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1097 5

NGC 1097 : ALMA가 머나먼 은하의 블랙홀 질량을 측정하다.

사진 1> 이 사진은 막대나선은하 NGC 1097을 여러 파장에서 촬영하여 합성한 것이다. ALMA를 이용하여 두 개 분자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이 은하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억 4천만 배임을 알 수 있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가시광선 사진 위에 ALMA가 탐지한 포르밀리움(HCO+)이 빨간색으로, 시안화수소(HCN)가 녹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모든 거대 은하의 중심에는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이 블랙홀들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수백만배에서 수십억배까지 달한다. 그러나 블랙홀의 질량이 얼마나 무거운지를 결정하는 것은 특히 나선은하나 나선은하의 가까운 사촌격인 막대나선은에 있어서는 힘이 많이 빠지는 일이다. 천문학자들이 ALMA를 이용하여 새로운 ..

NGC 1097

남반구의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나선은하 NGC 1097은 화학로자리, 약 4500만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다채로운 색깔을 담아낸 이 사진에서 푸른색 나선팔들은 새로운 별들이 탄생하는 분홍빛 지역으로 얼룩져 있다. 이 나선팔들은 사진 하단 좌측에, 나선은하의 밝은 핵으로부터 대략 4만광년 떨어져 있는 작은 동반은하를 감싸고 있는듯 보인다. 그러나 이것만이 NGC 1097의 독특한 구조는 아니다. 매우 오랜동안의 노출을 통해 촬영된 이 사진에서는 희미한, 미스테리의 제트를 알려주고 있는데, 좌측으로 휘돌고 있는 푸른빛 나선팔을 넘어서까지 뻗어있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총 4개의 희미한 제트가 NGC 1097을 촬영한 가시광선 사진에서 식별되었다. 이 제트를 추적해보면 은하의 중심핵까..

NGC 1097

수수께끼의 나선은하 NGC 1097은 남쪽 밤하늘의 별자리인 화로자리에, 4천 5백만광년 거리에서 빛나고 있다. 이 천연색 은하의 초상화에서는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는 분홍빛 지역이 얼룩덜룩하게 들어차 있는 푸른색 나선팔이 드러나 있다. 이들은 마치 왼쪽 아래의 작은 동반은하를 감싸고 있는 듯 보인다. 이 동반은하는 NGC 1097의 밝은 은하핵으로부터 4만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NGC 1097에서 가장 특이한 구조는 아니다. 가장 깊은 노출을 통해 바라보면 수수께끼의 제트가 보이는데 이 제트는 우측 하단으로 뻗어나간 푸른색의 나선팔 너머에서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사실 NGC 1097을 촬영한 가시광 사진에서는 궁극적으로 총 4개의 희미한 제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제트들은 ..

NGC 1097

불가사의한 나선은하 NGC 1097은 남반구 화학로자리에 4천 5백만 광년 떨어져 있다. 중앙 바로 왼쪽 아래로 보이는 동반은하는 마치 NGC 1097의 나선팔에 완전히 감싸여 있는 듯이 보이지만 사실 이것은 NGC 1097을 도드라지게 보이는 장면은 아니다. 대신 깊은 노출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 사진에는 오른쪽 하단으로 뻗어있는 밝은 나선팔 너머에 펼쳐진 신비로운 제트가 희미하게 보이고 있다. NGC 1097을 가시광으로 촬영한 사진에서는 최종적으로 네 개의 희미한 제트를 식별해 낼 수 있다. 이 제트를 따라가면 은하핵에 위치한 임이의 중심점을 찾을 수 있긴 하지만 이 제트들은 과거에 소규모의 작은 은하가 훨씬 큰 규모의 은하에 포섭되면서 남은 잔해일 수도 있다. 세이퍼트 은하인 NGC 1097은 그 ..

NGC 1097

나선은하 NGC 1097의 중심부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것일까? 아무도 알수 없지만 중심부에 거대한 블랙홀이 위치하고 있는 것은 확실한 듯 하다. 중심부를 가로지르고 있는 별과 가스의 막대로부터 중심부로 추락하고 있는 물질들은 중심 블랙홀을 감싸고 있는 고에너지 영역에 의해 가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좀더 멀리서 보면, 적외선 영역에서 촬영되어 인위적인 색깔이 입혀진 중심부근의 모습이 신비의 눈처럼 보인다. 왼쪽 끝부분에 보이는 푸른 빛의 천체는 불타는 가스에 의해 분홍색으로 보이는 거대한 나선팔에 감겨진 작은 동반은하이다. 현재 이 동반은하는 거대한 은하중심으로부터 4만광년 떨어져 있으며, 서서이 스스로 파괴되고 있으면서 동시에 중력조석작용을 행사하여 거대 은하의 외형도 바꾸고 있다. N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