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란툴라 성운 - 우주의 거미줄을 풀어내다.

2014. 1. 11. 14:043. 천문뉴스/ESA 허블

 

Credit: NASA, ESA, E. Sabbi (STScI)

사진1>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이 새로운 사진은 적외선으로 촬영한 타란툴라 성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지역엔 성단과 불타오르는 가스, 그리고 두꺼운 검은 먼지들이 가득 들어차 있다.

허블 타란툴라 트레저리 프로젝트(the Hubble Tarantula Treasury Project, 이하 HTTP)의 일환으로 관측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이 사진은 허블 WFC3와 ACS를 이용하여 촬영되었다.

HTTP는 타란툴라 성운 내에 존재하는 수백만개의 별들을 스캔하고 촬영하고 있으며 이 별들의 위치와 속성을 규명해내고 있다.

이 관측자료들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별들의 구조를 보고 이 성운의 뼈대에 대한 이해를 종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타란툴라 성운 - 우주거미의 거미줄을 풀어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최상의 화질로 찍어낸 이 사진은 성단과 불타오르는 가스와 검은 먼지들이 가득들어찬  타란툴라 성운으로 알려져 있는 우주의 거미를 촬영한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별들의 해부구조를 이해하려는 노력인 허블 타란툴라 트레저리 프로젝트(the Hubble Tarantula Treasury Project, 이하 HTTP)의 일환으로 이 성운을 탐사하고 지도를 그려내고 있다.

 

타란툴라 성운은 가장 가까운 이웃 은하 중 하나인 대마젤란 성운에 자리잡고 있다.

허블 우주망원경은 이 천상의 거미를 찰영한 사진을 2004년과 2010년, 2011년과 2012년에 걸쳐 여러번 배포해왔다.
이 사진들도 한결같이 이 사나운 광풍이 몰아치는 지역을 인상적인 파노라마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지만 이번에 발표된 사진은 지금까지 찰영된 사진 중 가장 고화질의 사진이며 이 성운 내부의 세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HTTP의 일환으로 촬영된 자료들로 만들어진 이 사진은 허블 WFC3와 ACS를 통해 취득된 근적외선 데이터를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적외선 필터의 조합덕분에 사진 가득이 들어찬 보라색 연무와, 먼지들로 이루어진 붉은색의 다발들과 밝은 별들이 함께 어우러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지역은  부분부분 전리수소가 들어차고 그 안에 새로운 별을 만들고 있는 거대한 먼지구름인 HII 지역의 한 예이다.
사진 중앙 왼쪽으로는 R136으로 알려진, 별빛이 넘쳐나는 성단이 자리잡고 있다.

 

이 천체는 원래 하나의 별로서 인식되었었는데 천문학자들은 어떻게 하나의 거대한 별이 광활한 HII지역을 이온화시킬 수 있는지를 늘 고민해왔다.
그러다가 나중에 이 별이 실제로는 별들이 대규모로 뭉쳐져 있는 성단임을 알게 된 것이다.

R136은 결국 공처럼 둥글게 몰려 있는 늙은 별들이 자신이 몸담고 있는 은하주위를 공전하는 구상성단이 될 것이다.
R136은 너무나 무거운 천체여서 이 성운을 밝히고 있는 대부분의 에너지가 여기로부터 쏟아져나오며 타란툴라 성운의 밝기에 큰 공험을 하고 있다.

 

HTTP는 타란툴라 성운 내에 존재하는 수백만개의 별들을 스캔하고 촬영하고 있으며 이 별들의 위치와 속성을 규명해내고 있다.

이 관측자료들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이 성운의 뼈대에 대한 이해를 종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1]

 

Credit: NASA, ESA, E. Sabbi (STScI)

사진 2>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으로 촬영한 타란툴라 성운의 모습

 

Credit: NASA, ESA, E. Sabbi (STScI)

사진3> 가시광선 및 적외선 사진 비교

 

Credit: NASA, ESA, Digitized Sky Survey 2. Acknowledgement: Davide De Marti

사진 4> 이 사진은 지상에서 바라본 타란툴라 성운의 모습으로서 이 성운 전체 모습을 한 눈에 보여주고 있다.           

이 성운은 국부 우주에서 새로운 별들이 생성되는 가장 밝은 지역이기도 하다.

비록 허블이 촬영한 앞의 사진들은이 이 사진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초신성 잔해를 포함한 세부 모습을 밝혀주고 있긴 하지만
허블은 이 사진의 상단 우측 1/4부분 내의 아주 작은 부분만을 촬영한 것이다.

 

 

각주
[1] 이 사진은 또한 시각장애 아동들에게 별의 진화를 알려주는 온라인 책을 만드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별 연구 : 만지고, 보고, 듣고, 배워봅시다.(Reach for the Stars: Touch, Look, Listen, Learn)"라는 제목을 단 이 책은 허블 수석 연구원인 엘레나 사비(Elena Sabbi)와 동료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더 자세한 정보는 NASA 허블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http://hubblesite.org/newscenter/archive/releases/2014/02

 

* 출처 : 유럽우주국(ESA) 허블 2014년 1월 9일 발표 뉴스
            http://www.spacetelescope.org/news/heic1402/

 

참고 : 타란툴라 성운을 비롯한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74 
          
참고 : 대마젤란 은하를 비롯한 각종 은하 및 은하단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은하 일반 :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76
       - 은하단 및 은하그룹 :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78
       - 은하 충돌 :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77

 

 

원문>

heic1402 - Photo Release

Unravelling the web of a cosmic creeply-crawly

9 January 2014

This new Hubble image is the best-ever view of a cosmic creepy-crawly known as the Tarantula Nebula, a region full of star clusters, glowing gas, and dark dust. Astronomers are exploring and mapping this nebula as part of the Hubble Tarantula Treasury Project, in a bid to try to understand its starry anatomy.

The Tarantula Nebula is located in one of our closest galactic neighbours, the Large Magellanic Cloud. Hubble has released images of this celestial spider several times before: in 2004 (heic0416), 2010 (heic1008), 2011 (heic1105) and 2012 (heic1206). While these images show striking panoramic views of this turbulent region, this new image gives us the deepest and most detailed view yet.

Created using observations taken as part of the Hubble Tarantula Treasury Project (HTTP), this image is composed of near-infrared observations from both Hubble's Wide Field Camera 3 (WFC3) and Advanced Camera for Surveys (ACS). Due to the combination of infrared filters in this image a purple haze fills the frame, with deep red wisps of dust and bright stars scattered throughout.

This region is an example of an HII region — a large cloud of partially ionised hydrogen within which new stars are being born. Visible to the left of centre is a sparkling star cluster known as R136. It was initially identified as a star, but astronomers puzzled over how one single monstrous star could ionise a giant HII region. However, astronomers later realised it was actually a cluster of stars: a super star cluster.

R136 will eventually become a globular cluster: a spherical ball of old stars that orbits around the centre of its host galaxy. R136 is so massive that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Tarantula's brightness, emitting most of the energy that makes the nebula so visible.

The Hubble Tarantula Treasury Project (HTTP) is scanning and imaging many of the stars within the Tarantula, mapping out the locations and properties of the nebula's stellar inhabitants. These observations will help astronomers to view the nebula and piece together an understanding of the nebula's structure [1].

This new image is being released today, 9 January 2014, at the 223rd meeting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in Washington, DC, USA.

Notes

[1] This image of 30 Doradus is also the focal point of an iBook on stellar evolution aimed at children with visual imparments. The book, called "Reach for the Stars: Touch, Look, Listen, Learn" is produced by Elena Sabbi — the lead researcher on this Hubble image — and her collaborators. More information can be found here.

Notes for editors

The Hubble Space Telescope is a projec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between ESA and NASA.

More information

Image credit: NASA, ESA, E. Sabbi (STScI)

Links

Contacts

Ray Villard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Baltimore, Maryland, USA
Cell: +1-410-338-4514
Email: villard@stsci.edu

Nicky Guttridge
ESA/Hubble Public Information Officer
Garching bei München, Germany
Tel: +49-89-3200-6855
Cell: +44 7512 318322
Email: nguttrid@partner.eso.org

 

 

'3. 천문뉴스 > ESA 허블' 카테고리의 다른 글

HH 909A  (0) 2014.02.05
M83 : 두 개의 심장을 가진 은하  (0) 2014.01.11
빛의 장관을 보여주는 고물자리 RS별 (RS Pup)  (0) 2013.12.19
에리다누스강자리의 은하들  (0) 2013.12.15
M15  (0) 201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