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04)
-
별들의 요람 NGC 4449
7월 4일 미국의 독립기념일을 축하하는 불꽃놀이가 미국의 도시들을 밝히고 있을 때 1250만광년 떨어진 난장이 은하 NGC 4449의 불꽃 역시 내내 타오르고 있었다. 수천수만의 붉은 빛과 푸른 빛이 번쩍이는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NGC 4449의 모습이다. 거리는 대략 1300만 광년(4Mpc)이며 사진의 가로는 19000광년(5분각, 6Kpc)의 거리이다. 거대한 별들로 구성된 초고온의 푸르스름한 하얀 별무리들이 전역에 나타나 있고 현재도 별들이 탄생하고 있는 붉은 빛을 띈 지역에서도 어린 별들이 셀수없는 먼지구름들과 함께 골고루 퍼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거대한 가스와 먼지로 구성된 검은 구름들이 별빛가운데 검은 그림자를 이루고 있다. NGC4449는 지난 수십억 년동안 많은 별들..
2007.09.19 -
젊은 별과 암석부스러기 Disk
천문학자들이 허블우주망원경과 W. M. Keck 천문대의 관측을 통해 HD 15115라고 알려진 젊은 별 주변에서 굴곡이 매우 크게 이그러진 타원형의 먼지 Disk를 발견했다. 사진에서 보는바와 같이 Disk모서리는 별에 붙어있는 바늘처럼 보인다. 천문학자들은 이 Disk의 괴상한 불균형 양상이 별주위를 일그러진 타원형으로 공전하고 있는 행성의 중력에 의해 암석 부스러기들이 쓸려다니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이처럼 기울어진 Disk는 아마도 별 주위를 돌고 있을 행성의 중력이 잔해들을 쓸어내면서 발생했거나 근처에 있는 별의 중력에 의해서 생성되었을 것이다. 이것은 캘리포니아 대학의 폴 칼라스(Paul Kalas), 제임스 그레엄(James Graham), 마이클 피츠제럴드(Michael P. Fi..
2007.09.19 -
별의 최후의 흔적(행성상성운)
허블 망원경이 포착한 이 사진들은 태양과 같은 별들이 종말을 맞이하는 시점에 맹렬하게 타오르는 가스의 분출양상을 보여준다. 행성상성운이라 불리우는 이들 가스구름들은 별의 일생 마지막 단계에서 그 구성물질들이 폭발하면서 우주공간으로 분출되어 만들어진다. 이 때 별의 잔..
2007.09.19 -
허블이 촬영한 깊은 우주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과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지금까지 관측된 우주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은하들 중, 가장 작고 희미한 9개의 은하를 발견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은하들은 우리의 은하보다 수백배에서 수천배 작은 은하들로서 수백만개의 별들에서 쏟아내는 빛으로 눈부시게 빛나고 있다. 메릴랜드 볼티모어의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와 유럽우주항공국에서 근무하는 노어 피르츠칼(Nor Pirzkal)은 이것들은 지금까지 직접 관찰된 초기 우주에서 가장 작은 국부은하군들이라고 말한다. 은하진화의 표준모델은 초기 우주의 작은 은하들이 그보다 거대한 오늘날과 같은 은하들에 합체되어 생성되었다고 예측하고 있다. 허블에 의해 처음 관측된 이들 9개의 은하들은 우리의 우주..
2007.09.08 -
베일 성운의 초신성 폭발 잔해
아래는 허블망원경이 포착한 베일성운의 3개 부분으로 수천년전 폭발한 초신성의 잔해이다. 이 일련의 사진들은 우주적 폭발로부터 생긴 섬세하고, 성긴 천체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준다. 베일 성운은 우주에서 발견되는 가장 경이로운 초신성 잔해중 하나이다. 베일 성운의 폭은 하늘에서 3도 영역에 해당하는데 이는 보름달 크기의 6배에 해당한다. 베일 성운은 중기 초신성 잔해의 전형적인 모습으로서 초신성잔해의 물리적 속성을 연구하는 이상적인 관측재료가 되는데 밝기도 밝거니와,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며 그 크기 또한 매우 크기 때문이다. 베일 성운은 백조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베일 성운은 고리 모습을 띠기 때문에 백조의 고리(Cygnus Loop, 시그너스 루프)로도 알려져 있으며 지구로부터 약 1500광년 떨어져..
2007.09.02 -
천왕성의 링
태양계의 7번째 행성 천왕성의 사진이다. 태양으로부터 천왕성까지의 거리는 19.18AU(1AU는 태양에서부터 지구까지의 거리)로서, 약 45억 킬로미터이며, 천왕성의 직경은 적도기준 5만 1천 킬로미터로 지구의 약 4배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3장의 사진은 지구로부터의 각도에 따른 천왕성의 고리 모습을 보여주는데 2007년 8월 14일 허블의 Wide Field Planetary Camera 2 로부터 촬영된 사진에서는 각도가 최고조(90도)에 달하여 천왕성 고리의 모서리를 볼 수 있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지구에서 그 경사면 모서리가 보이는 천왕성의 보기드문 광경을 2007년 8월 14일 촬영했다. 고리의 모서리는 마치 천왕성을 위아래로 관통한 듯한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 천왕성 고리의 전체..
2007.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