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eroid 20

소행성 주노(Juno) : ALMA 장기선 캠페인

사진 1> ALMA가 장기선 캠페인(Long Baseline Campaign)의 일환으로 촬영한 소행성 주노의 사진들을 이어모아 만든 동영상. 사진이 촬영될 당시 주노의 거리는 지구로부터 2억 9천 5백만 킬로미터였다. 새로운 ALMA의 사진과 동영상으로 바라본 우주를 유영하는 소행성 주노 ALMA가 만들어낸 일련의 사진이 소행성 벨트의 가장 거대한 천체 중 하나인 주노의 표면을 전례없이 세세한 모습으로 담아냈다. 여러 사진들을 이어붙여 만들어낸 짧은 동영상의 이 고해상도 사진들은 밀리미터 파장의 빛을 내면서 자전하고 있는 소행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국립전파천문대의 천문학자인 토드 헌터(Todd Hunter)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망원경의 경우 태양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포착해..

지구근접 소행성 2006 DP14 의 레이더 영상

NASA의 과학자들이 캘리포니아 골드스톤의 70미터 심우주네트워크 안테나를 이용하여 2014년 2월 11일 밤 지구 근접 소행성인 2006 DP14의 레이더 영상사진을 만들어냈다. 지연 도플러 레이더(Delay-Doppler radar)사진은 이 소행성의 길이가 약 400미터이고, 너비는 200미터이며 커다란 땅콩같은 모양을 하고 있음을 알려주었다. 이 소행성의 자전주기는 대략 6시간이다. 이 소행성은 두 개의 둥근 돌출부가 양 끝에 붙어있는 모습이 마치 천체들끼리 충돌한 모습이어서 "접촉 이중 천체(contact binary)"라고 알려진 유형에 속한다. 골드스톤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망원경을 통해 수행된 이전 연구에 따르면 지구근접 소행성 중 최소 10%가 2006 DP14와 같은 형태를 가진 2..

소행성 이토카와(Itokawa)의 잃어버린 크레이터

소행성 이토카와의 크레이터는 어디에 있을까? 예상과 달리 찾을 수 없다. 일본의 로봇 탐사선 하야부사(Hayabusa)가 2005년 지구근접 소행성인 이토카와에 접근하여, 지금까지 태양계에서 촬영된 그 어떤 천체와도 다른, 독특한 모습을 띤 이 소행성의 표면 사진을 보내왔다. 이 소행성의 표면에는 아마도 크레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듯 보인다. 대개 원형으로 나타나는 충돌분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선구적 가설은, 이 소행성이 암석덩어리와 얼음덩어리들이 미미한 중력에 의해 서로 느슨하게 뭉쳐있는 파편덩어리라고 설명하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크레이터는 생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게 아니라면 이 소행성이 행성 옆을 지나갈 때 심하게 흔들리거나 다소 무게가 있는 유성과 충돌했을 때, 충돌 분지가 다시 메..

소행성의 해부학

그림> 독특한 땅콩 모양의 소행성 이토카와의 개요도 천문학자들이 ESO의 신기술 망원경(New Technology Telescope, 이하 NTT)을 이용하여 절묘하게 시간차 측정을 함으로써, 그리고 이를 소행성 표면 지형학 모델과 측정치를 조합하여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서로 다른 부분이 이 소행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소행성의 형성에 대한 비밀뿐 아니라 이 소행성이 태양계에서 충돌이 일어났을 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밝혀줄만한 소행성 표면 아래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해 주었으며 행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단서도 제공해 주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하야부사 우주선에 의해 수집된 사진들을 근거로 한 이 소행성의 형태 모델이 이 개요도를 위해 사용되었다. 소행성의 해..

2014년의 1호 소행성

지난 수요일 이른아침(2014년 1월 1일) 여전히 새해축하 행사들이 진행되는 동안 아리조나 투손 근처의 카나리나 천문대에서 지구와 충돌가능한 궤도를 유지하고 있는 매우 작은 - 2~3미터 크기 - 소행성일 가능성이 있는 천체의 궤적을 수집하고 이를 즉각 추적했하였다. 2014 AA로 등재된 이 소행성은 2014년에 첫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 소행성이 지나간 궤적은 확실치 않은 이 소행성의 궤도를 계산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소행성은 매우 작긴 했지만 지구와 충돌 궤도를 유지하고 있어 한국시간 기준 1월 2일 새벽 4시부터 밤 11시 사이에 지구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보였다. 유일하게 사용가능한 관측기 하나를 이용하여 이 소행성의 이동 가능 궤도에 대한 세개의 독자적인 예상치가 메..

던(Dawn) 탐사선이 소행성 베스타의 숨은 매력을 찾아내다.

사진 1> NASA의 던 우주선이 촬영한 에일리아 크레이터(the Crater Aelia)의 내외부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사진이다. 사진 2> 이 사진은 소행성 베스타 남반구의 거대한 레아실비아 분지(Rheasilvia basin)에 위치하고 있는 안토니아 크레이터(the crater Antonia)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 3> 이 사진은 섹스틸리아(the crater Sextilia) 크레이터의 북서쪽에 분포하는 물질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섹스틸리아 크레이터는 남위 30도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진에서는 하단 우측에 보이고 있다. 던(Dawn) 탐사선이 베스타의 숨은 매력을 찾아내다. 흘끗 바라봤을 때 아름다운 모습이 포착됐다. 던 우주선에 의해 2011년부터 2012..

P/2013 P5 - 6개의 꼬리를 가진 괴상한 소행성의 발견

사진1>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은 소행성벨트의 P/2013 P5로 등재된 소행성으로부터 혜성과 같은 꼬리 6개가 뿜어져나오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혜성의 괴상한 외양은 하와이 Pan-STARRS 서베이 망원경을 이용하여 처음 발견되었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이 다수의 꼬리를 발견한 것은 2013년 9월 10일 이다. 그리고 허블 우주망원경이 9월 23일 이 소행성을 다시 관측했을 때 이 소행성의 외양은 완전히 달라져 있어서 마치 소행성이 완전히 스스로의 구조를 뜯어고친것처럼 보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한가지 가설은 이 소행성의 회전이 소행성에 붙은 먼지들을 표면으로부터 뜯어내어 우주공간으로 던저버릴만큼 증가했고 이렇게 내쳐진 먼지가 태양빛에 의해 쓸려 나갔을 것이라는 견해이다. 이론적으로는 소..

지구위협천체(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 PHAs)들의 공전궤도

소행성은 위험한 것일까? 어떤 소행성들은 위험하긴 하지만 이들 위험한 소행성이 미구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나 과거의 대규모 멸종 사건들이 소행성 충돌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인류는 언젠가 지구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지 모를 이들 소행성을 찾고, 이를 목록화하는데 최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이 사진은 지금까지 알려진 1천개가 넘는 지구위협천체(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 PHAs)들의 공전궤도를 표시한 것이다. 여기에 기록된 바위나 얼음 덩어리들은 직경 140미터 이상이며, 지구로부터 7백 50만 킬로미터 거리 - 지구와 달 거리의 20배 이내 범위 - 를 통과하는 천체들이다. 비록 여기에 기록된 모든 천체가 향후 100년이내에 지구와 충돌하지 않더라도 모든 ..

소행성 2012 DA14

그것이 지나간다. 동영상에서 별들이 가득 들어찬 하늘을 배경으로 빠르게 지나가고 있는 작은 점은 잠재적인 위험을 지닌 소행성으로, 지구의 대기 위를 지나쳤다. 지난 금요일(2월 15일) 직경 50미터의 소행성 2012 DA14 가 가까스로 지구를 비껴갔다. 그 경로는 달의 공전궤도보다 훨씬 가까웠을 뿐 아니라 이 정도 크기의 소행성으로서는 대단히 드물게도 정지궤도 위성의 안쪽에까지 진입했었다. 불행히도 이 정도 또는 이 정도 보다 약간 큰 크기의 소행성은 매 1천년 정도를 주기로 지구와 충돌한다. 만약 2012 DA14 가 지구에 충돌했다면 왠만한 도시 크기 지역을 황폐화시키거나 대단히 위험한 쓰나미를 만들어냈을 것이다. 비록 현대 천문학에서는 이러한 잠재적인 위협이 되는 소행성을 발견하고 추적하는 것을..

소행성 베스타의 코넬리아 크레이터

이 합성사진은 NASA의 던(Dawn)우주선이 촬영한 소행성 베스타의 코넬리아 크레이터로서 검은 물질로 만들어진 줄무늬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데이터는 던 우주선의 영상분리형 카메라로 촬영된 것으로 던 우주선이 베스타를 고도 선회할 당시, 베스타 상공 680킬로미터 지점에서 촬영한 것이다. 던 우주선에 의해 수집된 사진들은 하나의 사진으로 통합되고, 베스타 표면의 지형모델에 적합하게 덧씌워졌다. 사진의 색채는 0.75 마이크론 파장은 붉은색으로, 0.92마이크론 파장은 초록색으로, 그리고 0.98마이크론 파장은 파란색으로 매핑하여 구성되었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Photo Journal http://photojournal.jpl.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