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행성원반 5

이중별의 공전궤도면과 원시행성원반의 정렬 관계

Credit: ALMA (ESO/NAOJ/NRAO), I. Czekala and G. Kennedy; NRAO/AUI/NSF, S. Dagnello 이 사진은 ALMA에 의해 관측된 것으로 이중별 주위에 형성된 원시행성원반 두 개의 정렬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좀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이중별의 공전궤도가 표시되어 있다. 왼쪽 : HD 98800 B계를 촬영한 것으로 먼지 원반은 이중별의 상호공전궤도와 어긋나 있다. 이 이중별들은 315일 주기로 서로를 공전하고 있다. 오른쪽 : 전갈자리 AK계를 담은 이 사진에서 원반은 이중별의 공전궤도와 같은 궤도면을 가지고 있다. 이 이중별은 13.6일을 주기로 상호 공전하고 있다. 천문학자들이 아타카마 거대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배열(the Atacama Large ..

최신천문뉴스브리핑 2. 별과 행성의 탄생

안녕하십니까? 별지기마을 촌장 다락방별지기 이강민입니다. 우주의 모든 별들이 행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오늘날 보편적인 천문지식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갓태어난 어린 별은 언제부터 행성을 보듬게 되는 것일까요? 2020년 2월 20일 미국국립전파천문대는 "갓태어난 어린 별은 어떻게 행성의 탄생을 준비하고 있을까? "라는 제목으로 별의 탄생, 행성의 탄생에 대한 최신 관측 결과를 보도하였습니다. "VLA와 ALMA를 이용한 원시행성원반 및 원시행성원반의 다양성 탐사(VLA/ALMA Nascent Disk and Multiplicity)" 이른바 밴덤(VANDAM) 서베이로 수집된 원시별과 원시행성원반에 대한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원시별(protostar)이라 불리는 어린 별들은 가스와 먼지 구름..

SPHERE가 촬영한 다양한 원시행성원반들

사진 1> ESO 초거대망원경에 장착된 SPHERE로 촬영된 이 사진들은 가까운 별들 주위에 휘감겨 있는 먼지 원반의 모습을 대단히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원반들은 행성이 형성되면서 만들어진 효과일 것으로 보이는 현상들과 함께 다양한 형태와 크기, 구조들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 2> 이 사진은 GSC 07396-00759라는 이름의 별 주위에서 발견된, 모서리를 우리에게 향하고 있는 원반의 모습이다. 이 별은 DARTTS-S 관측 프로그램이 대상으로 하는 다중별계 중 하나이다. 특이하게도 이 원반은 동일한 다중별계 내에 포함되어 있는 동일한 연령의 다른 황소자리 T유형의 별보다 훨씬더 많은 가스를 포함하고 있다. 원반은 하단 좌측에서 상단 우측으로 뻗어 있으며 중간에 있는 별빛은 인위적으로 차폐되어..

원시행성원반에서 처음으로 메틸알콜을 발견하다.

그림 1> 이 상상화는 바다뱀자리의 별인 바다뱀자리 TW 별 주위의 원시행성원반을 그려본 것이다. 이 원시행성원반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원시행성원반이다. ALMA를 이용한 관측 결과 이 원시행성원반에서 유기분자인 메틸알콜(메탄올)이 발견되었다. 이번 발견은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은 원시행성원반으로서는 유기화합물질이 처음으로 발견된 경우에 해당된다. ALMA 관측을 통해 바다뱀자리 TW별의 원시행성원반에서 유기분자인 메틸알콜(메탄올)이 발견되었다. 이번 발견은 이처럼 어린 행성원반에서 발견된 화합물로는 첫번째 사례에 해당한다. 메탄올은 명백하게 얼음 물질로부터 파생된, 이 원시행성원반 상에서 유일한 복합유기분자이다. 이번 탐사결과는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행성계의 생성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

지구는 왜 이렇게 건조할까?

그림 1> 이 삽화는 46억년 전, 새로 탄생한 태양을 휘감고 있던 원시행성 원반의 구조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두 개의 서로 다른 모델을 비교하고 있다. 태양의 가족인 행성들은 이 원반의 먼지와 얼음이 덩어리지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 두 모델의 가장 큰 차이점은 따뜻하고 건조한 지역을 차갑고 거친 지역과 나누는, 스노우 라인(Snow Line)이라 불리는 경계선이 어디쯤에 위치해 있는가에 있다. 왼쪽 삽화는 표준 원반 모델로서 이 모델에서 지구는 스노우 라인 바깥쪽, 즉 얼음 지역에서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지구는 얼음이 뭉쳐지면서 형성되었을 것이므로 반드시 엄청난 양의 물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지구의 구성성분중 물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어야 한다. 그러나 지구는 고작 1퍼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