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sar 9

3C 279 : 처음으로 분석된 퀘이사의 기저부

Credit: Kim et al. (2020), EHT Collaboration EHT를 이용하여 2017년 4월에 촬영한 3C 279퀘이사의 제트구조 1년 전 이벤트허라이즌망원경(the Event Horizon Telescope, 이하 EHT) 협력관측으로 블랙홀에 대한 사상 첫 사진으로서 전파복사은하인 M87의 블랙홀 사진이 발표된 바 있다. 이러한 협력관측은 머나먼 거리에 있는 퀘이사 3C 279 관측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정보를 얻어내는데까지 이르렀다. 초대질량블랙홀에 의해 생성된 제트에 대해 가장 정교한 모습을 관측해 낸 것이다. 막스플랑크전파천문학연구소(the Max Planck Institute for Radio Astronomy) 김재영 박사가 이끈 새로운 분석은 여러 관측 기구의 협력하에 ..

은하를 관통하는 퀘이사의 쓰나미

사진 1> 이 그림은 중심에 활동성 퀘이사를 품고 있는 은하를 그린 상상화이다. 퀘이사는 초거대질량의 블랙홀로부터 생성된 어마어마한 양의 에너지를 뿜어낸다. 허블우주망원경의 독보적인 관측능력을 이용하여 블랙홀 인근의 작열하는 복사압력에 의해 은하 중심에서 어마어마한 속도로 밀려나오고 있는 물질들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퀘이사 폭풍은 매년 태양 질량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질량들을 몰아내고 있으며 은하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의 독보적인 관측 성능을 이용하여 천문학자들이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폭풍을 포착해냈다. 이 폭풍은 퀘이사로부터 몰아쳐 나오는 것으로 퀘이사가 자리잡은 은하 전반을 마치 쓰나미처럼 휩쓸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퀘이사는 극단적으로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천체로서 어..

퀘이사를 감싸고 있는 거대한 헤일로

사진1> 이 모자이크 사진은 스위스 연방기술연구소가 주도하는 국제 천문연구팀이 관측한 19개 퀘이사 중 18개를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퀘이사들은 모두 밝은 가스상 헤일로에 둘러싸여 있다. 관측 대상이 된 모든 퀘이사들이 이처럼 밝은 헤일로에 둘러싸여 있었던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관측은 ESO VLT에 장착된 MUSE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이 머나먼 퀘이사에서 그 주위를 감싸고 빛나고 있는 가스구름을 발견해냈다. ESO 초대형망원경(Very Large Telescope, 이하 VLT)에 장착되어 있는 MUSE를 이용하여 진행된 이번 연구에서는 퀘이사 주변에 형성되는 헤일로가 예상보다 훨씬 더 일반적인 현상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 놀라운 발견에서 찾아낸 헤일로의 속성..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블랙홀을 암시하는 퀘이사들

찬드라우주빛통을 통한 새로운 연구는 엄청난 양의 물질들을 먹어치우는 블랙홀들의 존재를 알려주고 있다. 이 블랙홀 주변에는 두꺼운 도넛 모양의 원반들이 감싸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이 복사의 상당 부분을 막아서고 있다. 이 일련의 퀘이사 속에 위치하는 블랙홀들은 비정상적인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은 NASA 찬드라 X선 빛통을 이용하여 51개의 퀘이사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왔으며 이곳에서 엄청난 양의 물질을 먹어치우는 독특한 블랙홀들의 존재를 발견한 것으로 보인다. 이 퀘이사들은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을 품고 있으며 각각 다른 유형의 빛으로 밝게 빛나고 있다. 찬드라 빛통에 의해 수집된 X선의 속성을 조사함으로써, 그리고 이 데이터를 자외선및 가시광선으로 관측한..

퀘이사 INDEX

Index 폴더에는 본 블로그에 포스팅된 사진 및 내용들을 카테고리별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분류 목록을 게시하고 있습니다. 본 Index는 '퀘이사'에 대한 포스트들이 분류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퀘이사들은 거대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149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블랙홀을 암시하는 퀘이사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7924 수십억 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는 퀘이사의 대규모 정렬 양상 https://big-crunch.tistory.com/12347529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396 우주를 관통하는 퀘이사의 쓰나미 : 강력한 퀘이사 ..

대부분의 퀘이사들은 거대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사진 1> 이 4개의 은하는 너무나 많은 먼지에 둘러싸여 있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는 퀘이사의 밝은 빛도 볼 수 없는 상태이다. 퀘이사란 블랙홀이 중력장에 포착된 물질을 집어삼킬때 그 에너지를 받아 아주 밝게 빛나며 수백만도의 온도로 가열되는 천체이다. 이 은하들은 NASA에서 운..

중력렌즈 퀘이사

천문학자들이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중력렌즈 역할을 하고 있는 퀘이사를 포함한 은하들을 찾아냈다. 중력렌즈란 뒤쪽에 위치한 먼거리의 은하 이미지가 앞쪽 천체의 중력으로 인해 확장되거나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이다. 퀘이사란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로서 자신이 속한 은하의 모든 별을 앞친것보다도 훨씬 밝은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한다. 퀘이사는 거대질량의 블랙홀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 '중력렌즈로 작용하는 퀘이사가 속한 은하'라는 흔치 않은 경우의 발견은 EPFL(the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Switzerland)의 Frederic Courbin 이 이끄는 연구팀이 Sloan Digital Sky Survey(SDSS)에서 관측한 2만 3천개의 퀘이사 스펙트..

새로운 눈이 열리다.-8-

2009년 9월 9일부터 업그레이드 된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고해상도 천체사진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2009년 9월 9일 발표된 허블 사이트의 뉴스를 나누어 싣습니다. 뉴스 헤더는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5815 ) 허블우주망원경에 새로 장착된 장비를 이용하여 우주의 불꽃인 원거리의 퀘이사를 탐색하여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우주의 뼈대를 관측하기 시작했다. 우주의 거미줄(이하 코스믹 웹, cosmic web)이라 불리는 이 뼈대는 은하사이에 위치하는 희미한 방사상 구조물이다. 일반 물질의 거의 반 이상은 은하 외부에 자리잡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코스믹 웹을 관측함으로써 은하를 형성시킨 원재료를 탐색할 수 있고, 이들이 오늘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