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itch Head Nebula 4

리겔과 마녀머리성운(IC 2118)

어둠속에서 무시무시한 얼굴이 빛을 낸다. 구부러진 옆모습이 마녀머리성운이라는 대중적인 이름을 떠올리게 만드는 이 성운은 별빛에 의해 빛을 내고 있다.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 매혹적인 사진 속 마녀는 오리온자리의 초거성인 리겔을 응시하고 있는듯한 인상을 준다. IC 2118이라는 등재명을 가지고 있는 마녀머리성운은 50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리겔의 별빛을 반사하는 별사이우주공간의 먼지 알갱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마녀머리성운 및 리겔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먼지의 푸른 빛은 단순히 리겔의 강력한 푸른색 별빛뿐만 아니라 각 먼지알갱이들이 붉은색보다 푸른색을 좀더 효과적으로 산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동일한 물리적 과정이 지구의 한낮에도 나타나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다. 물론 지구 대기에서 ..

IC 2118 : 마녀머리성운

Image Credit & Copyright: Jeff Signorelli 두 배, 두 배, 고난도 재앙도, 불길아 타올라라 가마솥아 끓어라... 아마도 맥베드는 마녀머리성운의 조언을 받았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무시무시한 형태의 반사성운인 이 우주의 쪼그랑 할멈은 800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악령의 얼굴은 사진의 오른쪽 화각 바깥에 자리잡고 있는 오리온 자리의 밝은 별 리겔을 노려보는 듯이 보인다. 공식적인 이름으로 IC 2118로 알려져 있는 이 별사이 공간의 가스와 먼지구름은 거의 70광년의 너비로 펼쳐져 있으며 성운을 구성하고 있는 먼지알갱이들이 리겔의 별빛을 반사해내고 있다. 이 성운의 색깔은 단순히 별의 강력한 푸른 빛 때문에 만들어진 것은 아니며 먼지 알갱이들이 붉은 색보다 파란..

NGC 1788

이 사진에는 성운이 가득 들어차 있는 오리온 자리의 외곽에 위치하고 있는 성간 가스와 먼지의 아름다운 조화를 보여주고 있다. 밝은 별 리겔과 오리온 자리 베타별의 빛을 반사해내며 불쑥 튀어나와 있는 마녀머리성운의 푸른색 턱수염이 왼쪽 상단으로 보인다. 별들이 뿜어내는 적외선 복사에 의해 전리된 수소가스의 붉은 빛을 따라 늘어선 구레나룻과 같은 천체가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는 NGC 1788처럼 먼지가 가득낀 반사성운 같은 작은 규모의 성운들로 구성된, 수치스러운 외모로 악명높은 마녀머리 성운에 연결된 듯 보인다. 오리온 자리의 밝은 별들로부터 쏟아져 나오는 강력한 별폭풍이 NGC 1788을 만들어 냈으며 또한 그 내부에서 새로운 별들의 생성을 촉발시키는 듯 보인다. NGC 1788이 자리잡고 있는 위치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