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838 Mon 3

외뿔소자리 V838의 빛 메아리

Image Credit: ESA, NASA, Hubble Space Telescope; Music: The Driving Force (Jingle Punks) 무엇이 바깥으로 쏟아져나오는 V838 Mon의 폭풍을 만든 것일까? 이유는 알 수 없지만, V838 Mon은 갑자기 밝아지면서 우리 은하 전체에서 가장 밝은 별들 중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나서 불과 수 개월 만에 어두워졌다. 초신성들과 신성들은 엄청난 양의 물질들을 우주공간으로 쏟아내는데 V838 Mon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섬광은 이전에는 일체 관측되지 않았던 현상이다. 동영상은 유연한 장면연출을 위해 8개의 프레임을 삽입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비록 V838 Mon의 섬광은 몇몇 물질들을 우주로 분출해내는 듯이 보이지만, 동영상에 보이는 바와 ..

외뿔소자리 V838 (V838 Mon)

외뿔소자리 V838 (V838 Mon)을 촬영한 허블 우주망원경의 최근 이미지는 이 별을 둘러싸고 있는 먼지구름에서 극적인 밝기 변화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빛의 메아리(light echo)라 부르는 이 현상으로 2002년 초 몇 주동안 이 별이 갑작스레 밝아지면서 지금까지 보지못했던 별 주변의 먼지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html/heic0503a.html 참고 : V838 Mon을 비롯한 각종 별들에 대한 포스팅은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big-crunch.tis..

외뿔소자리 V838 (V838 Mon)

무엇이 V838 Mon의 폭발 원인일까?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V838 Mon의 표면이 갑작스럽게 팽창되면서 2002년 1월에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이 되었으나 곧바로 희미해졌다. 이러한 섬광은 구성물질을 우주공간으로 쏟아내는 초신성이나 신성에서는 결코 관측되지 않는 현상이었다. 비록 V838 Mon의 섬광이 이 별의 구성 물질들을 우주로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허블이 촬영한 이 사진에서는 실제로 섬광으로부터 발생한 빛의 메아리가 바깥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빛의 반향 안에서, 섬광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이전부터 별을 감싸고 있던, 복잡하게 얽혀 있는 성간 먼지의 고리들에 연속적으로 반사되어 나타나고 있다. V838 Mon은 외뿔소 자리 방향으로 2만 광년 떨어져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