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4. 7. 22:31ㆍ3. 천문뉴스/허블사이트
사진 1> 왼쪽 사진 - 이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C/2013 A1 혜성(사이딩 스프링 혜성,Siding Spring)으로 2014년 3월 11일 촬영된 것이다.
당시 이 혜성은 지구로부터 5억 6천 4백만 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고체 얼음 핵은 너무나 작아서 허블우주망원경으로로도 식별이 되지는 않지만, 이 핵은 코마라고 불리는 1만 9천 킬로미터 지름의 먼지 구름 정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 - 코마의 빛 분포에 대한 부드러운 모델(smooth model)과 대응되는 코마의 불꽃이 이미지 처리를 통해 제거되었을 때, 허블 우주망원경은 핵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뿜어져나오는 두 개의 제트를 색별해낼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핵 표면의 특정 부분이 태양빛에 의해 데워지면서 활동성을 띠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제트들이 허블 우주망원경에 의해 처음으로 식별된 것은 2013년 10월 29일이었다.
이 구조물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이 핵의 극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측정할 수 있게 해 주었고, 이어서 그 회전축도 알아낼 수 있었다.
이 혜성은 2013년 1월 호주 뉴사우스 웨일즈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의 로버트 H. 맥너트(Robert H. McNaught)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이 혜성은 대략 1백만년 주기의 공전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태양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데 현재는 목성 공전 궤도 안으로 들어온 상태이다.
이 혜성이 태양에 가장 근접하게 될 때는 10월 25일이며 이때 거리는 2억 8백만 킬로미터로서, 지구 공전궤도보다 더 떨어져 있는 거리이다.
이 혜성은 내행성계로 향하는 와중에 2014년 10월 19일 화성을 13만 킬로미터 거리로 통과할 예정인데 이 거리는 지구와 달 거리의 반 정도에 지나지 않는 거리이다.
이 혜성의 밝기는 육안으로보기에 충분할만큼 밝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2014년 1월 21일에 수행된 허블 관측에서 이 혜성은 지구의 공전궤도면을 가로지르는 모습이 포착된 바 있다.
이러한 특별한 기하학적 움직임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이 헤성의 핵으로부터 분출되어 나오는 먼지의 속도를 보다 잘 측정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아리조나 행성과학 연구소의 리 지안양(Jian-Yang Li)은 이 정보가 화성이나 화성의 탐사선에 영향을 미치게 될 코마의 먼지 다발이 얼마나 되는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핵심정보라고 말했다.
이 가시광선 사진은 허블 WFC3에 의해 촬영된 것이다.
사진 2> 이 사진은 2013년 10월 29일, 2014년 1월 21일과 3월 11일에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사이딩 스프링 혜성의 모습을 차례로 보여주고 있다.
혜성까지의 거리는 각각 6억 킬로미터, 5억 5천만킬로미터, 5억 6천 5백만 킬로미터이다.
모든 사진에서 제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며 그 방향 역시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 출처 : 허블사이트 2014년 3월 27일 발표 뉴스
http://hubblesite.org/newscenter/archive/releases/2014/19/
참고 : C/2013 A1 사이딩스프링 혜성을 비롯한 태양계의 다양한 작은 천체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왜소행성 :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57
소행성 :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56
혜성 :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55
유성 :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54
원문>
Hubble Sees Mars-Bound Comet Sprout Multiple Jets
Image: Hubble Sees Mars-Bound Comet Sprout Multiple Jets
ABOUT THIS IMAGE:
[Left]
This is a Hubble Space Telescope picture of comet C/2013 A1 Siding Spring as observed on March 11, 2014. At that time the comet was 353 million miles from Earth. The solid icy nucleus is too small to be resolved by Hubble, but it lies at the center of a dust cloud, called a coma, that is roughly 12,000 miles across in this image.
[Right]
When the glow of the coma is subtracted through image processing, which incorporates a smooth model of the coma's light distribution, Hubble resolves what appear to be two jets of dust coming off the nucleus in opposite directions. This means that only portions of the surface of the nucleus are presently active as they are warmed by sunlight, say researchers. These jets were first seen in Hubble pictures taken on Oct. 29, 2013. The feature should allow astronomers to measure the direction of the nucleus's pole, and hence, rotation axis.
Discovered in January 2013 by Robert H. McNaught at Siding Spring Observatory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the comet is falling toward the Sun along a roughly 1-million-year orbit and is now within the radius of Jupiter's orbit. The comet will make its closest approach to our Sun on Oct. 25, at a distance of 130 million miles — well outside Earth's orbit. on its inbound leg, Comet Siding Spring will pass within 84,000 miles of Mars on Oct. 19, 2014 (less than half the Moon's distance from Earth). The comet is not expected to become bright enough to be seen by the naked eye.
An earlier Hubble observation made on Jan. 21, 2014, caught the comet as Earth was crossing the comet's orbital plane. This special geometry allows astronomers to better determine the speed of the dust coming off the nucleus. "This is critical information that we need to determine how likely and how much the dust grains in the coma will impact Mars and Mars spacecraft," said Jian-Yang Li of the Planetary Science Institute in Tucson, Ariz.
This visible-light image was taken with Hubble's Wide Field Camera 3.
Object Name: C/2013 A1 Siding Spring
Image Type: Astronomical/Annotated
Credit: NASA, ESA, and J.-Y. Li (Planetary Science Institute)
'3. 천문뉴스 > 허블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의 거리 측정지표를 10배 이상 확장시키다. (0) | 2014.05.01 |
---|---|
엘 고르도(El Gordo) 은하단이 생각보다 큰 규모를 가지고 있음을 밝혀내다. (0) | 2014.04.07 |
소행성의 수수께끼에 싸인 분열 양상을 증명하다. (0) | 2014.03.08 |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초신성 SN 2014J (0) | 2014.02.27 |
대마젤란 성운에서 별의 움직임을 포착하다. (0) | 201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