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2264 6

여우털과 유니콘과 크리스마스트리

다음 세 개 보기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원뿔, 여우털, 크리스마스트리 답은 이들은 모두 외뿔소 자리에 있는 성운이라는 것이다. 사진에 담긴 별생성 구역은 NGC 2264로 등재되어 있다. 이곳은 2700광년 거리에 존재하는 우주가스와 먼지가 뒤범벅이 된 지역이며 갓태어난 별들로부터 발생한 왕성한 에너지의 별빛에 의해 이온화된 붉은색 발광성운들이 검은 성간 먼지구름들과 함께 뒤섞여 있는 지역이다. 뜨겁고 어린 별들 가까이에 바싹 붙은 먼지구름들은 별빛을 반사하면서 푸른색의 반사 성운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사진은 보름달 직경 정도의 폭을 담고 있는데, NGC 2264까지의 거리를 고려했을 때 사진의 폭은 대략 30광년이다. 사진 하단 우측으로 둘둘 감아놓은 털가죽모양의 여우털 성운을 포함하여 그 바로 위에..

원뿔 성운

원뿔 성운이라 불리는 거대한 먼지 기둥에서는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별들의 육아실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원뿔 형상과 기둥들, 장엄하게 흘러나오는 형상들은 갓 태어난 별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고에너지 폭풍에 의해 시달리고 있는 가스와 먼지구름들이다. 그 단적인 예로서 잘 알려진 원뿔 성운은 NGC 2264에 포함되어 있는 밝게 빛나는 우주의 별 생성지역이다. 원뿔 성운의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몇몇 사진들을 확대 합성하여 유례없이 세부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외뿔소자리 방향으로 2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원뿔성운은 대략 7광년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원뿔 성운의 뭉툭한 머리 부분과 그 주변을 촬영한 이 사진의 지름은 대략 2.5광년이다. 이 거리는 태양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이웃 ..

원뿔 성운과 그 주변

이 이상한 모양과 질감이 느껴지는 천체는 원뿔 성운 근처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특이한 형태는 어린 별로부터 분출되는 고에너지 별빛과 고온의 가스에 미세한 성간 먼지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오른쪽 상단에 보이는 가장 밝은 별은 S Mon이라는 별이며 그 바로 아래로 색채와 구조때문에 여우털 성운이라는 별명이 붙은 성운이 위치하고 있다. S Mon을 직접적으로 감싸고 있는 푸른색 불빛은 반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밝은 별빛을 주변에 있는 먼지들이 반사해내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전체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붉은 색 불빛은 단순히 별빛을 반사하는 것 뿐 아니라 별빛에 의해 이온화된 수소가스의 복사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다. S Mon은 NGC 2264로 명명된 산개 성단의 일부이며 이..

NGC 2264

다음 세 개 보기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원뿔, 여우털, 크리스마스 트리 이들은 모두 외뿔소 자리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성운이다. 이 사진은 NGC 2264로 등재되어 있는 별 생성지역을 촬영한 것으로 약 27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우주가스와 먼지가 뒤범벅 된 지역이며 검은 성간 먼지구름들과 새로 탄생한 별에 의해 이온화되어 붉은 색의 복사선을 방출하고 있는 성운이 뒤섞인 지역이다. 반면에 뜨겁고 어린 별들 가까이에 바싹 붙은 먼지구름들은 별빛을 반사하면서 푸른색의 반사 성운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사진의 폭은 보름달의 1.5배에 해당하는 3/4도 영역을 담고 있는데 이는 NGC 2264까지의 거리를 고려했을 때 약 40광년 거리에 해당한다. 사진의 상단 좌측에는 둘둘 감아놓은 털가죽모양의 여우털 ..

원뿔성운(NGC 2264)

붉은 바다에서 치솟아 오르는 괴물의 형상을 한 이 천체는 가스와 우주먼지로 만들어진 기둥이다. 지상에서 관측했을 때, 원뿔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원뿔성운(Cone Nebula)이라 이름붙여진 이 성운은 격렬하게 새로운 별들을 생성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허블 ACS카메라로 촬영된 이 사진은 전체 7광년 길이의 원뿔 성운에 대해 상단 2.5광년 부분을 촬영한 것으로 이는 달까지 2천 3백만번을 왕복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한다. 사진 상단에 갓 만들어진 뜨거운 별로부터 발생한 복사가 수백만년동안 성운을 서서히 침식시키고 있으며 별로부터 뿜어져나온 자외선이 어두운 구름의 모서리를 때리면서 가스를 기둥 주위, 상대적으로 빈 공간으로 이들을 밀어내고 있다. 여기에 더해진 자외선이 수소가스를 불태우면서 이들로부..

여우털 성운

이 '우주의 야수'는 뜨겁고 젊은 별들이 쏟아내는 고에너지의 빛과 폭풍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된 우주먼지와 가스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성운은 그 모양과 눈으로 느껴지는 재질, 그리고 색깔을 더해 여우털 성운(Fox Fur Nebula)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사진의 왼쪽에 푸른 빛은 촬영된 영역의 왼쪽 바로 너머에 위치하고 있는 밝은 별, S Mon 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먼지에 반사되면서 나타나는 것이다. 분홍빛과 갈색빛이 얼룩덜룩하게 섞여 나타나는 지역은 우주먼지와 전리수소가스로부터 복사된 붉은 빛이 섞여 나타나는 것이다. S Mon은 젊은 산개성단인 NGC 2264를 구성하는 별로서 외뿔소 자리 방향으로 25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원뿔 성운(Cone Nebula)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정보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