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블우주망원경 6

IC 5332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의 사진 비교

이 웅장한 사진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MIRI(the Mid-InfraRed Instrument, 중적외선장비)로 나선은하 IC 5332를 촬영한 것이다. 2,9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IC 5332는 지름 66,000광년으로 우리은하 미리내 대비 2/3정도 크기의 은하이다. 이 은하가 인상적인 점은 우리에게 거의 정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칭형으로 뻗어나간 나선팔의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탑재된 MIRI는 중적외선 대역(5 μm ~ 28 μm)에 특화된 유일한 장비로서 다른 장비들은 모두 근적외선 대역에서 관측하는 장비이다. MIRI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여타 장비보다 33도나 낮은 영하 266도에서 작동한다는 것이다. 영하 266도는 절대온도 0도와 고작..

NGC 5068 : 허블우주망원경

사진 1>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으로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대역에서 바라본 NGC 5068의 모습이 담겨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발표한 새로운 사진의 전면을 밝은 분홍 빛과 짙은 붉은 빛이 어우러진 다발이 가득 채우고 있다. 이 사진은 막대나선은하 NGC 5068의 사진이다. NGC 5068은 새로운 별들을 빚어내고 있는 수천 개의 별생성 구역과 막대한 양의 성간 먼지를 품고 있다. 영국천문학자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에 의해 1785년 처음 발견된 NGC 5068은 처녀자리의 남쪽 지역에 위치하며 지구로부터는 2천만 광년 떨어져 있다.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의 지름을 45,000 광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진 상단 중앙에 보이는 확연히 밝은 막대는 NGC 5068..

태양활동과 해왕성 대기변화 사이의 연관관계

사진 설명 : 이 사진은 1994년부터 2020년까지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해왕성 대기의 변화양상이다. 해왕성의 구름을 처음 촬영한 것은 1989년 보이저 2호에 의해서였다. 보이저 2호가 보내온 사진에 담긴 선형으로 늘어선 밝은 구름은 마치 지구의 새털구름 같았다. 해왕성의 구름은 메탄으로 이뤄진 해왕성 대기 위에 떠 있었으며 모든 태양빛을 반사하면서 하얀색을 띠고 있었다. 천문학자들이 복잡한 자기장 활동의 증가 또는 감소가 만들어내는 11년 주기의 태양활동과 해왕성 구름의 변화 사이에 연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번 발견은 허블우주망원경과 하와이 켁 천문대(the W. M. Keck Observatory), 캘리포니아 릭 천문대(the Lick Observatory)의 30년 간 누적된 해와..

딸꾹질을 하듯 대기를 뱉어내는 현미경자리 AU별 b행성(AU Mic b)

여기 요란한 적색왜성 주변을 도는 어린 행성이 하나 있다. 이 행성은 매 공전마다 예측할 수 없는 변화를 보인다. 이 행성은 자기 별에 너무나 가깝게 붙어 있다. 그래서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광풍을 지속적으로 얻어맞고 있으며 이로인해 증발한 수소대기가 이따금씩 터져나오곤 한다. 그런데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이 행성을 1년 반 동안 관측했을 때, 대기 유출이 일어나고 있음을 말해주는 명확한 징후가 관측된 반면, 어떤 때는 유출되는 물질이 일절 없는 상태도 보여주었다. 공전 과정에 나타난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인해 천문학자들은 충격에 빠졌다. 다트머스 대학교(Dartmouth College)의 카일리 락클리페(Keighley Rockcliffe)는 이처럼 짧은 기간 내에 어떤 현상이 전혀 보이지 않다가 갑작스럽..

토성고리에서 발견된 새로운 바큇살 무늬

SCIENCE: NASA, ESA, Amy Simon (NASA-GSFC) / ANIMATION: Alyssa Pagan (STScI) 동영상 설명> 이 동영상은 토성고리에 나타난 새로운 바큇살 무늬를 보여주기 위해 4분 간격으로 촬영된 일곱 장의 사진을 붙여 만든 동영상이다. 뭐라 규정하기는 어려운 무늬가 순간 나타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무늬가 순환하는 속도는 토성고리는 물론 토성 자기장의 자전 주기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지점을 지나 토성 고리에 무늬가 나타나는 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에서 수수께끼의 바큇살 무늬가 나타났다. 계절적 변화를 보이는 이 바큇살 무늬의 발생 원인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지구처럼 토성도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 4계절을 가지고 있다. 물론..

허블망원경을 통한 과학적 성과 : 허블 발사 19주년 기념뉴스 - 2 -

1. 허블 우주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들 4백년전 갈릴레오는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달의 산들과, 목성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들, 그리고 우리 은하의 수많은 별들을 관측하기 시작하면서 지구 중심의 우주관을 가지고 있던 당시의 의식에 일대 변혁을 촉발시켰다. 19년 전, NASA에서 허블 우주 망원경을 우주왕복선에 탑재하여 우주에 설치한 일 역시 천문학사에 있어 또 하나의 혁명이라 할 수 있다. 이로써 처음으로 별빛과 천체의 모습을 왜곡시키는 지구 대기를 벗어나 가시광선으로 천체를 관측하게 된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해 위대한 발견들을 이룩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고 허블 망원경은 그 기대대로 새로운 발견을 지속해왔다. 천문학자들과 천체물리학자들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이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