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04)
-
NHK 다큐 - 우주대기행
히카루 님의 블로그(http://blog.naver.com/rhdwndktnfk)에서 담아왔습니다.
2007.11.20 -
허블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 -9-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다. 허블관측을 통하여 천문학자들은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우주의 나이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는데, 현재 그 불확실성은 10퍼센트이하로 줄어든 상태이다. 첫 번째 방법은 허블 상수라 불리는 변수를 활용하여 우주의 팽창비율을 통해 계산하는 방법이다. 1999년 ..
2007.11.20 -
허블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 -8-
초신성 주위에서 발견된 '우주의 진주' 이십여년 전 천문학자들이 400년 이상 폭발이 지속되고 있는 가장 밝은 별중 하나를 찾아냈다. 첫번째 발견 이후 1987A라고 명명된, 사멸의 길을 걷고 있는 이 초신성은 스펙터클한 빛의 향연으로 천문학자들에게 환상적인 모습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 수많은 관측기구들 중 하나인 허블 우주 망원경은 이 별로부터 쏟아져 나오는 폭풍의 영향을 조사하고 있다. 이 이미지는 초신성 주위 전체 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구조는 일련의 밝은 점으로 이루어진 고리 모양이다. 별의 폭풍으로인해 떨어져 나온 물질들의 충격파가 고리의 내부 지역을 따라 이 지역을 쓸어내고, 가열시켜, 더더욱 맹렬하게 빛을 뿜어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지름 약 1광년에 달하는 ..
2007.11.18 -
허블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 -7-
가장 가까운 거리의 외계 행성, 행성 생성 구역. 이 그림은 엡실론 에리다니라는 별의 주위를 공전하는 목성 정도 질량의 행성을 그린 상상도이다. 10.5광년 떨어진 이 행성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이다. 이 행성의 공전궤도는 자신의 태양인 엡실론 에리다니와 가장 가까울 때는 태양부터 지구 정도의 거리이고, 가장 먼 지점에서는 태양으로부터 목성 정도까지의 거리로 타원형 형태를 갖추고 있다. 엡실론 에리다니는 8억살 밖에 되지 않은 매우 어린 별로서, 약 20억 마일에 걸친 먼지 원반으로 둘러싸여있다. 이 그림에서 먼지 원반은 1차원의 선모양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행성의 공전궤도에서 바라볼 때, 공전궤도면과 먼지 디스크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모서리만 볼 수 있기..
2007.11.18 -
허블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 -6-
은하에서의 감마선 폭발체.(빅뱅 이후 가장 큰 폭발) 이 이미지들은 허블 우주 망원경에 포착된, 감마선폭발 은하들을 샘플링한 것이다. 감마선 폭발은 극단적인 질량을 가진 초신성의 폭발로 인해 방출되는 고에너지의 복사섬광이다. 장기간의 폭발은 1~2초 이상 지속된다. 초록색 십자..
2007.11.18 -
허블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 -5-
원시은하에서 블랙홀의 생성 패턴을 확인하다. 여기 우표크기 정도의 사진들은 아주 멀리 존재하는 은하들로서 다른 은하들과 합병되는 과정에 있는 36개 은하들의 사진이다. 이 은하들은 수십억년전 은하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들의 둥근몸체와 꼬리 모양 때문에 '올챙이 은하(Tadpole Galaxy)'라고 이름지었다. 2004년 허블은 'Ultra Deep Field(HUDF)'를 이용하여 수천장의 먼 은하들을 촬영했다. 이 은하들은 연구팀이 HUDF를 이용하여 최근까지 연구해온 165개가 넘는 은하들 중 일부이다. 연구팀은 이 은하들에서 블랙홀의 흔적을 찾아왔다. 블랙홀의 활동 중 주목할만한 특징은 밝기의 지속적인 변화가 발생한다는 데에 있는데, 이것은 블랙홀이 주위의 가스와 별들을 ..
2007.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