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뿔성운(NGC 2264)

2009. 8. 15. 02:053. 천문뉴스/ESA 허블

붉은 바다에서 치솟아 오르는 괴물의 형상을 한 이 천체는 가스와 우주먼지로 만들어진 기둥이다.

 

지상에서 관측했을 때, 원뿔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원뿔성운(Cone Nebula)이라 이름붙여진 이 성운은 격렬하게 새로운 별들을 생성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허블 ACS카메라로 촬영된 이 사진은 전체 7광년 길이의 원뿔 성운에 대해 상단 2.5광년 부분을 촬영한 것으로 이는 달까지 2천 3백만번을 왕복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한다.

 

사진 상단에 갓 만들어진 뜨거운 별로부터 발생한 복사가 수백만년동안 성운을 서서히 침식시키고 있으며 별로부터 뿜어져나온 자외선이 어두운 구름의 모서리를 때리면서 가스를 기둥 주위, 상대적으로 빈 공간으로 이들을 밀어내고 있다.

여기에 더해진 자외선이 수소가스를 불태우면서 이들로부터 발생하는 붉은 빛이 기둥 주위를 온통 붉게 물들이고 있는 것이다.

 

동일한 과정이 훨씬 더 소규모 스케일에서 별 하나를 둘러싼 가스에서도 발생하는데 원뿔 성운의 상단 좌측 부분에 활모양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그것이다. 

이전의 허블 관측에서도 이미 포착된 바 있는 이 궁형 구조의 지름은 우리 태양계의 65배에 달한다.


각 별을 감싸고 있는 푸른색과 흰색톤의 빛은 별빛이 우주먼지에 반사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격렬하게 별들을 생성하는 지역은 별과 붉은 광휘가 군데군데 뒤얽혀 있으며 증발하는 가스덩쿨 사이로 훨씬 뒷쪽에 위치한 별들이 흘끗 보이고 있다.

 

수많은 시간이 지나면 원뿔 성운의 가장 고밀도 지역만이 남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 내부에서는 별들과 행성들이 형성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원뿔성운은 외뿔소 자리 방향으로 25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원뿔성운은 1995년 허블망원경이 촬영한 M16 독수리 성운과는 사촌관계에 있다.

두 성운 모두 차가운 가스가 주성분이며, 갓 탄생한 거대한 별로부터 발생한 강렬한 자외선 복사에 의해 침식이 진행되고 있으며 양쪽 모두 다수의 새로운 별들이 탄생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는 천체이다.

 

따라서 천문학자들은 이 기둥들을 새로운 별들을 양육하는 육아실로 여기고 있다.

 

이 사진은 2002년 4월 2일 촬영되었으며,

청색필터와, 근적외선 필터 그리고 알파수소필터로 각각 촬영한 사진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html/heic0206c.html

 

참고 : 원뿔성운을 비롯한 성운에 대한 각종 포스팅은 아래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74

 

원문>

Hubble's newest camera images ghostly star-forming pillar of gas and dust

Resembling a nightmarish beast rearing its head from a crimson sea, this celestial object is actually just a pillar of gas and dust. Called the Cone Nebula (in NGC 2264) - so named because in ground-based images it has a conical shape - this monstrous pillar resides in a turbulent star-forming region. This picture, taken by the newly installed Advanced Camera for Surveys (ACS) aboard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shows the upper 2.5 light-years of the Cone, a height that equals 23 million roundtrips to the Moon. The entire pillar is seven light-years long.

Radiation from hot, young stars (located beyond the top of the image) has slowly eroded the nebula over millions of years. Ultraviolet light heats the edges of the dark cloud, releasing gas into the relatively empty region of surrounding space. There, additional ultraviolet radiation causes the hydrogen gas to glow, which produces the red halo of light seen around the pillar. A similar process occurs on a much smaller scale to gas surrounding a single star, forming the bow-shaped arc seen near the upper left side of the Cone. This arc, seen previously with the Hubble telescope, is 65 tim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our Solar System. The blue-white light from surrounding stars is reflected by dust. Background stars can be seen peeking through the evaporating tendrils of gas, while the turbulent base is pockmarked with stars reddened by dust.

Over time, only the densest regions of the Cone will be left. But inside these regions, stars and planets may form. The Cone Nebula resides 2500 light-years away in the constellation Monoceros.

The Cone is a cousin of the M16 pillars, which the Hubble telescope imaged in 1995. Consisting mainly of cold gas, the pillars in both regions resist being eroded away by the blistering ultraviolet radiation from young, massive stars. Pillars like the Cone and M16 are common in large regions of star birth. Astronomers believe that these pillars may be incubators for developing stars.

The ACS made this observation on 2 April 2002. The colour image is constructed from three separate images taken in blue, near-infrared, and hydrogen-alpha filters.

Image credit: NASA, the ACS Science Team (H. Ford, G. Illingworth, M. Clampin, G. Hartig, T. Allen, K. Anderson, F. Bartko, N. Benitez, J. Blakeslee, R. Bouwens, T. Broadhurst, R. Brown, C. Burrows, D. Campbell, E. Cheng, N. Cross, P. Feldman, M. Franx, D. Golimowski, C. Gronwall, R. Kimble, J. Krist, M. Lesser, D. Magee, A. Martel, W. J. McCann, G. Meurer, G. Miley, M. Postman, P. Rosati, M. Sirianni, W. Sparks, P. Sullivan, H. Tran, Z. Tsvetanov, R. White, and R. Woodruff) and ESA

Credit: NASA, Holland Ford (JHU), the ACS Science Team and ESA

 

'3. 천문뉴스 > ESA 허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수리 성운  (0) 2009.09.01
타란툴라 성운  (0) 2009.08.23
IC 2944의 세커리 글로블(Thackeray's Globules)  (0) 2009.08.12
NGC 2080  (0) 2009.08.12
M51  (0) 2009.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