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warf Galaxy 6

왜소은하에서 초거대질량 블랙홀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찾아내다.

사진 1> 지구로부터 1천 3백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왜소은하 NGC 4395는 태양 질량의 30만배가 넘는 블랙홀을 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은하는 규모가 너무 작아 이와 같은 블랙홀을 품고 있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되어온 왜소은하의 전형적인 예이다. 왜소은하에서 초거대질량 블랙홀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찾아내다. 천문학자들이 대규모 천체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연구하여 주변의 가스를 먹어치우고 있는 무거운 블랙홀을 품고 있을 것으로 확인된 100개 이상의 작은 왜소은하들을 발견해냈다. 이번 발견은 오직 거대한 규모의 은하들만이 블랙홀을 가지고 있다는 일반적인 가정에 대한 반박이 되며 이들 블랙홀이 어떻게 생겨나는지와 초기 우주에서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에 대한 질문을 해결해줄 수 있을..

왜소은하에서의 별폭발

사진1 >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은 세 개의 왜소은하 NGC 4163, NGC 4068, IC 4662의 중심부에 존재하는 무수히 많은 별들을 보여주고 있다. 푸른 색조를 띠고 있는 점들은 젊은 별들이 몰려 있는 곳이고, 붉은 색조로 나타나 있는 점들은 늙은 별들이 몰려 있는 지역이다. NGC 4163과 IC 4662에서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붉은 점들은 별의 폭발활동이 진행중인 곳이다. 이 지역들은 또한 새로운 별의 생성이 강력하게 나타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 세 개의 은하는 가장 가까이 위치한 소규모 또는 왜소은하들에 대해 수행된 이번 연구의 한 사례들이다. 이번 연구에 의하여 실제 폭발하는 별빛의 지속기간은 천문학자들이 이전에 예측했던 기간의 100배 이상을 초과하는 2억년..

왜소은하 주위의 암흑물질 존재에 대한 새로운 증거

사진1> 이 네 개의 왜소은하는 페르세우스 은하단의 중심부에 위치한 왜소은하로서 이번에 조사된 은하의 일부이다. 이 은하들은 규질한 외형에 대칭이 뚜렷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이 은하들이 주위 고밀도의 은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중력작용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뜻한다. 이에 반해 이들 은하 주위에 좀더 큰 규모의 은하들은 중력상호작용에 의해 찢겨진 모습들이 발견되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을 통해, 이들 왜소은하들이 주위의 격렬한 중력 조석작용으로부터 보호받을만큼 충분한 양의 암흑물질의 쿠션에 감싸여 있다는 증거가 제시된 것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암흑물질의 헤일로에 담겨있는 은하들에 대한 일련의 강력하고 새로운 증거를 발견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해 페르세우스 은하단 중심부를 관측하던 중 발..

NGC 602, N90

허블 우주 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이 사진에는 소마젤란 성운의 중심부에서, 밝고 푸른 어린 별들이 생성되어 퍼져나오는 둥그런 공간을 묘사하고 있다. 새로운 별들이 생성되는 이 지역의 심장부에 NGC 602 성단이 자리잡고 있다. 고온의 어린 별들로부터 방출되는 고에너지 복사들이 성운의 안쪽 모서리를 깍아내면서 천천히 침식시키고 있으며 성운으로부터 뻗어나온 잔해들이 성단으로부터 몰아쳐나오는 강력한 에너지 분출을 막아서고 있다. 사진의 상단 왼쪽과 하단 우측에 먼지로 이루어진 봉우리들과 가스로 이루어진 가느다란 실들이 중앙을 향해 뻗친 모습이 보인다. 코끼리 코모양의 먼지 기둥들이 뜨거운 푸른별들을 가리키는 듯하게 도열해 있으면서 어린별로부터 쏟아져 나오는 별폭풍에 의해 침식작용이 발생하면서 격렬한 신호가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