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2)
-
스피처우주망원경이 아이손 혜성의 가스 복사를 관측하다.
이 뉴스는 2013년 7월 24일에 발표된 뉴스입니다. 2020년 1월,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https://solarsystem.nasa.gov)사이트에서 발표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중 하나로 이 뉴스가 선정되어 오래된 내용이지만 이곳에 상세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역자 주) Credits: NASA/JPL-Caltech/JHUAPL/UCF 사진 1> 이 사진은 2013년 6월 13일 촬영된 C/2012 S1, 아이손 혜성을 담은 것으로 스피처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이다. 사진을 촬영할 당시 아이손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5억 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천문학자들이 스피처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아이손 혜성으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가스..
2020.01.27 -
스피처 우주망원경과 딥임펙트호가 혜성 수프를 위한 레시피를 구축하다.
이 뉴스는 2005년 7월에 발표된 뉴스입니다. 2020년 1월,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https://solarsystem.nasa.gov)사이트에서 발표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중 하나로 이 뉴스가 선정되어 오래된 내용이지만 이곳에 상세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역자 주) 사진 1> 배고픈 혜성을 위한 차림상? 천문학자들이 스피처우주망원경과 딥임펙트 미션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혜성 "수프"를 만들기 위한 재료들을 모아봤다. 혜성 "수프"란 우리 태양계에 있는 행성이나 혜성을 비롯한 여러 천체들을 만드는 원초적 재료들을 말한다. 2005년 7월 4일, 딥임펙트 호가 템펠 1 혜성에 성공적으로 충돌하였다. 이때 혜성에서 우리 태양계의 ..
2020.01.26 -
토성의 가장 거대한 고리를 발견하다.
이 뉴스는 11년 전인 2009년 10월에 발표된 뉴스입니다. 2020년 1월,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solarsystem.nasa.gov)사이트에서 발표된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 뉴스에서 이 뉴스가 첫 번째 뉴스로 꼽혀 오래된 내용이지만 이곳에 상세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역자 주) Image credit: NASA/JPL-Caltech/Keck 그림 1> 이 그림은 2009년 10월 7일 발표된 토성의 새로운 고리를 그린 상상화이다. 이 고리는 토성의 여러 고리들 중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이 고리는 스피처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다. NASA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통해 토성 주위를 휘감고 있는 거대한 고리가 ..
2020.01.25 -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말해 준 태양계의 10가지 비밀
그림 1> 이 그림은 적외선에서 찬란한 빛을 뿜어내는 우리은하 미리내의 전면을 지나는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그린 상상화입니다. NASA의 스피처우주망원경은 머나먼 우주의 차갑고 먼지 가득한 지역의 비밀을 밝혀주도록 설계된 망원경입니다. 그런데 이 망원경은 우리의 고향 태양계에서도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상당히 많은 발견을 이뤄냈습니다. 스피처우주망원경을 제작할 당시에는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성과죠. 여기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우리 마당에 해당하는 우주, 즉 태양계에서 어떤 과학적 성과를 이뤘는지 소개하고자 합니다. 1. 토성의 가장 큰 고리를 발견하다. 그림 2> 이 그림은 토성의 수많은 고리 중 가장 거대한 고리를 그린 개념도입니다. 이 고리는 가시광선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토성은 ..
2020.01.24 -
선물같은 하루 - 광주창의융합교육원 강의 후기
2020년 1월 15일.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에서 열린 2020 동계 중등 지구과학 교사 실험연수에 '별자리의 기원과 역사', '칠레 일식 여행기'를 강의하러 다녀왔습니다. 2018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2급 천문지도사 과정을 통해 인연을 맺은 조현웅 선생님께서 만들어주신 소중한 자리였습..
2020.01.20 -
생명 탄생의 중요 원소 중 하나인 인(P)의 흐름을 추적하다.
그림 1> 이 그림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중 하나인 인의 양상이 별사이 우주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이번 연구의 핵심 결과를 묘사한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ALMA를 이용하여 AFGL 5142라는 별생성구역에서 인을 함유한 분자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 그림의 배경에는 마차부자리의 일부가 담겨있다. 이번에 연구된 AFGL 5142 라는 별생성구역이 위치하는 곳이다. ALMA가 관측한 대상이 그림 상단 왼쪽에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연구팀이 인을 함유하고 있는 분자를 발견한 지역 중 하나가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AFGL 5142에서 발견된 인을 함유하고 있는 분자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일산화인이었다. 하단 왼쪽 그림에서 일산화인이 주황색과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다른 분자는 질화..
2020.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