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8. 찰스의 참나무자리(Robur Carolinum)

다락방별지기 2025. 3. 12. 12:19

찰스의 참나무자리는 1678년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가 영국왕 찰스 2세에 대한 충성심으로 만든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1651년 벌어진 우스터(Worcester) 전투에서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의 공화국 군대에게 패한 찰스 왕이 몸을 숨긴 참나무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핼리는 이 별자리를 만드는데 아르고자리(Argo Navis)의 별을 이용하였습니다. 

핼리는 남반구 하늘을 관측하기 위해 1676년 남대서양의 세인트 헬레나 섬을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찰스의 참나무자리는 이때 만들어졌습니다. 

1678년 런던으로 돌아온 핼리는 자신의 관측 결과를 왕립학회에 제출하였고 이듬해 <남쪽 별목록(Catalogus Stellarum Australium)>을 출간하였습니다. 
핼리는 이 책과 부록으로 제공된 별지도 모두에 찰스의 참나무자리를 기록했습니다. 




그림 1
핼리가 그린 '찰스의 참나무자리(Robur Carolinum)'가 아르고호의 이물과 켄타우루스자리(CENTAURUS) 사이에 보입니다. 
오늘날 기준으로 참나무 아래 둥치에 있는 별은 용골자리(CARINA) 베타(β)별입니다. 
반대로 참나부 둥치 한 가운데 나뭇잎이 무성하게 퍼져나가기 시작하는 바로 아래 보이는 별은 IC 2602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이자 남쪽 플레이아데스(the Southern Pleiades)라는 별명을 가진 용골자리 세타(θ)별입니다.  
바로 위로 보이는 네 개 별에는 특이폭발형변광성(the peculiar eruptive variable)인 용골자리 에타(η)별이 있습니다. 
이 별을 둘러싸고 있는 성운은 우리 은하 미리내의 밀집 지역과 연관이 있는데 아마도 이 부분이 풍성한 나뭇잎을 상상하는 근거가 됐을 겁니다. 

 

핼리가 만든 별자리를 처음으로 받아들인 이는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였습니다. 
사실 헤벨리우스는 핼리의 친구였습니다. 
그래서 헤벨리우스의 그 유명한 별지도인 <소비에스키의 창공(Firmamentum Sobiescianum), 1690>에 찰스의 참나무자리가 실리게 된 것입니다.


그림 2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소비에스키의 창공( Firmamentum Sobiescianum , 1690) 아르고자리 오른쪽 한 켠에 그려진 찰스의 참나무자리. ROBUR CAROLI라는 표기가 보입니다. 


찰스의 참나무자리에는 12개 별이 속해 있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밝은 별은 참나무의 뿌리에 있는 2등급 별로서, 후에 라카유에 의해 오늘날 우리가 알고있는 용골자리 베타(β)별로 분류된 별입니다. 

핼리의 목록에 있는 별 중 네 번째로 기록된 별은 참나무의 가지를 장식하는 별이었습니다. 
이 별이 바로 오늘날 용골자리 에타(η)별로 알려져 있는 특이폭발형변광성(the peculiar eruptive variable)입니다. 
이로서 핼리의 목록은 용골자리 에타별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목록이 되었죠. 

핼리는 찰스의 참나무자리를 찰스 2세 왕에 대한 영원한 기억이 될 것이라고 기록했지만 핼리나 찰스 2세의 바람과는 달리  그리 오래 가지 못한 별자리가 되었습니다. 

찰스의 참나무자리는 75년 후, 남반구의 별을 핼리보다 훨씬 더 포괄적으로 조사한 프랑스 천문학자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에 의해 지워졌습니다. 

라카유는 핼리가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기 위해 아르고자리의 일부를 할당한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의심할 여지없이 핼리의 국수주의적 동기에 동의하지 않는 감정이 포함되었을 것입니다. 

이후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이 영국 국왕을 향한 복종의 상징을 무시해 버렸습니다. 
그런데 한 사람 예외가 있었죠. 
바로 요한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입니다. 
보데는 자신의 별지도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에서 이 별자리를 포함시키고 'Robur Caroli II'라는 이름을 달았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보데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이 별자리는 소멸을 면치 못했습니다. 


그림 3
요한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20장에 등장하는 찰스의 참나무자리.
찰스의 참나무자리가 아르고자리의 선체를 가로지르며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른 별지도에서는 이 위치에 서로 충돌하는 바위나 구름이 그려져 있습니다.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공식 88개 별자리에 해당하는 별자리는 라틴어 철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대소문자 혼용으로 표기하였습니다. 
2.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3.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