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141

STAR TALES 연재 완료 후기 : 별자리는 운세가 아닙니다.

1. 별자리 여정의 시작  저는 밤하늘을 통째로 보는 걸 좋아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모든 장비 중 화각이 가장 넓은 초광각렌즈를 사용하여 밤하늘을 즐기곤 합니다. 바로 제 눈이죠.  두께가 40센티도 넘는 코스트코 자충 매트를 펼쳐놓고 누워 하늘을 바라보노라면, 펼쳐놓은 망원경은 파수꾼 역할에 만족할 때도 가끔 있습니다.  시시각각 흘러가는 하늘의 모습은 전혀 심심하지 않습니다.그 하늘에 별똥별도 무수히 내립니다. 구태여 유성우를 쫓아다닐 필요도 없죠.  그리고 그 하늘의 별들을 이어봅니다.  여러분도 한 번 해보세요.  아무 생각 없이 별들을 내 생각대로 이어보는 겁니다. 의외로 제법 많은 경우 무작위로 향하는 선이 익히 알려진 별자리 선을 따라갈 때가 있습니다.  그건 이미 알려진 별자리 선이 내..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4. 허셜의 망원경자리(Telescopium Herchelii)

허셜의 망원경자리는 1781년 천왕성을 발견한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을 기념하는 별자리였습니다.  이 별자리는 헝가리 태생의 천문학자이자 비엔나 천문대 대장이었던 막시밀리언 헬(Maximilian Hell, 1720~1792)이 만들었습니다.  헬은 이 별자리를 자신의 책, 를 통해 소개했습니다.  헬이 만든 또 하나의 별자리인 조지의 하프자리(Harpa Georgii)도 이 책을 통해 소개되었습니다.  그런데 헬은 허셜의 망원경자리로 두 개의 망원경을 그렸습니다.  그리고 천왕성이 발견된 지점 가까이 있는 황소자리(TAURUS) 제타(ζ)별 양쪽 빈틈에 각각 하나씩 해서 두 개의 별자리를 만들었습니다. 그림 1.  허셜의 큰망원경자리(Tubus Hershelii Major)허셜이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3. 프리드리히의 영광자리(Honores Friderici)

이 별자리는 1787년 요한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가 프러시아의 위대한 왕 프리드리히를 기리기 위해 만든 별자리입니다.  프리드리히는 이 별자리가 소개되기 1년 전에 사망했죠.  이 별자리의 발표문은 보데 자신의 책인 1787년 판 에 실렸으며 별목록 및 별자리에 대한 설명은 1792년 베를린에서 발간된 에 실렸습니다.  보데는 원래 이 별자리를 독일어 이름인 '프리드리히의 명예(Friedrichs Ehre)'로 불렀습니다.  독일어 'Ehre'는 '영광', '명예'로 해석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1801년 펴낸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에서는 '호노레스 프리데리치(Honores Friderici)'라는 라틴어로 표기하였습니다.  그래서 다른 별지..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2. 포니아토프스키의 황소자리(Taurus Poniatovii)

땅꾼자리(OPHIUCHUS)와 독수리자리(AQUILA) 사이에, 뱀자리(SERPENS) 꼬리부분과 중첩되어 어색하게 자리잡은 포니아토프스키의 황소자리(Taurus Poniatovii)는 오늘날 리투아니아 빌뉴스(Vilnius)가 있는 빌나(Vilna) 왕립천문대 대장 마르틴 포초부트(Martin Poczobut, 1728~1810)가 1777년 소개한 별자리입니다.  포초부트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군주이자 자신의 왕이었던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Stanisław August Poniatowski)를 기리기 위해 이 별자리를 만들었습니다.  스타니스와프 왕은 예술가와 과학자의 후원자로 유명했으며, 황소는 포니아토프스키 가문의 문장이었습니다.  이 작은 황소의 얼굴은 땅꾼자리의 오른쪽 어깨와..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1. 티그리스강자리(Tigris)

티그리스강자리는 이름 그대로 이라크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함께 메소포타미아를 가로지르는 티그리스강을 상징하는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1612년, 페트로스 프란키우스(Petrus Plancius, 1552~1622)가 요르단강자리(Jordanus)를 소개한 천구의를 통해 함께 소개한 별자리입니다.  천상의 티그리스강은 페가수스(PEGASUS)의 목에서 시작되어 백조(CYGNUS)와 독수리(AQUILA) 사이의 여우자리(VULPECULA)를 휩쓸고 지나 땅꾼자리(OPHIUCHUS) 오른쪽 어깨에 있는 V자 형태로 늘어선 별들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림 1티그리스강자리는 페가수스의 목(오른쪽)에서 시작되어 땅꾼자리의 오른쪽 어깨(왼쪽)에서 끝을 맺습니다. 이 그림은 이작 하브레크트 2세(Isaac Habrec..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0. 통나무와 밧줄자리(Lochium Funis)

그림 1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18장에 그려진 나침반자리와 나침반을 둘러싸고 있는 '통나무와 밧줄자리(Lochium Funis) '통나무와 밧줄자리'는 1801년 요한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가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를 통해 소개한 남반구의 별자리입니다.  여기서 '통나무'와 '밧줄'은 항해용 통나무와 끈으로서 배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곤 했던 도구를 상징합니다.  이 별자리는 프랑스 천문학자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가 만든 나침반자리(PYXIS)를 구불구불 휘어감고 있습니다.  통나무와 밧줄자리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평평한 나무와 이 나무를 매달고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9. 케르베로스자리(Cerberus)

케르베로스는 하데스의 저승 입구를 지키는 머리가 세 개 달린 괴물입니다.  살아 있는 이가 저승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그리고 죽은 이가 저승에서 나가지 못하도록 막는 것인 케르베로스의 임무입니다.  헤르쿨레스가 수행해야 했던 12과업 중 가장 어려운 임무가 바로 저승으로 내려가 케르베로스를 끌고 오는 것이었습니다. 헤르쿨레스는 맨손으로 케르베로스를 제압하였습니다.  그리고 몸부림치며 저항하는 케르베로스를 저승의 어둠으로부터 햇살 가득한 지상까지 끌고 왔습니다.  세 개의 머리가 짖어대는 끔찍한 소리가 세상을 가득 채웠다고 합니다.  헤르쿨레스의 위업을 기념하는 별자리로서 케르베로스자리가 추가된 것은 1687년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가 발행한 별목록에서였..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8. 찰스의 참나무자리(Robur Carolinum)

찰스의 참나무자리는 1678년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가 영국왕 찰스 2세에 대한 충성심으로 만든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1651년 벌어진 우스터(Worcester) 전투에서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의 공화국 군대에게 패한 찰스 왕이 몸을 숨긴 참나무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핼리는 이 별자리를 만드는데 아르고자리(Argo Navis)의 별을 이용하였습니다.  핼리는 남반구 하늘을 관측하기 위해 1676년 남대서양의 세인트 헬레나 섬을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찰스의 참나무자리는 이때 만들어졌습니다.  1678년 런던으로 돌아온 핼리는 자신의 관측 결과를 왕립학회에 제출하였고 이듬해 을 출간하였습니다.  핼리는 이 책과 부록으로 제공된 별지도 모두에 찰스의..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7. 조지의 하프자리(Harpa Georgii)

그림 1막시밀리안 헬의 별지도에 등장하는 조지의 하프자리 (Psalterium Georgianum)   이 별자리는 1789년, 헝가리 태생의 비엔나 천문대 감독 막시밀리안 헬(Maximilian Hell, 1720~1792)이 '프살테리움 게오르기아눔(Psalterium Georgianum)' 즉, '게오르그의 프살테리움'이라는 제목으로 소개한 별자리입니다.  프살테리움이란 중세 시대에 사용된 하프의 일종입니다.  이 별자리는 1781년 천왕성을 발견한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의 후원자, 영국왕 조지 3세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헬은 이 별자리를 알리기 위해 라는 제목의 별지도를 발행했습니다.  이 별지도에서 조지의 하프자리는 리본에 묶여 대롱대롱 매달린 모습으로 묘사되었습..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6. 전기기계자리(Machina Electrica)

그림 1요한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17장에 등장하는 전기기계자리. 가장 왼쪽, 유리원반 뒤로 살짝 보이는 손잡이로 조작되는 유리원반에서 작업이 시작됩니다.  유리원반이 마찰을 통해 전하를 만들어내고, 이렇게 만들어진 전하는 실린더형 전도체 막대기에 유도되어 라이덴 병(오른쪽)에 축적됩니다.  라이덴 병 바로 옆에는 U자 모양의 방전 막대가 있습니다.  도체막대 아래로 실험을 위한 테이블이 사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기기계자리는 독일 천문학자 요한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가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를 통해 소개한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당시만 해도 최첨단 공학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발전기를 상징하는 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