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petus 5

토성의 가장 거대한 고리를 발견하다.

이 뉴스는 11년 전인 2009년 10월에 발표된 뉴스입니다. 2020년 1월,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solarsystem.nasa.gov)사이트에서 발표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 뉴스에서 이 뉴스가 첫 번째 뉴스로 꼽혀 오래된 내용이지만 이곳에 상세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역자 주) Image credit: NASA/JPL-Caltech/Keck 그림 1> 이 그림은 2009년 10월 7일 발표된 토성의 새로운 고리를 그린 상상화이다. 이 고리는 토성의 여러 고리들 중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이 고리는 스피처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다. NASA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통해 토성 주위를 휘감고 있는 거대한 고리가 ..

이아페투스의 미묘한 색깔 차이

카시니호가 2015년 초 1주일여 동안 서로 다른 미묘한 색감차이를 보이는, 지름 1471 킬로미터의 토성의 달 이아페투스의 밝은 지형을 조사하기 위한 일환으로 2가지 색조로 빛나는 이아페투스를 바라보았다. 현재 진행중인 임무 중에서 수행된 이번 접근은 카시니호가 이아페투스에 두 번째로 가까운 거리까지 다가선 것으로 2011년에는 현재 거리보다 약간 더 가까운 거리까지 다가선 바 있다. 이번 관측은 밝게 드러난 이아페투스 북극 지역을 괜찮은 상태로 바라볼 수 있게 해 주었다. 하단 우측으로 어둠에 잡겨 있는 거대한 분지는 터르지스(Turgis)라는 이름의 크레이터이다. 9시 방향에 이보다는 약간 더 작은 구덩이는 팔사론(Falsaron)이라는 이름의 크레이터이며, 이 두 개의 주요 구덩이 바로 위로는 롤..

이아페투스 컬러 지도 - 2014

NASA의 카시니호가 10여년동안 토성계를 탐사하면서 촬영한 사진들을 이용하여 토성의 위성인 이아페투스의 전역 컬러 지도가 만들어졌다. 이 지도는 카시니의 데이터로부터 만들어진 토성의 위성들에 대한 최초의 전역 컬러 지도이다. 사진에 보이는 색체는 모두 인위적으로 과장된 것이며 인간의 육안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인 자외선과 적외선 영역까지를 담고 있다. 지도에 담긴 이아페투스의 해상도는 픽셀당 400미터이다. 사진의 선정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치의 조정, 지리적 특성 기재 및 광도교정, 그리고 모자이크 사진의 선정 및 조합은 모두 위성 및 행성 연구소(the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의 폴 솅크(Paul Schenk)가 진행하였다. 원판 사진의 기획 및 촬영 대상 선정..

지난 10년간 토성 위성의 변화.

두 대의 보이저호가 1980년대 초 토성을 짧게 스쳐간 이래 과학자들은 더 많은 정보에 굶주려왔다. 두 대의 보이저 호는 토성의 얼음 위성들인 이 새로운 세상에 대해 짧은 영상들을 제공해주었으며 과학자들은 이 위성들 사이에서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기대했다. 그리고 보이저 호의 계승자인 NASA의 카시니호는 지난 10여년 동안 토성과 그 위성들의 주변을 여행하면서 여러 사진들과 데이터들을 수집하였다. 이 와중에 취합된 소중한 데이터들로부터 만들어진 천연색 지도들은 토성의 6개 주요 위성들에 대한 전역 지도가 제작됨으로써, 카시니호의 수많은 목표중 하나가 기본적으로 충족되었음을 보여준다. 연무에 뒤덮혀 있는 타이탄을 제외한 미마스, 엔켈라두스, 테티스, 디오네, 레아, 이아페투스, 이상 6개의 ..

이아페투스(Iapetus)

토성의 달인 이아페투스(Iapetus)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가? 다른 부분은 얼음으로 인해 밝게 빛을 내고 있음에 반해 이 낯선 세계의 광활한 한 부분은 마치 석탄에 덮힌듯 어둡게 보이고 있다. 이 검은 물질의 조성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적외선 스펙트럼 결과는 이들이 탄소성분의 검은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아페투스는 또한 적도를 가로지르는 융기선을 가지고 있어 전반적인 외양을 마치 호두처럼 보이게 한다. 마치 색칠을 한 듯 보이는 이 위성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NASA는 2007년 토성 궤도를 공전하고 있는 카시니 호를 2천킬로미터 거리까지 접근시켰다. 이 사진은 7만 5천킬로미터 상공에서 촬영된 것으로 카시니의 비행궤도는 항상 토성의 반대쪽을 바라보고 있는 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