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1)
-
[스크랩] 소행성 2007 TU24의 지구 통과 모습
어제 저녁 지구를 지나간 소행성 2007 TU24 모습이 천문연구원으로 부터 지금 막 도착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블로거들에게 먼저 보여드립니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지난 1월 29일 저녁 6시 47분, 대덕관측소 0.6m 광시야 망원경과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을 이용해서 촬영한 2007 TU24의 관측 영상..
2008.01.31 -
TU24
소행성 2007 TU24 가 아무런 위협 없이 1월 29일 지구를 스쳐갔다. 지름이 250미터 정도인 이 암석덩어리는 달의 공전궤도 바깥쪽으로 스쳐지나갔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사실 이례적인 현상은 아니다 -- 작은 운석들이 매일 지구와 충돌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버스 크기의 운석이 달 공전 궤도의 안쪽을 스쳐지나가는 것이 관측되기도 했다. TU24의 경우는 크기로 인해 어느 정도 주목을 받을만 했다. 만약 TU24가 지구의 육지에 떨어졌다면 리히터규모 7 등급의 지진을 발생시키면서 도시 크기의 크레이터가 생성되었을 것이고, 바다에 추락했다면 거대한 쓰나미를 발생시켜 더 큰 위험이 되었을 것이다. 이 레이더 이미지는 1월 27일 촬영된 것이다.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에서 발사된 전파로부터 ..
2008.01.31 -
NGC 7742
달걀을 한쪽만 프라이한 모습으로 보이는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소규모 나선형 은하인 NGC 7742를 정면에서 촬영한 모습이다. NGC 7742는 평범한 나선형 은하가 아니다.사실 이 나선형 은하는 세이퍼트 2 유형의 활동을 보이는 은하로서 이 유형의 은하들은 은하의 중심에 자리잡은 블랙홀에 의해 동력을 얻는 것으로 여겨진다. 사진 중앙에 NGC 7742의 핵이 거대한 노란색의 '달걀 노른자'처럼 보인다.핵을 둘러싸고 있는 두껍게 덩어리진 고리는 새로운 별들이 활발하게 생성되고 있는 지역이다. 이 고리는 중심핵으로부터 3000광년 떨어져 있다. 조밀하게 감겨있는 나선형 팔들이 희미하게 보이는데,안쪽으로 감싸고 있는 희미한 고리는 새로운 별들이 생성되면서 발생한 잔류물들로 보이는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
2008.01.31 -
하늘의 보석들
Credit: Hubble Heritage Team (AURA/STScI/NASA/ESA) 허블우주망원경이 별들이 휘황찬란하게 빛나고 있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 방향을 엿볼 수 있게 해 주었다. 우리은하의 대부분의 광경은 우주 먼지에 가려져 분명치 않게 나타난다.이번 촬영은 허블이 궁수자리 성운의 우주먼지가 존재하지 않는 아주 좁은 지역을 정밀하게 응시하여 이루어졌는데, 이를 통해 별들로 가득찬 보석상자와 같은 멋진 광경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보석들 중 일부는 우리 은하에 가장 오랫동안 머물고 있는 별들이다.과학자들은 우리은하의 중심에 존재하는 늙은 별들을 연구함으로써 우리 은하의 진화에 대하여 더 많이 알 수 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
2008.01.30 -
화성의 서쪽 계곡
이곳에서 바라본 화성은 어떤 모습일까? 지난 9월 스피릿호의 화성탐사 로봇이 울퉁불퉁하고 미끄러운 지형을 지나 동면 지점에 도착하기 전에 '홈플레이트(Home Plate)'로 알려진 작은 고원에 올라가 주위경관을 촬영했다. 홈 플레이트의 평평한 정상의 한 부분이 이 사진에 담겨있다.왼쪽 바위가 흩뿌려져 있는 치올코프스키 능선에 대비되어 8킬로미터 거리에 보이는 것은 그리섬 언덕(Grissom Hill)이다. 오른쪽 800미터 거리에 보이는 것은 남편 언덕(Husband Hill)으로서 이곳은 이미 스피릿 호에 의해 탐사되었으며, 서쪽방향으로 보이는 전경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이 솟아 있다. 삽입된 확대 사진은 비공식적으로 리틀 빅풋(Little Bigfoot)으로 명명되었는데 전혀 움직임이 없는 이 바위는..
2008.01.29 -
NGC 4314
Credit: G. Fritz Benedict, Andrew Howell, Inger Jorgensen, David Chapell (University of Texas), Jeffery Kenney (Yale University), and Beverly J. Smith (CASA, University of Colorado), and NASA/ESA 허블이 촬영한 이 이미지에는 먼지로 이루어진 띠들과 이보다 얇은 별들의 띠, 먼지와 가스가 포함된 고리와 어린 별들을 품고 있는 나선형 팔 등, 은하 중심의 세부적인 모습들이 포함되어 있다.이러한 세부모습들은 특히 중심이 부각된 나선형 은하의 미니어처 버전을 만들어내고 있다. 은하의 중심부에 가스의 고리와 띠들을 포함하고 있는 모습은 일반적인 형태이긴 하지만중..
2008.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