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7 5

M7 : 전갈자리의 산개별무리

Image Credit & Copyright: Roberto Colombari M7은 밤하늘에서 가장 두드러진 산개별무리 중 하나이다. 푸른 색 별이 주를 이루는 이 별무리는 전갈자리 꼬리 부근에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M7은 약 100여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는 2억살의 천체로서 지름은 25광년이며, 우리로부터 1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광각사진은 브라질 벨로리존테시 근처에서 촬영되었다. 고대부터 알려져 있던 이 별무리는 기원 후 130년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사진 하단 우측으로과 검은 먼지 구름들이 보이고 배경으로는 이 별무리와는 아무런 연관관계가 없는, 말 그대로 수백만 개의 별들이 미리내의 중심을 향해 서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6년 7월 ..

전갈자리의 다이아몬드

Credit:ESO 사진> 칠레 ESO 라실라 천문대의 MPB/ESO 2.2미터 망원경에 탑재된 광대역 화상 촬영기가 담아낸 이 사진은 NGC 6475로도 알려져 있는 밝은 성단 M7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갈자리의 꼬리 에서 육안으로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이 성단은 밤하늘의 주요 산개성단 중 하나이며 가장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는 성단 중 하나이다. 전갈자리의 다이아몬드 ESO 라실라 천문대에서 촬영된 새로운 사진은 밝게 빛나는 M7성단의 모습을 담고 있다. 전갈자리 꼬리 부근에서 육안으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 성단은 밤하늘에서 가장 두드러진 산개성단 중 하나이며 중요한 천문관측 대상이기도 하다. NGC 6475로도 알려져 있는 M7은 지구로부터 800광년 거리에, 약 백여개의 별들이 몰려 있..

M7

M7은 밤하늘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산개성단중 하나이다. 푸른색의 밝은 별들이 장악하고 있는 이 성단은 전갈자리의 꼬리 부근에서 어두운 밤하늘이라면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M7에는 100여개의 별들이 몰려 있는 2억살 정도의 산개성단으로 폭은 25광년이며 1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지난해 6월 헝가리에서 소규모 천체망원경을 통해 촬영된 이 사진은 2분간의 노출을 이용하여 촬영한 60개 이상의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 M7은 고대시대에도 익히 알려진 성단으로 서기 130년 프톨레마이오스의 노트에도 그 기록이 남아 있다. 사진에는 또한 암흑성운들이 보이고 말 그대로 수백만개의 별들이 우리 은하 중심을 향해 몰려있는 모습이 담겨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4년 1월 7일 자..

M7 : 전갈자리의 산개성단

M7은 밤하늘에서 가장 두드러진 산개성단중 하나이다. 푸른 색 별이 주를 이루는 이 성단은 전갈자리 꼬리 부근에서 육안으로도 관측된다. M7은 약 100여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는 2억살의 천체로서 그 너비는 25광년이며, 우리로부터 1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진은 나미비아의 하코스 팜(Hakos Farm)에서 깊은 노출을 통해 촬영되었다. 고대부터 알려져 있던 이 성단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기원 후 130년 프톨레미 때이다. 사진의 중앙으로 어두운 먼지 구름과 이 성단에는 속하지 않는 말 그대로 수백만개의 별들이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2년 9월 1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20912.html 참고 : M7을 비롯한 각종 성단에..

M7

M7은 밤하늘에서 가장 두드러진 산개성단중 하나이다. 푸른 색 별이 주를 이루는 이 성단은 전갈자리 꼬리 부근에서 육안으로도 관측된다. M7은 약 100여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는 2억살의 천체로서 그 너비는 25광년이며, 우리로부터 1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진은 지난 달 호주 Yalbraith에서 깊은 노출을 통해 촬영되었다. 고대부터 알려져 있던 이 성단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기원 후 130년 프톨레미 때이다. 사진의 중앙으로 어두운 먼지 구름과 이 성단에는 속하지 않는 말 그대로 수백만의 별들이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09년 11월 8일 자) http://antwrp.gsfc.nasa.gov/apod/ap091108.html 참고 : M7을 비롯한 각종 성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