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DF 5

빛과 소리가 담긴 허블울트라딥필드(the Hubble Ultra-Deep Field)

참고 : 사진이 안 보이시는 분은 하기 원문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https://apod.nasa.gov/apod/ap180305.html Image Credit: NASA, ESA, Hubble; Sonification: G. Salvesen (UCSB); Data: M. Rafelski et al. 허블울트라딥필드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허블울트라딥필드를 안다 해도 이런 식으로 들어본 적은 없을 것이다. 사진 위에 포인터를 올리가 한 번 들어보라! 허블울트라딥필드는 2003년과 2004년 허블우주망원경이 텅 비어있는 듯한 우주의 특정 지역을 오랫동안 관측하면서 담아낸, 머나먼 곳에 떨어져 있는 희미한 은하들을 포착해낸 사진이다. 천문사진에 있어 가장 유명한 사진 중 하나가 된 허블울트라딥필드가 ..

허블 울트라 딥 필드 2014 (Hubble Ultra Deep Field 2014)

Image Credit: NASA, ESA, H.Teplitz and M.Rafelski (IPAC/Caltech), A. Koekemoer (STScI), R. Windhorst(ASU), Z. Levay (STScI) 허블 울트라 딥 필드 2014에 화려한 사탕들과 같은 은하가 가득 들어차 있다. 가장 흐리게 보이는 은하들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들보다 무려 100억배나 더 희미한 은하들로서, 이 은하들은 엄청나게 멀리 떨어진 우주를 보여주는 것이며 빅뱅이 발생하고 고작 1억년밖에 지나지 않은 때를 보여주고 있다.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남반구의 별자리 화학로자리를 응시하면서 가장 멀리 떨어진 우주를 촬영한 것으로 유명한 허블 울트라 딥 필드에 자외선 데이터를 추가한 사진이다. 따라서 이 사진은..

허블 울트라 딥 필드 2014 (Hubble Ultra Deep Field 2014)

천문학자들이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진화하는 우주에 대한 종합적인 사진을 집대성해냈다. 이 사진은 24살의 이 우주망원경이 촬영해온 깊은 우주를 가장 화려하게 촬영해낸 사진 중 하나이다. 과학자들은 허블 울트라 딥 필드의 자외선 범위(the Ultraviolet Coverage of the Hubble Ultra Deep Field, 이하 UVUDF)라 불리는 새로운 연구로부터 도출된 이 사진이 별의 생성에 있어 잃어버린 고리를 제공해주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허블 울트라 딥 필드 2014'라는 이름의 이 사진은 허블 ACS와 WFC3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촬영한 각각의 사진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이전에 천문학자들은 2003년부터 2009년까지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대역으로 촬영한 일련의 ..

근적외선으로 촬영한 Huble Ultra Deep Field

은하는 언제 만들어진 것일까? 이를 알아내기 위해 2004년 허블우주망원경의 가시광 파장으로 촬영된 이른바 'Hubble Ultra Deep Field(HUDF)'와 동일 지역을 근적외선으로 촬영하였다. 이 사진은 지난 여름 허블우주망원경에 새로장착된 Wide Field Camera 3로 촬영된 것이다. 사진에 보이는 붉은 색의 흐릿한 윤곽들의 적색 편이 정도는 8을 넘어서고 있다. 따라서 이 은하들은 우주가 시작된지 얼마되지 않은 과거에 존재했던 것들이며 아마도 은하의 첫세대를 구성하고 있는 은하들일 것이다. . 몇몇 거대한 현재의 은하들이 전경을 화려하게 수놓고 있다. HUDF09팀의 분석에 따르면 이들 초기은하들중 최소 몇몇 은하는 약간의 성간 먼지를 보유하고 있었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낮은 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