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 성운 2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바라본 나비 성운(NGC 6302)

Image Credit: NASA, ESA, and the Hubble SM4 ERO Team; Reprocessing & Copyright: Francesco Antonucci 우리 지구의 밤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성단이나 성운들에는 주로 꽃이나 곤충의 이름이 붙여지곤 한다. 비록 이 성운의 날개는 3광년 이상 펼쳐져 있긴 하지만 NGC 6302도 예외는 아니다. 표면 온도가 섭씨 25만도로 측정된 이 특별한 행성상 성운을 만들어낸 중심의 죽어가는 별은 독특하게 뜨거운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자외선 대역에서 밝은 빛을 뿜어내고 있지만 두꺼운 먼지 원환체에 갇혀있어 직접적으로 보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죽어가는 별이 만들어낸 성운의 고해상도 확대 사진은 2009년 허블 우주망원경의 WFC3에 의해 촬영되었으며..

백조자리의 성운들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우주 구름이 백조자리의 가로 세로 12도 영역을 촬영한 이 웅장한 사진속에 담겨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으로 담아낸 광대역, 협대역 이미지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이 사진에는 서로 얽혀있는 구름들이 사진 왼쪽 모서리 부근, 중앙에서 약간 아래쪽에 있는 거대한 별 데네브에 의해 하나로 묶여져 있는듯 하다. 백조자리의 알파별인 데네브는 북십자성의 가장 상단에 위치하는 별이며 북반구의 거대 암흑 성운으로 알려진 검은 공간이 바로 그 옆으로 보이고 있다. 데네브 아래쪽으로는 북아메리카 성운(NGC 7000)과 펠리칸 성운(IC 5070)이 위치하고 있다. 또다른 거성인 사드르(백조자리 감마별)가 사진 중신부 나비성운의 밝은 날개 바로 위로 보인다. 이 연장선을 따라 계속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