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 14

제임스웹우주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게성운(M1)비교

사진 설명 :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과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사진을 비교한 것으로 왼쪽이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이다. 이제까지 본 적 없는 M1의 세밀한 모습이 이 초신성 잔해의 수수께끼와 같은 역사를 규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황소자리 방향으로 6,500 광년거리에 있는 초신성 잔해, 게성운을 겨냥했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초신성 폭발잔해인 게 성운은 1054년 처음 관측된 이래 초신성의 조건과 행동양상 및 폭발의 여파를 연구하고자 하는 과학자들의 지속적인 주목을 받아왔다. 사진설명 :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촬영한 M1 이 사진은 여러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주황색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이중이온화황을 나타낸다. 파란색은 이온화 철, 밝은 노란색과 초록색은 먼지..

게성운(M1) : 여러 파장을 이용하여 구축한 3차원 영상

CREDITS:NASA, ESA, F. Summers, J. Olmsted, L. Hustak, J. DePasquale, G. Bacon (STScI), N. Wolk (CfA), and R. Hurt (Caltech/IPAC) 동영상1> 이 동영상은 다파장으로 관측된 게성운을 3차원으로 시각화한 영상이다. 게성운은 1054년 폭발이 관측된 별폭발잔해의 아이콘과도 같은 천체이다. 이 동영상은 펄서라고 불리는, 빠르게 회전하는 붕괴된 별의 중심핵이 자리잡고 있는 성운의 중심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 자기발전기로부터 뿜어져나오는 격렬한 복사가 성운 전체를 밝게 빛나게 만든다. 이 동영상은 NASA의 3대 우주망원경인 찬드라X선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 스피처우주망원경의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광범위..

우주의 게

M1으로 등재되어 있는 게성운은 찰스 메시에(Charles Messier)의 그 유명한 목록에 첫번째로 등재되어 있는 천체이다. 찰스 메시에는 혜성이 아닌 천체를 기록할 목적으로 메시에 목록을 만들었다. 오늘날 게성운은 무거운 별이 폭발로 삶을 마감한 이후 팽창하는 파편들로 이루어진 초신성 잔해로 알려져 있다. 인위적인 색깔을 입혀 만들어진 이 독특한 사진은 찬드라 우주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모아 만들어진 것으로 이 우주망원경들은 이 초신성 폭발잔해를 각각 X선(청백색)과 가시광선(보라색), 적외선(분홍색)으로 관측하고 있다. 현대 천문학자들에게 가장 독특한 천체 중 하나로 인정되고 있는 게성운 펄서는 초당 30회의 회전을 하는 중성자별로서 사진 한가운데 밝은 점으로 ..

천체목록상의 1번 천체들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시작되며 모든 목록은 첫번째 목록을 가지고 있다. 이 사진에는 잘 알려진 6개 밤보석 목록에 등장하는 첫번째 천체가 각각 담겨 있다. 상단 왼쪽부터 하단 오른쪽까지는 해당 목록이 발행된 시대순으로 배열하였다. 1774년 발행된, 찰스 메시에 (Charles Messier) 목록에 첫번째로 등재된 천체는 M1이다. 이 유명한 천상의 갑각류는 초신성 폭발잔해인 게 성운이다. 이제는 신판이라 할 수 없는 J.L.E.드레이어(J.L.E. Dreyer)의 신판일반목록은 1888년 발표되었다. 이 목록의 첫번째 천체인 NGC 1은 페가수스자리의 나선은하로서 M1 다음에 등장하고 있다. NGC 1 바로 아래 있는 또다른 나선은하는 NGC 2이다. 그 다음 등장하는 목록은 일반목록으로서, 이 목록의..

M1의 놀라운 팽창

게성운은 찰스 메시에의 유명한 천체목록에 첫번째로 등재되어 있는 성운이다. 오늘날 이 성운은 거대한 질량의 별이 폭발하면서 남긴 팽창구름인 초신성 폭발잔해로 잘 알려져 있다. 게성운의 파괴적인 탄생은 1054년 천문학자들의 목격기록으로 남아 있다. 오늘날 지름 약 10광년까지 팽창한 이 성운은 여전히 초당 1,000 킬로미터의 속도로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십여년 동안 팽창하는 성운의 모습이 멋진 동영상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참고 : https://www.astrobin.com/327338/0/ )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호주의 원격천문대에서 동일한 망원경에 동일한 카메라를 장착하여 팽창하는 성운의 모습이 촬영되었다. 팽창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제작하는데는 총 32시간동안의 노출을 통해 ..

M1

Credit: NASA and ESA Acknowledgment: M. Weisskopf (NASA Marshall Space Flight Center) 허블우주빛통이 촬영한 게성운의 사진에는 오래전 초신성 폭발로 최후를 맞은 죽은 별의 으스스한 불꽃이 담겨있다. 그러나 어리석게 행동하지는 말라. 이 유령과 같이 보이는 천체는 아직도 맥박이 뛰고 있다. 이 성운의 중심에 파묻혀 있는 별은 이 성운이 정확한 주기로 뛰고 있는 심장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 심장은 바로 폭발한 별로부터 남겨진 중심핵이다. 중성자별이라 불리는 이 별은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고 있지만 초고밀도의 구체로 응축되어 있어 수킬로미터 직경 크기의 덩어리가 갖는 강도는 철보다 무려 1천억 배나 더 강력한 수준이다. 아주 작은 이 ..

M1

사진 1> 게성운을 촬영한 많은 사진들이 이 성운의 바깥쪽에 있는 먼지 다발을 주로 촬영함에 반해 이번에 촬영된 사진은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중성자 별을 포함한 게성운의 안쪽을 보여주고 있다. 게성운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중성자별은 사진 가운데 부근에 있는 두 개의 밝은 별 중 오른쪽에 있는 별이다. 일정한 시차를 두고 촬영된 이 사진에는 중심 별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에 있는 물질들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나타나는 미묘한 무지개 색깔이 드러나고 있다. 이 무지개 효과는 장면이 전환될 때마다 나타나는 물질들의 움직임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새로운 사진은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된 초신성 잔해인 게성운(the Crab Nebula)에서 시각적으로 가장 매력적인 부분 중 하나인 이 성운의..

M1

이것은 별이 폭발할 때 남겨진 잔해이다. 게성운은 초신성 폭발 결과 남겨진 신비로운 먼지 다발로 만들어진 천체이다. 이 다발들은 무시무시하게 복잡할 뿐 아니라 원래 초신성 폭발로부터 뿜어져나온 물질들보다 적은 질량을 가진듯이 보이며 폭발로부터 예상되는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에서 3개의 색깔은 각각 과학적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이다. 게성운은 10광년 폭으로 펼쳐져 있다. 이 성운의 한 가운데에는 펄서가 자리잡고 있다. 이 중성자 별은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면서도 그 크기는 작은 도시만한 크기에 지나지 않는다. 이 펄서는 초당 30번 회전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5년 8월 16일 자) http://apod.nasa.g..

M1 : 게 성운

Image Credit & Copyright: Martin Pugh 게 성운은 찰스 메시에가 혜성을 제외한 천체를 목록화한 그의 유명한 목록 상에 첫번째인 M1으로 등록한 천체이다. 사실 게 성운은 무거운 별이 최후의 폭발을 맞으며 발생한 파편으로 구성된 초신성 잔해로 알려져 있으며 이 초신성 폭발은 1054년에 목격된 증언이 남아 있다. 지상에 위치한 망원경의 협대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이 고해상도 사진은 이온화 산소와 수소원자로부터 발생한 복사를 각각 파란색과 붉은색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여전히 팽창이 계속되고 있는 구름 내부의 뒤얽힌 필라멘트들을 볼 수 있게 해주고 있다. 현대 천문학자들에게 가장 매력적인 천체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게 펄서는 초당 30회의 회전을 하고 있는 중성자 별로서 성운..

게 성운

Image Credit: NASA, Chandra X-ray Observatory, SAO, DSS 게 성운을 촬영한 이 흥미로운 광대역 사진의 중심에는 일반 도시 정도 크기에 초당 30회의 회전을 계속하고 있는 중성자별 펄서가 존재하고 있다. 우리 은하의 초신성 잔해중 하나인 게 성운을 촬영한 이 멋진 사진은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데이터와 찬드라 X선 망원경이 촬영한 X선 데이터를 합성한 것이다. 이 사진은 15년동안 고에너지 영역에서 우주를 탐사해온 찬드라 우주망원경을 축하하기 위한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마치 우주의 발전기와 같은 이 펄서는 성운으로부터 뿜어져나오는 X선과 가시광선 복사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으며 대전 입자들을 가속시켜, X선 대역에서 불타오르는 고리와 제트를 만들어내는 극도의 에너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