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성운 3

캘리포니아 성운과 플레이아데스 성단

캘리포니아 성운으로부터 플레이아데스 성단까지의 천체관측 여행은 행성 지구의 밤하늘에서 거의 12도에 달하는 영역을 가로질러가야 할 것이다. 이 폭은 무려 25개의 보름달의 각크기에 달하는 것으로서 망원경으로는 페르세우스 자리와 황소자리의 경계를 모두 휩쓸며 관측해야 한다. 이 광대역의 깊의 노출을 이용한 모자이크 사진은 먼지 가득한 성운들과 그 색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은 육안으로 보기에는 너무나 희미한 천체들이다. 왼쪽으로 보이는 NGC 1499로 등재된 캘리포니아 성운은 낯익은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이 성운의 경계선은 거의 60광년에 달하며, 1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성운의 뚜렷한 붉은 빛은 페르세우스 크사이 별로부터 발생한 빛에 의해 이온화된 수소 원자때문이다. 페르세우스 자리 크사..

M45와 NGC 1499

우측 상단에 푸른색으로 장식되어 있는 곳은 플레이아데스 성단이다. 일곱 자매, M45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플레이아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고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산개성단이다. 13광년 너비로 펼쳐져 있으며 400광년 떨어져 있는 플레이아데스에는 약 3천개 이상의 별들이 모여 있다. 이 별들의 주위는 푸른색 빛을 반사하는 선명한 먼지들에 의해 푸른색 반사성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전설에서는 이 성단의 이름이 지어진 후 가장 밝은 별 하나가 사라졌다고 한다. 왼쪽 하단에 붉은 빛으로 빛나는 성운은 캘리포니아 성운이다. 그 모양이 캘리포니아 주를 닮아서 이름붙여진 이 성운은 훨씬 흐릿하게 빛나고 있어 플레이아데스에 비해서는 찾아보기 힘든 성운이다. NGC 1499로도 알려져 ..

황도광과 은하수

1월 23일 촬영한 이 사진에는 2개의 빛 기둥이 서로 주목을 끌기위한 경쟁을 하고 있는 모습이 담겨있다. 지평선 위로 아치를 그리며 밤하늘로 솟구쳐 오르고 있는 왼쪽의 빛 기둥은 황도광으로 태양계 황도면에 존재하는 우주먼지들이 태양빛을 산란하면서 발생하는 빛이다. 그 반대편 오른쪽으로 희미한 별들과 먼지 구름들, 성운들로 구성된 빛기둥은 우리 은하수이다. 두 개의 빛기둥이 테네리페 섬, 테이데 천문대의 돔과 건물위로 우뚝 서있다. 또한 카나리 제도의 자연 그대로의 어두운 하늘위로 밝게 빛나는 금성, 안드로메다 성운, 사랑스러운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보이고 있다. 물론 경험많은 관측자라면 여기서 M33과 캘리포니아 성운, IC1805와 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정보출처 : NAS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