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bula 162

NGC 7635와 M52

눈으로 보기에 거품성운은 산개성단 M52와 함께 멋지게 균형을 이룬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스케일로 바라본다면 이 두개의 천체는 한 쪽으로 치우진 모습으로 보였을 것이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성간 먼지와 가스를 품고 있으면서 거대한 질량의 O-타입 별로부터 발생하는 폭풍에 의해 형성된 거품성운(NGC 7635)의 너비는 10광년에 약간 못 미치는 정도이다. 한편 M52는 수천개의 별들에 둘러싸여 있는 산개성단이다. 이 성단의 너비는 대략 25광년이다. 이 천체는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북쪽 경계부분에서 관측할 수 있으며 거품성운 및 이 성운과 연결되어 있는 구름덩어리까지의 거리는 약 1만 1천광년이고, 성단 M52까지의 거리는 약 5천광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09년 10월 3..

라군 성운

거대하고 장엄한 규모를 가진 라군 성운은 수많은 어린 별들과 고온 가스가 머물고 있는 집이다. 100광년에 걸쳐 뻗어있는 엄청난 규모와 5천광년밖에 되지 않는 거리로 인해 라군 성운은 궁수자리에서 망원경 없이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이 성운에 담겨있는 고작 수백만년 전에 생성된 산개성단 NGC 6530에서는 수많은 밝은 별들을 볼 수 있다. M8, NGC 6523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거대한 성운의 이름이 '라군(Lagoon)'으로 지어진 이유는 중심에 위치한 산개성단의 오른쪽으로 보이는 일련의 먼지대역 때문이다. 이 성운의 중앙에 위치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밝은 점은 '모래시계'성운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진은 GigaGalaxy Zoom project의 일환으로 촬영된 사진으로 칠레 라실라 천문..

NGC 6888

초승달 성운으로도 알려져 있는 NGC 6888은 지름 25광년의 우주거품으로 중심부에 위치한 거대질량을 가진 밝은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폭풍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 멋진 사진은 카나리 제도, 로크 데 로스 무차추스 천문대(Roque de los Muchachos Observatory)의 아이작 뉴톤 망원경으로 촬영되었다. 이 사진은 수소와 산소 복사선을 협대역으로 촬영하여 조합한 사진이다. 산소 원자의 방출선은 성운을 감싸고 있는 듯 보이는 주름과 필라멘트에서 푸른색-초록색 톤으로 나타나고 있다. NGC 6888의 중심별은 울프-레이에 별로 분류된다(WR 136). 이 별은 강력한 폭풍으로 외곽물질을 발산하고 있는데 여기서 뿜어내는 물질의 질량은 매 1만년마다 태양정도의 질량을 뿜어내는 정도에 해당한..

새로운 눈이 열리다.-3-

2009년 9월 9일부터 업그레이드 된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고해상도 천체사진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2009년 9월 9일 발표된 허블 사이트의 뉴스를 나누어 싣습니다. 뉴스 헤더는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5815 )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는 거대한 기둥을 촬영한 이 두장의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어떻게 가시광선 영역과 자외선 영역에서 하나의 동일한 천체를, 서로 다른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드라마틱하게 촬영해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에 새로 장착된 WFC3가 자외선영역으로부터 가시광선과 적외선 영역까지 광범위한 영역의 파장에 걸쳐 촬영범위를 확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가스와 ..

새로운 눈이 열리다.-2-

2009년 9월 9일부터 업그레이드 된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고해상도 천체사진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2009년 9월 9일 발표된 허블 사이트의 뉴스를 나누어 싣습니다. 뉴스 헤더는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5815 ) 매우 갸날픈 나비처럼 보이는 이 천체는 연약함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천체이다. 섬세해 보이는 나비의 양 날개는 사실은 섭씨 2만도에 육박하는 열기가 가스를 데우고 있는 거대한 가마솥이라 할 수 있다. 가열된 가스는 시속 96만 킬로미터 이상의 속도로 우주공간으로 찢어져 나가고 있는데, 이 속도는 지구와 달을 단 24분만에 주파할 수 있는 엄청난 속도이다. 이 격류의 중심에는 한 때 태양질량의 5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

오리온 성운

M42로 알려져 있는 오리온 대성운은 밤하늘에서 가장 유명한 성운들 중 하나이다. 새로운 별들을 생성하고 있는 지역에서 보이는 불타는 가스구름과 고온의 어린 별들이 중앙에 보이고 그 왼쪽으로는 M43 성운과, 가득한 우주먼지로 푸른 빛을 반사하고 있는 반사성운 NGC 1977 및 동료 별들이 위치하고 있다. 거대한 분자 구름이 몰려 있는 지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육안으로도 볼 수 있는 이 성운들은 이곳에 성간 물질들이 풍부하게 들어차 있음을 알려주는 작은 예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일반 수수한 장비로 촬영된 이 멋진 사진은 아스트로그라피(Astrophotography)의 2009년 Starfest International Salon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사진이다. 심사위원들은 이 사진에 나타난..

독수리 성운

동화속 날개달린 가공의 짐승을 받침대 위에 세워놓은 듯한 이 천체는 독수리 성운이라 불리는, 왕성하게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성운으로부터 뻗어나온 우주먼지와 차가운 가스에 의해 만들어진 먼지기둥이다. 이 기둥의 높이는 9.5광년(약 90조 킬로미터)으로 이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별까지 거리의 두배에 달하는 높이이다. 차가운 수소 구름에서 태어나 독수리 성운 안에 위치하고 있는 별들로부터 쏟아져나오는 에너지가 주변의 가스들을 깎아내면서 판타지와 같은 장면을 연출해 내고 있다. 이 탑은 이들 새로 탄생한 별들을 품어낸 거대한 인큐베이터일지도 모른다. 위쪽 사진영역 바깥쪽에 있는 거대한 질량의 뜨거운 어린 별들로부터 쏟아져 나오는 일련의 격렬한 자외선 대역은 이 기둥을 계속 깎아내고 있으..

검 성운(the Gum Nebula)

호주의 천문학자 콜린 스텐리 검(1924-1960)의 이름을 딴 검 성운(The Gum Nebula)은 매우 거대한 규모를 가지고 있어서 확대해서 보기에는 어려운 천체이다. 불타는 수소 가스로 이루어진 이 구름의 앞쪽 모서리는 우리로부터 450광년 떨어져 있지만 그 뒷쪽 모서리는 무려 1500광년 떨어져 있다. 이 사진은 하늘의 41도 영역에 걸쳐 뻗어 있는 이 성운을 수소 알파선 영역에서 촬영한 것으로 희미하게 복사선을 방출하고 있는 지역은 배경을 이루는 우리 은하의 별들에 묻혀 인식하기 어려운 영역이기도 하다. 남반구의 돛자리와 고물자리에 걸쳐 뻗어있는 이 성운은 백만년쯤 전에 폭발한 초신성 잔해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사진 위에 커서를 올려놓으면 돛자리의 초신성 잔해를 비롯한 검 성운에 포함된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