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mbrero Galaxy 9

최신천문뉴스브리핑 1. 솜브레로 은하의 수상한 과거

안녕하십니까? 별지기마을 촌장 다락방별지기 이강민입니다. 오늘은 2020년 2월 20일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https://iopscience.iop.org/article/10.3847/1538-4357/ab64e9 )에 발표된 M104 솜브레로 은하의 수상한 과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메시에 목록에 104번째로 등재된 천체이자 NGC 4594로 등록된 솜브레로 은하는 많은 아마추어천문인들의 사랑을 받는 은하입니다. 독특한 형태 때문인데요. 솜브레로는 스페인, 미국 남서부, 멕시코 등지에서 쓰는 테가 넓고 높은 모자를 말합니다. 이 은하의 이름이 솜브레로인 이유는 이 은하가 바로 이 모자를 닮았기 때문인데요.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을 보시면 왜 이 은하가 솜브레로은하라고 불리는지 확실히 아실 수..

솜브레로 은하(M104)의 수상한 과거

사진 1> 솜브레로 은하는 수수께끼의 은하이다. 이 은하는 나선은하의 특징도 가지고 있으며 타원은하의 특징도 가지고 있는 하이브리드 은하이다. 또한 이 은하는 그 어떤 은하단에도 속하지 않고 홀로 외따로 떨어져 있는 은하이다. 이 은하는 어떻게 이런 특징을 갖게 되었을까? 천문학자들이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이 독특한 은하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이 은하의 광활한 헤일로 에서 수만 개의 별들을 분해한 후 각 별들이 품고 있는 금속성 원소를 측정해 보았다. 이를 통해 꼭꼭 숨겨진 이 은하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알 수 있었다. 왼쪽 사진은 밝은 원반과 팽대부 외부로 광활하게 펼쳐져 있는 훨씬 희미한 헤일로까지 담겨 있는 이 은하 전반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이 헤일로에서 두 지역을 촬영..

적외선으로 촬영된 M104 솜브레로 은하

Image Credit: R. Kennicutt (Steward Obs.) et al., SSC, JPL, Caltech, NASA 둥둥 떠 있는 이 고리가 바로 은하의 크기이다. 사실 이 고리는 처녀자리 은하단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은하들 중 하나인 솜브레로 은하 자체이거나 최소한 이 은하의 일부이다. 가시광선 대역에서 솜브레로 은하의 중간부분을 가로막고 있는 먼지 띠는 적외선 대역에서 대단히 밝게 빛난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보다 선명하게 처리된 이 사진은 스피처우주빛통이 최근 촬영한 적외선 사진을 허블우주빛통이 예전에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사진 위에 겹친 후 인위적인 색깔을 입혀 표현한 것이다. M104로도 알려져 있는 솜브레로 은하는 5만 광년의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2,800만 광년 거..

M104 : 허블우주망원경이 바라본 솜브레로 은하

왜 솜브레로 은하는 모자를 닮은 것일까? 그 이유로는 유난히 크고 거대한 팽대부와 우리에게 거의 모서리를 보이고 있는 원반에서 두드러지게 보이는 검은 먼지띠를 들 수 있다. 수십억 개의 늙은 별들이 광활하게 펼쳐진 팽대부에서 희뿌연 빛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팽대부를 면밀히 살펴보면 수많은 빛의 점들이 보이는데 이것은 하나하나가 모두 구상별무리이다. M104의 장대한 먼지 고리에는 비교적 어리고 밝게 빛나는 수많은 별들이 존재하는데 천문학자들도 아직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복잡미묘한 모습들도 나타나고 있다. 솜브레로 은하 중심은 전자기스펙트럼 전역에 걸쳐 빛을 뿜어내고 있으며 거대한 블랙홀을 품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5천만광년 거리에 존재하는 솜브레로 은하는 처녀자리 방향으로 작은 망원경으로도 ..

M104 : 솜브레로 은하

인상적인 나선은하 M104는 거의 모서리를 드러내고 있으면서 넓게 고리처럼 퍼져 있는 먼지 대역으로 유명한 은하이다. 광활하게 펼쳐진 별들의 팽대부에 대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우주먼지의 넓은 띠가 마치 넓은 테두리를 두른 모자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면서 이 은하는 대중적인 별칭으로 솜브레로 은하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허블 우주망원경과 지상에 위치한 쓰바루 망원경의 데이터가 아마추어 천문가가 촬영한 사진과 함께 재처리되어 이 고해상도 사진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재처리의 결과 자연색을 띤 외형과 함께 지상에서 비교적 작은 장비로 바라봤을때는 대개 놓치게 되는 중심 팽대부의 압도적인 광채의 세세한 모습이 드러나게 됐다. NGC 4594로도 알려져 있는 솜브레로 은하는 전파장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으며 ..

M104

이 나선은하의 중심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멕시코 모자를 닮은 외양때문에 솜브레로 은하라는 이름이 붙은 이 은하는 M104로 등재되어 있으며 두드러진 먼지 대역 및 별과 구상성단들로 이루어진 밝은 헤일로가 특징인 은하이다. 솜브레로 모자를 닮았다고 얘기하는 이유는 우리 눈에 거의 모서리를 보여주고 있는 이 은하의 원반에서 보이는 두드러진 검은 먼지 대역과 별들로 이루어진 비정상적으로 거대한 은하 중심의 팽대부 때문이다. 수십억개의 별들이 뿜어내는 뿌연 빌빛이 200인치 헤일 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에서 중심 팽대부에 광대하게 보이고 있다. 이 중심 팽대부를 보다 확대한 사진으로 검사한 결과 수많은 별들의 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것들은 실제로 하나하나가 구상성단들이었다. M104에서 장관..

솜브레로 은하의 정체는 타원은하였다.-2

NASA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적외선 데이터는 솜브레로 은하의 비밀을 밝혀주었다. - 이 은하의 이름은 가시광선으로 바라봤을 때 넓은 챙을 가진 모자와 비슷한 외형때문에 지어졌다. - 이 은하는 하나로 보이는 두 개의 다른 은하였다. 내부에 얇은 원반의 은하(사진에서 부분적으로 붉게 보이는 은하)를 품고 있는 거대한 타원은하였던 것이다. 이전의 가시광선 관측 데이터들은 천문학자들이 이 은하를 단순히 평평한 원반을 가진 은하로 믿게 했다. 스피처의 적외선 관측은 별들과 먼지들을 강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5~4.6마이크론 대역에서 감지된 별빛은 청록색으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 8.0 마이크론 대역에서 감지된 먼지들은 붉은 색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사진은 천문학자들이 이 은하의 전체 별들을 알 ..

솜브레로 은하의 정체는 타원은하였다.-1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새로운 관측 데이터는 솜브레로 은하가 이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대로 단순히 별들로 이루어진 평범하고 평평한 은하원반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평평한 원반을 품고있는 타원은하임을 말해주고 있다.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적외선 대역에서 촬영한 데이터는 천문학자들이 은하 전체 별들의 분포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보기가 되었는데, 사진에서 청록색으로 보이는 별빛들이 바로 그것이다. 타원은하는 너무나 커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프레임을 넘어서까지 뻗어있었다. 타원형 안에 평평한 원반은하가 있었던 것이다. 원반자체는 바깥쪽 고리와는 작은간격을 두고 떨어져있는 내부의 밝은 원반에 대한 단서를 주고 있다. 이 원반은하가 외곽을 감싸고 있는 타원은하의 경계안에 잘 들어서 있는 것이다. 이전에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촬영한 솜브레로 은하

사진에 보이는 먼지고리가 바로 은하의 크기이다. 사실 이 고리는 우리의 이웃 은하단이면서 가장 거대한 은하단의 하나인 처녀자리 은하단에 있는 솜브레로 은하의 한 부분이다. 가시광선 대역에서는 은하의 중심부를 가리고 있는 이 먼지고리는 적외선 대역에서는 아주 밝게 빛난다. 이 사진은 NASA 의 허블우주망원경이 가시광선 대역으로 쵤영한 기존 사진에 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촬영된 적외선 대역의 데이터를 입혀 이를 인위적인 색채로 과장하여 표현한 사진이다. M104로 등재되어 있는 솜브레로 은하는 5만광년의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로부터 2천8백만 광년 떨어져 있다. M104는 처녀자리 방향으로 소규모 천체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2년 3월 11일 자)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