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 5070 9

IC 5070 펠리칸 성운

밤하늘을 높이 가로질러가는 고니자리 방향으로 2천 광년 거리에는 펠리칸의 모습을 닮은 성운이 날아오르고 있다. IC 5070으로 알려져 있는 이 별사이우주 공간의 가스와 먼지 구름은, 우리에게 익숙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NGC 7000으로 등재된 북아메리카성운의 동쪽 해안 바로 바깥에서 발견된다. 펠리칸성운과 북아메리카성운은 모두 거대하고 복잡한 별생성 구역의 일부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별생성구역으로서 가까운 거리로 인해 우리에게 보다 더 잘알려진 성운은 오리온 성운이다. 우리의 시선에서 상단 왼쪽의 검은 먼지 구름은 펠리칸의 눈과 긴 부리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온화 가스의 전면에 형성된 밝은 부분은 펠리칸의 머리와 목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사진은 수소와 산소원자 구름의 복사를 기록한 협대역..

NGC 7000과 IC 5070

Image Credit & Copyright: Ezequiel Etcheverry 여기, 낯선 지역에 익숙한 모양의 천체가 있다. 왼쪽으로 보이는 것은 NGC 7000으로 등재되어 있는 발광성운으로 이 성운은 우리 지구 북아메리카 대륙을 닮은 모습으로 유명한 성운이다. 북아메리카 성운의 오른쪽으로 밝게 빛나는 지역은, 그 외곽선에서 연상되는 모습 때문에 펠리칸성운으로도 알려져 있는 IC 5070이다. 빛을 차단하는 먼지로 이루어진 검은 구름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이 두 개의 빛나는 성운들은 1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거리를 고려해 봤을 때 하늘의 4도 영역을 담고 있는 이 사진의 폭은 100광년에 해당한다. 이 장대한 우주의 초상화는 검은 먼지 구조물의 세부 모습과 함께 밝은 이온화 돌출부분을 ..

IC 5067

Image Credit & Copyright: Data - Subaru Telescope (NAOJ), R. Colombari, Processing - Roberto Colombari 다채로운 색감으로 잡아낸 이 고해상도 사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발광성운의 능선은 IC 5067로 등재되어 있는 천체이다. 펠리칸성운(The Pelican Nebula)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이보다 훨씬 더 큰 규모로 펼쳐져 있는 발광성운의 일부인 이 능선은 펠리칸의 머리와 목부분을 따라 굽어지며 10 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다. 성운의 원자들로부터 방출되며 성운 전체에 걸쳐 퍼져 있는 협대역 복사선을 인위적인 색깔로 치환한 이 사진은 별생성구역을 표현하는 허블우주망원경의 인기있는 색채 조합으로 표현된 것이다. ..

IC 5070 : 펠리칸성운 (Pelican Nebula)

Image Credit & Copyright: Roberto Colombari 펠리칸성운은 천천히 그 모습이 바뀌고 있다. 공식적으로 IC 5070으로 등재되어 있는 이 성운은 검은 먼지로 가득차 있는 분자 구름에 의해 훨씬 규모가 큰 북아메리카성운과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펠리칸성운은 별 생성 및 가스 구름의 진화 양상이 왕성하게 나타나고 있어 훨씬 더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사진은 황과 수소, 산소의 복사를 특정한 색깔로 표현한 것으로서 성운 내에서 발생하는 별의 생성 및 가스 구름간의 상호작용을 훨씬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갓 태어난 어린 별로부터 쏟아지는 고에너지 별빛은 사진 우측에 밝은 오렌지 빛으로 보이는 이온화 전선(ionization front)이라 알려진 두..

펠리칸 성운의 먼지 기둥과 제트

Image Credit & Copyright: Larry Van Vleet (LVVASTRO) 펠리칸 성운에서 솟아오르고 있는 어두운 구조물은 무엇일까? 백조자리 방향에서 새의 형상을 보여주는 펠리칸 성운은 새로 탄생한 별들로 수놓아진 공간이기도 하지만 검은 먼지들이 탁하게 들어찬 공간이기도 하다. 연기 알갱이 정도 크기의 먼지 알갱이들은 어린 별의 차가운 대기속에서 형성되며 별폭풍 또는 별의 폭발에 의해 퍼져나간다. 사진 오른쪽, 별에 의해 복사되고 있는 인상적인 허빅 하로 제트는 자신을 품고 있는 1광년 길이의 먼지 기둥을 파괴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이 인상적인 사진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성운 내에서 이온화된 질소, 산소, 황으로부터 복사되는 작은 양의 빛을 강조하기 위해 과학적인 고증을 ..

NGC 7000(북아메리카 성운)과 IC 5070(펠리칸 성운)

여기, 생소한 지역에 익숙한 모양의 천체가 있다. 왼쪽으로 보이는 것은 NGC 7000으로 등재되어 있는 발광성운으로 이 성운은 우리 지구 북아메리카 대륙을 닮은 모습으로 유명한 성운이다. 북아메리카 성운의 오른쪽으로 밝게 빛나는 지역은, 그 외곽선에서 연상되는 모습 때문에 펠리칸 성운으로도 알려져 있는 IC 5070이다. 빛을 차단하고 선 먼지로 이루어진 검은 구름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이 두 개의 빛나는 성운은 1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거리를 고려해 봤을 때 하늘의 4도 영역을 담고 있는 이 사진의 폭은 100광년에 해당한다. 이 장대한 우주의 초상화는 검은 먼지 구조물의 세부 모습과 함께 밝은 이온화 돌출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촬영된 협대역 사진들을 합성한 사진이다. 수소와 황, 산소 원자..

IC 5067

이 드라마틱한 사진에서 두드러진 능선을 만들어내고 있는 구조는 IC 5067로 등재되어 있는 천체이다. 선명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이 천체는 보다 더 큰 규모를 가진, 대중적으로 알려진 이름으로는 펠리칸 성운이라는 발광 성운의 한 부분으로서 능선구조는 펠리칸의 머리부분에서 목부분으로 이어지는 굴곡을 따라 10광년에 걸쳐 뻗어있다. 인위적인 색체를 입힌 이 사진에서 성운의 원자들로부터 복사되어 골고루 퍼져있는 협대역 복사선의 불꽃은 별 생성지역에 대해 허블 우주망원경 사진에서 다루는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색채로 변환되어 있다. 0.5도의 광대역에 담겨있는 차가운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환상적인 구름들은 고온의 무거운 별들로부터 쏟아져나오는 폭풍과 복사에 의해 깎여나가고 있다. 깎여나가고 있는 구름의 부분..

NGC 7000 과 IC 5070

여기 낯선 곳에 우리에게 낯익은 모습의 천체가 있다. 사진 왼편으로 보이는 발광성운은 한편으로는 우리 지구의 북아메리카 대륙을 닮은 모습 때문에 유명한 성운이다. NGC 7000으로 등재되어 있는 북아메리카 성운 오른편으로 조금 흐리게 보이는 성운은 팰리칸을 닮았다 하여 그 이름도 팰리칸 성운으로 명명되었다. 암흑의 흡수성운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이 두개의 성운은 그 너비가 약 50광년이며, 지구로부터 1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멋진사진에는 전면에 밝게 빛나는 전리구름과 어두운 우주먼지의 세세한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어두운 지역에서라면 이 두 개의 성운은 쌍안경으로도 관측 가능한데, 백조자리의 별 데네브의 북동쪽으로 이어진 작은 성운을 찾으면 된다. 이 성운이 수소전리작용을 통해 붉은 빛..

백조 자리

고성능의 카메라나 망원경이 있어야 촬영이 가능하긴 하지만 하늘은 수소로 가득차 있다. 예를 들어 백조자리의 북쪽 지역을 12도 각도로 관측을 한다면 우리 은하 평면을 따라 늘어선 수소 가스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천체망원경으로 촬영한 후 이를 이어 붙어 만든 이 사진은 불타오르는 수소원자로부터 발생한 붉은 색 가시광만을 통과시키는 h-alpha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한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 처리를 통해 백조좌의 알파별이자 북쪽을 가로지르는 머리에 해당하는 밝은 별 데네브만을 사진 상단 중앙에 남기고 다른 수많은 별들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곳에는 눈에띄는 많은 밝은 성운들이 있는데 상단 왼쪽에 NGC 7000(북아메리카 성운, North America Nebula)과 IC 5070(펠리칸 성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