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bula 162

IC 4628

안타레스의 남쪽으로, 성운들이 가득 들어찬 전갈자리의 꼬리 부분에 발광성운 IC 4628이 자리잡고 있다. 근처에 있는 수백만년 정도 연령을 가진 어린, 거대한 질량의 별들이 자외선 복사를 성운으로 뿜어내면서 성운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원자핵으로부터 전자를 날려버리고 있다. 이렇게 이탈된 전자들은 궁극적으로는 다시 원자와 재결함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가시영역의 빛을 뿜어내게 되며, 이 빛은 주로 수소의 붉은색 복사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약 6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사진에 담긴 이 지역의 너비는 250광년이며 이 성운이 퍼져 있는 지역은 하늘에서 4개의 보름달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정도이다. 이 성운은 호주의 천문학자 콜린 스텐리 검(Colin Stanley Gum)의 이름을 딴 천체 목록인 Gum..

NGC 6888

초승달 성운(the Crescent Nebula)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NGC 6888은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거대한 질량의 별이 뿜어내는 별폭풍에 의해 형성된, 지름 25광년의 우주거품이다. 이 사진은 허블 팔레트에서 협대역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사진에서 황, 수소, 산소원자는 각각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톤으로 표시되어 있다. NGC 6888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별은 울프-레이에 별로 분류되는 별이다.(WR 136) 이 별은 자신의 표피부를 강력한 별폭풍에 실어 날려버리고 있으며 1만년마다 태양질량에 버금가는 양의 물질들을 뿜어내고 있다. 성운의 복잡한 구조는 초기 단계에서 분출된 물질들과 강력한 별폭풍이 뒤섞인 결과로 보인다. 자신의 연료를 빠른 속도로 불태워버리고 ..

발광성운 IC 1396

아름다운 발광성운 IC 1396은 불타오르고 있는 가스와 검은 먼지 구름들이 뒤섞인 성운으로서, 고위도의 별자리인 케페우스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사진 중앙에 푸른빛으로 밝게 빛나는 별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고 있으며,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고 있기도 한 이 지역은 수백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3천광년 거리의 지구에서 바라봤을 때 하늘의 3도 영역 이상 펼쳐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IC 1396에 존재하는 기묘한 모습의 암흑성운들 중, 감겨있는 모양의 코끼리코 성운이 중앙 바로 아래로 보이고 있다. 이 멋진 천연색 사진은 빨간색, 파란색 필터를 통해 촬영되어 검은색과 백색의 사진 건판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사용된 사진 건판 자료는 1989년에서 1993년 사이 팔로마 천문대의 광대역..

거품 성운 NGC 7635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이 흡사 유령과도 같은 모습을 만들어내고 있다.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이 천체는 거품성운(the Bubble Nebula)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진 자체는 세부적인 모습을 담아낸듯 보이지만 사실 이 거품의 지름은 10광년에 달하며 대단히 파괴적인 사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증거가 된다. 거품 우측에 보이는 별은 O-타입의 별로서 우리 태양보다 수백배 더 밝고 질량은 약 45배에 달하고 있다. 이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격렬한 별폭풍과 강력한 복사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좀더 밀도가 높은 분자구름들을 밀쳐내면서 이와같이 불타오르는 가스구조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성운은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으로 1만 1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진은 발..

궁수자리 삼총사

사진에 나타나 있는 세개의 밝은 성운들은 궁수자리 방향을 망원경으로 관측할 때 자주 눈에 띄는 천체이며 우리 은하의 중심부, 별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곳을 배경으로 몰려 있는 천체들이다. 18세기 천체관측자인 찰스 메시에는 이 천체 중 두 개를 목록에 등재하였는데 중심에서 왼쪽에 있는 거대한 성운을 M8로, 그리고 우측에 보이는 다채로운 색깔의 천체를 M20으로 등재하였다. 세번째 천체는 NGC 6559로서 M8의 바로 위에 있으며 검은 먼지대역에 의해 M8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천체이다. 3개 천체 모두 새로운 별들을 왕성하게 만들어내고 있는 별들의 육아실이며 약 5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백광년 이상에 걸쳐 광활하게 펼쳐져 있는 M8은 라군성운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M20은 삼엽성운이라..

전갈자리의 반사성운과 발광성운

우주의 먼지 구름이 뒤편의 별빛을 흐리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이 먼지구름들은 근처에 있는 별빛을 반사하기도 한다. 밝은 별들은 가시광 대역에서 파란빛을 우세하게 복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성간 먼지 구름에 뿌려지는 빛 역시 붉은색보다는 파란색이 더 많이 뿌려지게 되고 따라서 반사 성운들은 파란색을 띠게 된다. 아주 적절한 예가 전갈자리의 머리부분을 촬영한 이 사진에 담겨있다. 전갈자리 파이 별과 델타 별(각각 상단 왼쪽과 하단 오른쪽)에서 뿜어지는 고온의 밝은 빛이 파란색의 반사성운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물론 붉은 색의 발광성운 역시 뜨거운 별의 고에너지 복사에 의해 만들어진다. 적외선 광자들이 성간 먼지구름의 수소원자에서 전자를 분리시켜 이온화시키고, 이 전자들이 다시 재결합을 할 때 붉은 색의 알..

카리나 성운의 증발하는 거품들

이것은 살아있는 생명체는 아니지만 -- 죽어가고 있기는 하다. 사진 오른쪽 상단으로 둥둥 떠 있는 듯이 보이는, 카리나성운에서 발견된 범상치 않아보이는 거품들은 '증발되고 있다'고 표현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표현일 것이다. 근처에 있는 별들로부터 쏟아져나온 고에너지 빛과 폭풍들이 검은 먼지덩어리들을 찢어놓으면서 불투명한 모종의 형태를 만들고 있다. 얄궂게도 어두운 분자구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거품들은 그 품에서 새로운 별들을 탄생시키고, 그렇게 탄생된 별들에 의해 파괴되고 만다. 우주의 산들이 둥둥 떠나니는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되었으며 사진의 너비는 고작 몇 광월(개월) 정도이다. 카리나 대 성운은 폭이 30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우리로부터는 약 7500광년 떨어져 있다. 이 성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