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별자리 이야기/BABYLONIAN STAR LORE

바빌로니아 별자리와 천문전승 - 별자리 상세 22. 멧돼지자리

다락방별지기 2025. 6. 18. 15:39

돼지가 처음 가축화 된 곳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이며, 이미 선사시대에 가축화 된 것으로 알려집니다. 

가축화 된 돼지의 조상은 원래 남부 메소포타미아 늪지대에 살던 야생돼지라고 합니다.

 

돼지는 메소포타미아 도시에서 일상적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도시 내부 또는 도시 주변과 관련된 다양한 예언에 돼지가 등장합니다. 

 

만약 야생돼지가 도시 한복판에 들어오면

그 도시에 기근이 닥칠 것이다. 

 

이 예언에서 야생돼지와 연결시킨 기근은 아마도 모든 쓰레기를 먹어치우는 돼지의 습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돼지는 '모든 것을 먹어치우는 탐욕스러운' 짐승으로 묘사되곤 하죠. 

 

반면 지상에서 볼 수 있는 돼지는 그 돼지가 살고 있는 특정 도시에만 영향을 미치지만 모두가 볼 수 있는 천상의 돼지는 모든 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만약 멧돼지자리가 돌아온다면

그 땅에 기근이 들 것이다.

 

물품 출납 등의 내용을 담은 기록에 돼지가 등장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돼지는 희생제물로 사용되는 짐승이기도 했고, 장례식장에서 조문객 대접을 위해 내놓는 고기이기도 했기 때문에 돼지가 더러운 짐승으로 치부되거나 금기로 치부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돼지고기에 대한 금기는 이보다 훨씬 후에 나타난 현상입니다. 

그림 1 이란에서 발굴된 인장에 새겨진 돼지

 

후기 바빌로니아에서 언급되는 부정한 짐승이라는 이미지는 주로 샘족 문화권을 비롯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것입니다. 

 

신전에 가기 전에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먹는 것은 불결한 행동이다.

 

돼지의 불결함은 '돼지는 모든 것을 오염시킨다. 길에 냄새를 풍기게 하고 집을 더럽힌다.'라고 아주 구체적으로 설명됩니다.  

 

모든 것을 더럽히는 부정한 짐승으로서의 돼지의 속성은 마술 행위에서 모든 방식으로 활용되면서 자연스럽게 적을 의미하게 됩니다. 

 

신아시리아(기원전 10세기~7세기)의 절정기를 이끈 왕 에사르하돈(Esarhaddon)의 비문에는 포로로 잡은 왕에게 망신을 주기 위해 곰과 개, 돼지와 함께 묶어놓았다는 내용이 등장합니다. 

 

에사르하돈의 아들 아슈르바니팔( Assurbanipal)은 심리전의 일환으로 적의 시신을 개와 돼지의 먹이로 썼다고 합니다. 

이러한 처지는 죽은 이들에게도 나을 건 없어서, 아슈르바니팔은 그가 정복한 엘람 왕들의 무덤을 파헤쳐 그 뼈를 아슈르바니팔의 도시 아슈르(Assur)로 가져갔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아슈르바니팔은 다음과 같은 자랑을 기록하였습니다. 

 

나는 엘람 왕들의 영혼이 안절부절 못하도록 만들었노라.

나는 죽은 엘람 왕들에게 바쳐진 재물과 시종을 빼앗았노라.

 

이러한 일련의 모욕적 행동으로 인해  죽은 이의 친척들은 적절한 제사 의식을 치르지 못했고, 죽은 이의 영혼을 오직 자신의 후손들에게만 분노를 쏟아내는 악령으로 만들겠다는 위협이 되기도 했습니다. 

 

돼지와 관련되어 수모를 만들어내는 동일한 원리는 사적 영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녀나 흑마술사에 대항하는 구마의식인 마크루(Maqlu) 의식에서 탄원자는 적을 다음과 같이 고발하였습니다. 

 

너는 내 형상을 만들어 개와 돼지에게 먹였다.

 

이런 행동을 한 흑마술사의 의도는 명확합니다. 

흑마술사는 저주의 대상이 된 사람을 죽이려 하였고, 그 영혼이 저승세계에서 아무런 지위도 얻지 못하고 일체의 음식을 제공받지 못함은 물론, 모든 이들로부터 잊혀져 엔키두(Enkidu)가 저승에서 목격한 것처럼 저주받은 귀신으로 만들려 한 것입니다. 

멧돼지자리 표기는 '샤(Šah)' '샤₂(Šah₂)', 이렇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이 두 개 표기는 발음은 같지만 의미는 다릅니다. 

아시리아 시대에 제작된 서로 다른 버전에 물아핀(Mul-Apin)에도 실제 두 표기가 등장합니다. 
아카드어로 '샤후(Šahû)'로 발음합니다. '돼지' 또는 '야생돼지'라는 뜻입니다.
'샤(Šah)' 표기는 야생돼지 또는 멧돼지의 머리를 묘사한 것입니다.
이 표기는 수메르 초기부터 사용되었습니다.


반면 '샤₂(Šah₂)'표기가 묘사한 그림은 황소머리를 닮았습니다.
이 표기는 비교적 후기라 할 수 있는 시기에 '멧돼지'의 의미로 종종 사용되었습니다.


점성술에서 '멧돼지자리(the Swine)'는 목성의 이름으로 사용되곤 합니다.
샤₂(Šah₂) 표기는 '슐'이라고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젊은이' 또는 '영웅'이라는 뜻을 가진 ''은 목성의 여러 별칭 중 하나인 '슐파에(Šul-pa-e)'의 첫 번째 표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멧돼지자리와 목성 사이에 모종의 연관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이기도 합니다. 

 

물아핀에는 멧돼지자리(the Swine)를 표범자리(the Panther)나 말자리(the Horse)와 연관짓는 간략한 설명이 등장합니다만 이와는 별개로 멧돼지자리의 위치는 여전히 추정의 영역으로 남아 있습니다. 

최근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멧돼지자리가 지금의 돌고래자리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멧돼지자리는 별 하나로 구성된 별자리가 아니라 보다 규모가 큰 완전한 별자리였을 것으로 확신할 수 있는 단서가 있습니다. 

멧돼지자리를 구성하는 별을 '주둥이', '가슴', '엉덩이' 등으로 불렀기 때문입니다. 

 

멧돼지자리에 좌정한 신은 수메르에서 치유의 신으로 숭상되었던 다무(Damu)입니다. 

그런데 '다무'라는 이름은 '어린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점성술에서 이 이름은 멧돼지자리 대신 쓰이곤 했습니다. 

 

만약 다무가 붉다면

그 질병의 치유는 ....할 것이다.

 

치유의 신인 다무는 '찢긴 것을 묶는 힘줄이며, 질병을 가져오는 악마를 쫓아버리는 이'로 언급됩니다

그런데 이 다무는 돼지를 거느린 신이기도 합니다. 

이때 다무가 거느린 돼지는 저승 풍경을 묘사한 그림에 등장하기도 하며, 악마 무리와 함께 등장하기도 합니다. 

그림 2 아이를 납치하는 악마 라마슈투(Lamašutu)
돼지와 개가 함께 그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그림에서 돼지는 악마와 질병에 대항하는 긍정적인 존재로 그려집니다.

따라서 이때의 돼지는 치유력을 상징하기도 하며, 치유를 위해 다무가 가지고 있는 정화력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다무에 대한 숭상행위는 주로 여성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는 죽음을 맞는 신 두무지(Dumuzi)숭배와 많은 유사성이 있습니다. 

참고로 두무지는 '진정한 아이(the True Child)'를 의미합니다. 

 

신화적 단편들을 통해 우리는 다무의 삶의 대략적인 윤곽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두무지가 그랬던 것처럼 다무도 죽음을 맞고 저승에 유폐됩니다. 

다무의 어머니와 누이는 그를 찾아 세상 끝까지 방랑하며, 그를 기억하기 위해 애가를 만듭니다. 

결국 다무는 강을 통해 저승에서 탈출하여 이승으로 돌아와 어머니와 누이에게 기쁨을 안겨줍니다. 

 

비록 다무에 대한 공식적인 숭배행위는 고바빌로니아 제국(기원전 19세기~16세기)의 멸망과 함께 사라졌습니다만 그 실체는 두무지 숭배 체계에 그대로 녹아들어갔습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추정할 수 있는 것은 멧돼지자리의 위치가 아마도 저승에서 살아돌아온 다무신화를 반영하는 지점에 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멧돼지자리의 위치는 최신의 연구에서처럼 돌고래자리일 것입니다. 

이 별자리가 동지 바로 이후 태양과 함께 떠오르기 때문인데 이 시기, 이 위치는 죽음을 맞은 신이 어둠과 죽음의 왕국으로부터 귀환을 알리는 상징성을 갖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추론은 멧돼지의 곤두선 털이, 멧돼지가 태양의 창조물이라는 점을 상징한다는 데까지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즉, 말자리나 사자자리가 가지고 있는 갈기 또는 숫사슴자리의 뿔처럼 멧돼지의 어깨에 빳빳하게 솟은 털도 태양의 빛줄기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이와 비슷한 모습을 북유럽 신화에 전하는 '황금털'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북유럽 신화에서 황금털은 풍요의 신 프레이(Frey)의 돼지를 의미합니다. 

프레이가 어둠의 세계를 여행할 때, 그의 길을 황금털에서 뿜어져나오는 빛이 밝게 비춰주었다고 합니다. 

그림 3 멧돼지를 비롯하여 뿔을 가진 다양한 짐승을 공격하는 사자의 모습

 

참고 별자리 : 야생돼지자리(the Wild Boar)

 

바빌로니아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이 글은 천문작가 Gavin White의 책으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별자리와 천문전승을 담은 에세이집 Babylonian Star Lore (ISBN-13 : 978-0955903748)를 번역한 것입니다. 
2. 별자리 이름이 현대 별자리 이름과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별자리는 '이탤릭체'로 표시하였습니다.
3.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