며 대단히 잘 연구된 지근거리 성운의 예이다. 총 28.5시간에 달하는 노출로 이 고해상도 사진이 만들어졌다. 수소원자로부터 발생하는 붉은색 복사선과 산소원자로부터 발생하는 청록색 복사선이 담긴 협대역 데이터를 이어붙인 이 사진은 지름 3광년인 나선 성운의 밝은 안쪽의 세부를 보여주고 있으며 6광년 이상 뻗어있는 이 성운의 희미한 외곽 헤일로의 구조도 보여주고 있다. 나선 성운의 가운데에 보이는 하얀 점이 이 행성상 성운을 만드어낸 고온의 중심별이다. 한눈에는 단순해..

IC 410

이 망원경 확대사진은 망원경이 아니라면 너무나 희미한 발광성운 IC 410을 인위적인 색깔로 처리한 멋진 모습을 담고 있다. 또한 이 사진 중앙의 우측 하단으로는 먼지와 가스로 이루어진 이 우주의 연못에 살고 있는 2개의 특징적인 천체가 담겨있는데 이들은 IC 410의 올챙이들이라 할 수 있다. 이 사진은 협대역 필터를 통해 촬영한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 협대역 사진은 이 성운의 원자들을 드러내주고 있는데 황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는 빨간색으로, 수소원자부터 방출되는 복사는 초록색으로 그리고 산소로부터 발생되는 복사는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앞쪽으로 위치하는 먼지에 의해 부분부분 가려져있는 이 성운은 가스를 불태우는 에너지를 제공해주는 젊은 성단인 NGC 1893을 감싸고 있다. 보다 밀도가 높고 온도..

말머리 성운

말머리 성운은 가장 유명한 성운들 중 하나이다. 이 성운이 사진중앙에 붉은 복사선을 방출하고 있는 성운쪽으로 검게 움푹 패인 모습처럼 보인다. 말머리 모양이 검게 보이는 이유는 이 성운이 실제로 붉은 빛의 발광성운 앞쪽에 놓은 불투명한 먼지 구름이기 때문이다. 우리 지구 대기상의 구름들과 마찬가지로 이 우주 구름이 익숙한 모양을 보이는 것은 전적으로 우연일 뿐이다. 수천년이 지나면 이 구름 내부의 작용으로 인해 이러한 형상은 변하게 될 것이다. 성운에서 방출되고 있는 붉은 빛은 전자가 양성자와 재결합하여 수소원자를 형성하면서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사진 하단 좌측으로는 지근 거리에 위치한 별들의 푸른 빛을 우선적으로 반사하고 있는 초록빛의 반사 성운들이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

하트 성운 중심의 Melotte 15

발광성운 IC 1805의 중심부에는 환상적인 모양을 갖춘 우주구름이 있다. 물론 이 구름은 성운의 내부에서 이제 갓 태어난 별들이 모여 있는 멜롯 15(Melotte 15) 성단으로부터 복사되어 나오는 빛과 폭풍에 의해 조각된 것이다. 약 150만년 정도의 어린 나이인 이 성단의 별들은 이 화려한 사진의 중심부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검은 먼지 구름들을 따라 도열해 있다. 수소원자로부터의 복사선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이 망원경 사진은 약 30광년의 폭을 담고 있다. 사진을 좀 더 넓게 보면 IC 1805의 좀더 단순한 형태가 드러나는데 이 외형으로부터 '하트성운'이라는 대중적인 이름이 붙여졌다. IC 1805는 우리은하의 북쪽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으로 약 7500광년 떨어져 있다...

성운 INDEX

Index 폴더에는 본 블로그에 포스팅된 사진 및 내용들을 카테고리별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분류 목록을 게시하고 있습니다. 본 Index는 성운(Nebula)에 대한 포스트들이 분류되어 있습니다. 발광성운과 반사성운의 구분  https://big-crunch.tistory.com/12345591가브리엘라 미스트랄 성운(the Gabriela Mistral Nebula)  https://big-crunch.tistory.com/12349637거품 성운(NGC 7635)  https://big-crunch.tistory.com/12345584 https://big-crunch.tistory.com/12345861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200 https://big..

NGC 7635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이 흡사 유령과도 같은 모습을 만들어내고 있다.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이 천체는 거품성운(the Bubble Nebula)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진 자체는 세부적인 모습을 담아낸듯 보이지만 사실 이 거품의 지름은 10광년에 달하며 대단히 파괴적인 사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증거가 된다. 거품 우측에 보이는 별은 O-타입의 별로서 우리 태양보다 수백배 더 밝고 질량은 약 45배에 달하고 있다. 이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격렬한 별폭풍과 강력한 복사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좀더 밀도가 높은 분자구름들을 밀쳐내면서 이와같이 불타오르는 가스구조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성운은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으로 1만 1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협대역 촬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