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4. 허셜의 망원경자리(Telescopium Herchelii)

다락방별지기 2025. 3. 18. 13:09

허셜의 망원경자리는 1781년 천왕성을 발견한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을 기념하는 별자리였습니다. 
이 별자리는 헝가리 태생의 천문학자이자 비엔나 천문대 대장이었던 막시밀리언 헬(Maximilian Hell, 1720~1792)이 만들었습니다. 


헬은 이 별자리를 자신의 책, <별 사이에 놓아 영원히 기념하다(Monumenta, Aere Perenniora, Inter Astra Ponenda)>를 통해 소개했습니다. 
헬이 만든 또 하나의 별자리인 조지의 하프자리(Harpa Georgii)도 이 책을 통해 소개되었습니다. 

그런데 헬은 허셜의 망원경자리로 두 개의 망원경을 그렸습니다. 
그리고 천왕성이 발견된 지점 가까이 있는 황소자리(TAURUS) 제타(ζ)별 양쪽 빈틈에 각각 하나씩 해서 두 개의 별자리를 만들었습니다. 


그림 1.  허셜의 큰망원경자리(Tubus Hershelii Major)


허셜이 사용한 6미터 길이의 망원경을 상징하는 허셜의 큰망원경자리(Tubus Hershelii Major)는 쌍둥이자리(GEMINI)와 살쾡이자리(LYNX)마차부자리(AURIGA)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한편 2.1미터 길이의 반사망원경을 상징하는 허셜의 작은망원경자리(Tubus Hershelii Minor)는 오리온자리(ORION)와 황소자리 머리 사이에 어색하게 놓여 있었죠. 

 


그림 2. 허셜의 작은망원경자리(Tubus Hershelii Minor)

 

그러나 정확하지 않은 그림으로 판단하건대, 헬은 허셜의 망원경을 일체 보지 못했던 것이 틀림없습니다. 
허셜의 작은망원경자리의 경우에는 심지어 망원경의 유형도 잘못 그려져 있습니다. 
허셜은 자신이 직접 만든 반사망원경만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헬의 책에는 굴절망원경이 그려져 있습니다. 

요한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는 두 개 망원경을 하나로 줄여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에 실었습니다. 
이름 역시 허셜의 망원경(Telescopium Herschelii)으로만 표현했죠. 
이 별자리는 허셜의 큰망원경자리가 있던 자리에 놓여졌습니다. 


보데는 허셜로부터 망원경을 구입한 경험이 있어 허셜의 망원경이 어떤 모습인지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허셜이 천왕성을 발견하는데 사용한 2.1미터 길이의 반사망원경을 우라노그라피아에 사실적으로 묘사했습니다. 

보데가 손을 본 허셜의 망원경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오늘날의 마차부자리 40별인 4.8등급의 별입니다. 
보데는 이 별에 소문자 'a'를 붙였습니다.  

하지만 허셜의 망원경자리도 살아남지 못했고, 허셜의 망원경자리를 구성하던 별들은 마차부자리와 쌍둥이자리, 살쾡이자리로 돌아갔습니다. 


그림 3
요한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5장에 등장하는 허셜의 망원경자리.
1781년 허셜이 천왕성을 발견할 때 사용한 반사망원경이 그려져 있습니다. 
허셜이 직접 디자인한 이 망원경은 2.1미터 길이의 나무 경통에 157.5밀리(6.2인치) 거울을 달고 경위대 위에 얹어져 있었습니다.  당시 망원경은 구경보다는 길이로 묘사되었습니다.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공식 88개 별자리에 해당하는 별자리는 라틴어 철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대소문자 혼용으로 표기하였습니다. 
2.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3.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