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agull Nebula 4

바다갈매기성운 (The Seagull Nebula )

광활하게 펼쳐진 불타오르는 가스와 먼지가 지구의 천문학자들에게 새의 모습을 연상시키면서 이로부터 대중적인 이름인 바다 갈매기성운이라는 이름이 만들어졌다. 이 우주의 새는 큰개자리 알파별인 시리우스 자리 방향으로 우리 미리내 평단면을 가로지르는 1.6도 영역에 걸쳐 펼쳐져 있다. 물론 이 지역에는 공식적으로 등재된 또 다른 천체들도 함께 존재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이 NGC 2327로서 새의 머리 부분에 무거운 질량의 별을 품고 있는 소규모 고밀도 발광 지역이 바로 그것이며 이 지역은 앵무새성운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밝은 별들과 거대한 가스와 먼지 구름이 뒤엉켜 있으면서 전리수소의 붉은 빛이 장악하고 있는 이곳은 100광년 이상의 너비로 펼쳐져 있으며 지구로부터는 약 3,800광년 거리에 위치하..

바다갈매기 성운

불타오르는 가스와 먼지의 광활한 영역을 촬영한 이 사진에는 바다갈매기 성운이라는 대중적인 별명이 붙은 새의 형상을 한 천체가 담겨 있다. 새 모습의 이 천체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은 하늘의 1.6도 범위로서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 별 근처에, 우리 은하의 평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사진에는 천체목록에 등재된 다른 천체들도 담겨있다. NGC 2373으로 등재된 소규모 밀집 발광지역의 경우, 새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는 쳔체로서 거대질량의 별을 품고 있는 천체이다. (사진 중앙의 바로 위로 보이는 이 천체는 앵무새 성운이라 불리기도 한다.) 수소원자로부터 발생되는 붉은 빛이 주를 이루고 있는, 밝은 별을 품고 있는 가스와 먼지의 이 복합체는 100광년 이상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이 성운까지..

바다갈매기 성운

불타오르는 가스와 먼지의 광활한 영역을 촬영한 이 사진에는 바다갈매기 성운이라는 대중적인 별명이 붙은 새의 형상을 한 천체가 담겨 있다. 새 모습의 이 천체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은 하늘의 1.6도 범위로서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 별 근처에, 우리 은하의 평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사진에는 천체목록으로 등재된 다른 천체들도 담겨있다. NGC 2373으로 등재된 소규모 밀집 발광지역의 경우, 새의 머리 부분에 위치한 쳔체로서 거대질량의 별을 품고 있는 천체이다. (사진 중앙의 바로 위로 보이는 이 천체는 앵무새 성운이라 불리기도 한다.) 바다갈매기의 날개모양을 이루고 있는 아치는 IC 2177이다. 가스와 먼지가 젊은 별에 의해 전리수소를 형성하면서 붉은 색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이 천체..

바다갈매기 성운

이 사진은 동일한 천체를 DSLR과 ACCD 카메라로 촬영하여 합성한 사진이다. 플로리다 키즈의 겨울밤 별파티에서 동일한 망원경을 사용하여 촬영된 이 사진에는 시의적절하게도 바다갈매기 성운이 나타나 있다. 4x3도 영역의 하늘을 찰영한 이 사진에는 큰개자리의 알파성인 시리우스 방향 근처로 우리 은하 평면을 가로지르며 놓여있는 성운의 모습이 담겨있다. 광활한 영역을 촬영한 사진이다보니 여러 천체들이 여기에 담겨 있는데, 우선 눈에 띄는 천체 NGC 2327은 이 사진에서 바닷갈매기의 머리 부분(중앙 상단)에 위치한 천체로서 거대한 질량의 별을 포함하고 있는 발광지역이며, 바다갈매기의 양 날개 형상을 하고 있는 아치 지역은 IC 2177이다. 전리수소의 영향으로 붉은 색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250광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