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one 22

토성 대기의 메탄

NASA 카시니호가 촬영한 토성의 모습에서 부드럽게 나타나는 밝고 어두운 띠는 토성 대기상에 존재하는 메탄의 신호이다 이 사진은 메탄이 흡수하는 파장대의 빛으로 촬영된 것이다. 검게 보이는 지역들은 빛이 메탄을 뚫고 들어가 대기상에 더 깊숙이 들어간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들어간 빛이 구름에 반사되고 산란되어 다시 대기바깥으로 빠져나온 것이다. 빛이 점점 더 깊이 내려갈수록 더 많은 양의 빛이 메탄에 흡수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부분일수록 더 검게 나타나게 된다. 토성을 가로지르고 있는 고리의 하단 오른쪽으로는 지름 1,123킬로미터의 달 디오네(Dione)가 보인다. 이 사진에는 토성의 남반구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토성의 고리도 보인다. 탐사 초기 카시니호가 촬영한, 그림자가 반대로 드리워진 아래 ..

디오네와 엔켈라두스

디오네(앞쪽)와 엔켈라두스(뒤쪽)는 모두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엔켈라두스의 반사율이 디오네보다 훨씬 높다. 그래서 엔켈라두스는 검은 밤하늘에서 훨씬 밝게 보인다. 지름 504킬로미터의 엔켈라두스 표면은 남극에서 발생하는 제트에 의해 항상 얼음 알갱이로 된 비를 맞고 있다. 그 결과 직경 1123킬로미터의 디오네가 오래된 지형을 가지고 있음에 반해 엔켈라두스의 표면은 갓 만들어진 눈에 뒤덮힌 밝은 지표를 가지고 있다. 엔켈라두스의 갓 만들어진 깨끗한 표면은 우주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여기에 먼지가 쌓이고 방사선에 의한 손상을 겪는 "우주 풍화작용(space weathering)"이라고 알려진 과정을 겪는다. 이 사진은 엔켈라두스의 공전 진행면을 바라보며 촬영한 것으로 2015년 9월 8일 카시니..

디오네 :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바라본 디오네의 모습 2

카시니 호가 토성의 달인 디오네의 북반구 고위도 지역으로 솟아오르면서 낮과 밤이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지역을 내려다보았다. 대비를 강조한 이 사진에서 어둠속에 잠긴 지형들이 토성의 빛을 반사하며 빛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사진 중앙 바로 위에 삽입된 사진은 가장 높은 해상도로 촬영된 사진 중 하나이다. 이 사진은 북위 95도, 서경 25도 지점, 아직 이름이 지어지지 않은 지각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지역 부근에 뷰트스(Butes)라는 이름의 충돌 구덩이 동쪽 지역을 촬영한 것이다. 전체 사진은 카시니호의 광각 카메라로 촬영된 것이며 사진 중앙의 고해상도 사진은 협각 카메라로 촬영된 것이다. 협각 카메라가 촬영한 아래 사진은 광각 카메라가 촬영한 것보다 10배 적은 지형특징도 보여주고 있다. 대비가 강조되기..

디오네 :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바라본 디오네의 모습 1

디오네의 표면을 가장 높은 해상도로 담아낸 이 사진에는 카시니 호가 촬영한 두 개의 장면이 하나의 사진으로 담겨 있다. 카시니호의 광각 카메라로 촬영된 이 사진의 중앙 왼쪽에는 협각 카메라로 찍은 사진도 하나 포함되어 있다. 협각 카메라가 촬영한 아래 사진은 광각 카메라가 촬영한 것보다 10배 작은 지형특징도 보여주고 있다. 광각 카메라가 촬영한 사진의 해상도는 픽셀당 32미터, 협각 카메라가 촬영한 사진의 해상도는 픽셀당 3미터이다. 태양빛이 사진 위쪽 방향에서 들어오고 있다. 이 사진은 디오네 537킬로미터 상공에서 가시광선으로 촬영된 것이다. 2개 사진 모두 2015년 8월 17일, 카시니호의 마지막 최근접 디오네 통과시 촬영되었다. 이 사진은 PIA19654 사진과 마찬가지로 카시니호가 디오네에 ..

디오네 : 토성의 빛을 받아 빛나는 디오네의 지표

이 사진에는 Saturnshine이라 불리는 토성의 빛을 반사해내며 빛나고 있는 디오네의 지형이 담겨있다. 화상화를 담당하고 있는 과학자들은 이 사진을 만들어내기 위해, 그리고 빠르게 디오네를 통과하는 카시니호가 찍은 사진에 얼룩이 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은 노출 시간(10밀리초)을 설정하였다. 이처럼 짧은 노출 시간에도 불구하고 토성의 빛은 디오네 야간 반구의 모습을 선명히 드러낼만큼 충분히 빛나고 있다. 이 사진은 2015년 8월 17일, 카시니 호가 디오네를 마지막으로 근접통과하는 동안 광각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것이다. 사진을 촬영할 당시 디오네까지의 거리는 970킬로미터였으며 사진의 해상도는 픽셀당 58미터이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lsio..

디오네 : 충돌구덩이가 가득한 풍경

카시니 호가 토성의 달인 디오네를 측면에서 바라본 이 사진에는 충돌 구덩이가 가득 들어찬 울룩불룩한 디오네의 풍경이 담겨 있다. 크고 작은 충돌 구덩이들은 이 달의 얼음 표면에 대한 고대의 정보들을 담고 있다. 이 사진은 2015년 8월 17일 카시니 호가 마지막으로 디오네를 근접통과하는 통안 광각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것이다. 사진을 촬영할 당시 카시니호와 디오네의 거리는 750킬로미터였으며 사진의 해상도는 픽셀당 45미터이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Photo Journal http://photojournal.jpl.nasa.gov/catalog/PIA19651 참고 : 토성과 다양한 토성의 달에 대한 각종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

디오네로의 접근

거대한 행성 토성과 고리를 배경으로 토성의 달인 디오네를 바라보며 촬영된 이 사진은 2015년 8월 17일 카시니호가 디오네를 최근접 통과하기 바로 직전에 촬영한 것이다. 하단 오른쪽에 고리가 여러겹 겹친 듯 보이는 충돌 분지의 이름은 에반더(Evander)이며 그 너비는 350킬로미터이다. 디오네의 밝은 지역에 형성된 파두아 캐즈마(Padua Chasma)의 열곡들이 왼쪽 어두운 지형에까지 뻗어있다. 화상화 부분을 맡고 있는 과학자들이 분절 분광 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9장의 사진들을 모자이크하여 이 사진을 만들어냈다. 이 중 8장의 사진은 협각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며 왼쪽 아랫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한 장의 사진은 광각 카메라로 촬영된 것이다. 이 사진은 북위 0.2도, 경도 179도를 중앙에 둔 직각투..

디오네를 떠나며

2015년 8월 17일, 디오네를 마지막으로 근접 통과한 카시니호에 의해 촬영된 이 사진에는 토성의 달 디오네가 그믐달 모양으로 담겨있다. 카시니 호는 2005년 이미 이와 비슷한 초승달 모양의 디오네를 촬영한 적이 있다. (참고 : http://photojournal.jpl.nasa.gov/catalog/PIA07745) 이전에 촬영된 사진이 4배 이상 확대된 규모로 촬영되긴 했지만 이 사진에서처럼 그믐달 모양 전체를 담아내지는 못했었다. 분절 분광 필터를 이용한 5개의 가시광선으로, 협각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들이 합쳐져 이 모자이크 사진을 만들어냈다. 이 사진은 북위 0.4도, 경도 30.6도를 중앙에 둔 직각투영법에 의한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직각투영에 의한 화각은 망원경을 통해 멀리 있..

디오네 : 충돌구덩이들과 고리들

디오네를 마지막으로 스쳐 지나가는 카시니 호가 디오네를 향해 다가가는 동안 촬영한 이 사진에는 토성의 고리 앞쪽으로 자리잡고 있는 디오네의 모습이 담겨있다. 이 사진은 카시니 호에 장착된 협각 카메라에 의해 2015년 8월 17일 가시광선으로 촬영된 것이다. 사진이 촬영될 당시 카시니 호는 디오네로부터 158,000 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해 있었으며 태양 - 디오네 - 카시니 호 순으로 정렬되어 있었다. 사진의 화각은 35도이며 해상도는 픽셀당 950 미터이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Photo Journal http://photojournal.jpl.nasa.gov/catalog/PIA17201 참고 : 토성과 다양한 토성의 달에 대한 각..

디오네와 고리와 그림자들

카시니 호가 마지막 근접 비행 중에 촬영한 이 사진에서 토성의 달 디오네가 토성과 얼음 고리의 앞쪽에 매달린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디오네의 북쪽이 사진 위쪽이다. 이 사진은 카시니 호에 장착된 광각 카메라에 의해 2015년 8월 17일 가시광선으로 촬영된 것이다. 사진이 촬영될 당시 카시니 호는 디오네로부터 73,000 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해 있었으며 태양 - 디오네 - 카시니 호 순으로 정렬되어 있었다. 사진의 화각은 35도이며 해상도는 픽셀당 4킬로미터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Photo Journal http://photojournal.jpl.nasa.gov/catalog/PIA17200 참고 : 디오네를 비롯한 토성과 토성의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