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seid Meteor Shower 12

피레네 상공의 페르세우스 별비

프랑스 피레네 국립공원을 가로지르는 산맥과 야경을 담은 이 사진에는 페르세우스 별비가 절정에 다다르던 지난 8월 12일의 풍경이 담겨 있다. 다양한 노출을 통해 촬영한 사진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이 사진은 달걀달이 뜨기 약 1시간 전 꼴 듀비스크 산악도로에서 촬영한 것이다. 사진 중앙 남쪽으로는 안개낀 계곡과 귀렛뜨 스키장의 밝은 빛이 보인다. 한 시간 이상에 걸쳐 촬영된 사진들에는 수많은 별들과 미리내를 배경으로 밝고 기다란 페르세우스 별비의 궤적이 담겼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7년 8월 18일 자) https://apod.nasa.gov/apod/ap170818.html 참고 : 다양한 별똥별 및 별비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big-..

바다 위의 페르세우스 별비

8월 12일 달이 뜨자 우주의 모래알갱이가 바다로 떨어졌다. 해마다 찾아오는 페르세우스 별비의 하나가 빛을 밝히는 순간이었다. 페르세우스 별비를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주기혜성인 스위프트-터틀 혜성이 궤도상에 남겨놓은 먼지가 지구로 쓸려 들어와야 한다. 지구 대기에 초속 60킬로미터의 속도로 쓸려들어온 혜성의 잔해는 100킬로미터 고도에서 빠르게 증발하게 된다. 밤바다에서 촬영된 이 사진과 같이 페르세우스 별비는 자주 밝고 화려한 빛을 발산한다. 수많은 별들과 희미한 미리내가 고요한 밤하늘과 함께 담겨 있는 모습이 달빛어린 달마티아 해변에서 브락 섬을 바라본 이 사진에서 아드리아 해를 가로질러 남쪽과 서쪽으로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7년 8월 16일 자) https://apod...

페르세우스 별비가 내리는 밤

이번 주말에는 매년마다 찾아오는 페르세우스 별비가 절정을 맞으며 별똥별이 비처럼 쏟아지게 된다. 다채롭고 밝은 별비를 만들어내는 페르세우스 별비는 지구가 스위프트-터틀 혜성의 공전 궤도를 통과할때 그 경로상에 남겨진 먼지를 쓸어담으면서 만들어진다. 이들은 청명한 이른 새벽의 지평선 위에 뜬 페르세우스자리에서 방사상 궤적을 그리면 떨어진다. 하현에 접어든 달빛에도 불구하고 올해 페르세우스별비는 여전히 구경할만한 별비가 될 것이다. 특히 당신이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탁트인 곳에 있다면 더더욱 볼만한 페르세우스별비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2016년 페르세우스별비를 담아낸 이 합성사진에는 별빛 가득한 미리내와 함께 사진 중앙 바로 위쪽으로 희미한 안드로메다 은하까지 함께 담겨있다. 앞쪽으로는 모든 연령대의 ..

터키에서 촬영된 페르세우스별비

연중 최상의 별비를 보여주는 페르세우스별비가 다음주 후반 절정을 맞게 된다. 어두운 곳에서 청명한 하늘을 볼 수 있다면 매 분 단위로 밝은 별똥별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별똥별들은 스위프트-터틀 혜성으로부터 떨어져나온 암석 부스러기들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암석부스러기들은 지구 대기에서 증발하게 될 때까지 계속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 이 인상적인 사진은 지난해 터키에서 촬영된 페르세우스별비 사진들을 합성한 것이다. 각 별똥별의 방사형 궤적을 따라가보면 왼쪽 멀리 페르세우스자리를 역추적해 볼 수 있을만큼 충분한 별똥별들이 담겨 있다. 페르세우스 별비의 끝자락은 오는 8월 21일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기간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운좋은 천체사진가라면 한낮의 페르세우스별비를 촬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출처 ..

하트성운을 가로질러가는 나선형 별똥별

이 별똥별은 무얼 하고 있는 것일가? 역학적으로 볼때, 이 불꽃의 정 중앙에 모래알 크기의 입자가 있는 것임을 말해주는 독특하게 짧고 비대칭의 양상을 보여주는 궤적은, 입자가 소멸되는 과정에 순간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약간의 나선형 경로를 만들어내고 있다. 위치적으로 이 별똥별은 하트성운을 가로지르고 있는데 실제 이 별똥별은 지구의 대기상에 있는 것이므로 그 거리는 하트성운 대비 천조분의 1 수준으로 가까운 거리이다. 지난 달 유성우가 절정을 맞던 밤에 촬영된 이 별똥별은 페르세우스 별비에서 발생한 별똥별일 것으로 보인다. 페르세우스자리에 있는 페르세우스별비의 복사점은 이 별똥별의 궤적이 가리키는 방향인 사진의 우측 상단, 화각 바깥에 위치하고 있다. 하트성운은 1분간의 노출로 18장이 촬영되었는데 이 사..

페르세우스 유성우 2013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본적이 있는가? 비록 유성우 극대기로 예상된 때는 지난 밤이었지만 유성우는 오늘밤(월 13일~14일)에도 계속될 것이며 자정 이후 청명하고 어두운 하늘 아래에서라면 충분히 유성우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달이 없는 밤이라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초승달이 여명이 밝아오기 전에는 떠오르지 않기 때문에 달빛의 방해 없이 수많은 희미한 유성들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초승달 시점에 발생한 마지막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2013년이었다. 이 사진은 당시 크로아디아 해안에 위치한 흐바르 섬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 광각 합성 사진에는 8월 8일부터 14일까지 희미한 황도광과 미리내를 배경으로 페르세우스 자리에서 방사형으로 쏟아진 67개의..

수수께끼의 초록색 불빛

이것은 무엇일까? 이 동영상에 나오는 자연현상이 분명한 어떤 장면은 아직까지 그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동영상은 늦여름 캐나다 뉴 브런즈윅, 호프웰 록스 상공에 나타난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촬영한 것이다. 8월 11일 저녁 9시 30분부터 이튿날 새벽 3시까지를 담고 있는 동영상에는 그림과 같은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몇몇 유성과 위성이 만들어낸 궤적들이 기록되어 있다. 각각의 장면은 30초간의 노출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약 25초쯤에 특이한 초록색 불꽃이 온 하늘을 가득 덮는 장면이 보인다. 대기광이나 오로라, 인공물체로부터 나오는 불빛 또는 모종의 자연적인 불빛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겠지만 몇몇 측면에서 이것은 완전히 다른 성격을 갖고 있다. APOD는 단순히 이 흥미로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서..

중국에서 촬영된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 2013

혜성의 잔해가 이달초 지구에 비처럼 떨어지면서 매년 발생하는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어두운 밤하늘에 줄무늬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 허베이성, 장베이 평원 위에서 우주의 기상현상을 즐기는동안 천문학자 지앙 찬이 8월 12일~13일 밤 광대역 렌즈를 사용하여 10초간의 장노출을 4시간동안 이어가면서 이 사진을 촬영하였다. 지앙 찬은 68개의 유성 섬광을 담은 사진들을 합성하여 여름의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를 담은 이 사진을 만들어냈다. 비록 모래알 크기의 혜성 알갱이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을 이루며 움직이지만 그 결과 만들어지는 유성우는 명백하게 페르세우스 자리 방향의 한 지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오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 방사상 효과는 사람이 바라보는 시선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각각 평행을 이루는 궤적은 먼 ..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2013

두개의 밝은 유성의 섬광이 밤하늘을 가로지르고 있는 이 광경은 8월 7일, 지금도 계속 진행중인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한 부분이다. 두개의 유성이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가보면 방사상으로 유성우를 뿌리고 있는 페르세우스 자리가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모든 별들이 아치형으로 짧은 궤적을 그리고 있는 그 중심부근에는 북극성이 위치하고 있으며 사진 상단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하늘을 이고 선 자세에서 이름이 지어진, 위협적으로 보이는 사암절벽에 세워진 수도원 건물은 메테오라(Meteora)의 일부이다.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한 메테오라는 그리스 중부 칼라바카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역사적인 공중수도원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8월 10일 자) http://apod.n..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2012

중세의 알브레크츠버그 성(Albrechtsberg castle)은 오스트리아 멜크시와 피라크 강의 북쪽 둔덕 숲속에 자리잡고 있다. 서쪽 하늘을 바라보고 촬영된 이 사진에서, 2012년 8월 12일 청명한 하늘아래의 이 성은 북반구의 여름 별자리인 물병자리, 독수리자리 그리고 희미하고 작지만 촘촘하게 몰려있는 돌고래자리(사진 중앙의 상단과 우측) 아래에 우뚝 서 있다. 또한 이 사진에는 성벽 위로 밝은 빛을 내는 유성이 함께 담겨 있다. 매년 발생하는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하나인 이 유성의 궤적을 반대로 따라가면 이른 새벽의 지평선 높이 자리잡은 페르세우스 자리가 위치하고 이다. 지구 대기에 초속 60킬로미터의 속도로 진입하는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스위프트-터틀 혜성의 꼬리로부터 남겨진 먼지 잔해들이 쓸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