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 1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18장에 그려진 나침반자리와 나침반을 둘러싸고 있는 '통나무와 밧줄자리(Lochium Funis) |
'통나무와 밧줄자리'는 1801년 요한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가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를 통해 소개한 남반구의 별자리입니다.
여기서 '통나무'와 '밧줄'은 항해용 통나무와 끈으로서 배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곤 했던 도구를 상징합니다.
이 별자리는 프랑스 천문학자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가 만든 나침반자리(PYXIS)를 구불구불 휘어감고 있습니다.
통나무와 밧줄자리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평평한 나무와 이 나무를 매달고 군데군데 매듭이 지어진 밧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통나무를 바다로 던집니다.
그리고 모래시계로 시간을 제어 약 30초 동안 풀려나간 줄의 매듭 수를 셉니다.
풀려나간 매듭 수로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시간으로 나누어 속도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보데는 통나무와 밧줄자리를 나침반자리와 묶어 하나의 형상으로 다뤘습니다.
그래서 우라노그라피아에서 이 두 개 별자리는 동일한 영역 안에 들어가 있습니다. (그림 1 참고)
보데는 또한 부록으로 제공된 별목록인 <별들의 개요 및 소개(Allgemeine Beschreibung und Nachweisung der Gestirne)>에서도 한 목록 안에 두 개 별자리의 별을 모두 기록했습니다.
사실 뱃사람들은 배의 속도를 재는 동안 나침반으로 방향을 동시에 보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카유의 나침반자리와 달리, 보데의 통나무와 밧줄자리는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못하고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공식 88개 별자리에 해당하는 별자리는 라틴어 철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대소문자 혼용으로 표기하였습니다.
2.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3.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2. 별자리 이야기 > STAR TA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2. 포니아토프스키의 황소자리(Taurus Poniatovii) (0) | 2025.03.16 |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1. 티그리스강자리(Tigris) (0) | 2025.03.15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9. 케르베로스자리(Cerberus) (1) | 2025.03.13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8. 찰스의 참나무자리(Robur Carolinum) (1) | 2025.03.12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7. 조지의 하프자리(Harpa Georgii)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