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이 그림은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을 휘감고 있는 먼지 벨트가 어떻게 생겼을지를 상상해 본 것이다. ALMA관측을 통해서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로부터 태양과 지구 대비 1~4배 사이 지점에서 차가운 먼지로부터 발생하는 복사가 포착되었다. 이 데이터는 또한 훨씬 바깥쪽에 훨씬 더 차가운 먼지 벨트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점과 정교한 행성계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이러한 구조들은 훨씬 더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태양계의 먼지 띠들과 상당히 유사한데 이 구조들은 행성을 형성하고 남겨진 바위나 얼음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프록시마 b 행성을 보다 확실하게 표현하려다보니 이 그림은 실제 축적을 반영하고 있지는 않다. ALMA가 태양과 가장 가까운 별인 켄타우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