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 2 : 진보의 착한아이 컴플렉스

2009. 6. 5. 00:494. 끄저기/끄저기

 

                               (5월 29일 노무현 대통령님을 떠나보내며...) 

 

                               우선 하나 분명히 해야 할 것이 있다.

                               사상의 스펙트럼을 놓고 볼 때, 민주당은 진보세력이 아니다.

                               스스로 얘기하는 중도세력도 아니고, 우파 그러니까 보수세력이라고 보면 맞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사회가 정상적으로 좌파와 우파가 서로 견제하고

                               서로 정권을 교체해가며 진행되는 사회라면

                               민주당과 민주노동당(또는 진보신당)이 서로 권력을 다투는 사회이어야 한다.

 

                               그러나 누구나 알고 있듯이 우리나라의 정치지도는 이런 정상적인 형태가 아니다.

                               가장 큰 집단을 이루고 있는 한 켠에 양아치들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아치들과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양아치들이  사회의 주요 세력이 될 수 있으란큼 민도의 수준도 높지 않아

                               말로서 사실을 전하고 납득시키기가 어렵다.

 

                               이러다보니 양아치의 대척점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양아치들과 다르다는 점을

                               말이나 - 들어야 할 사람들이 들을 의사가 없고 - 정책으로 - 그게 뭔지도 모르고 - 표현하기 어려워질 수밖에 없고

                               결국,  그 차별성이라는 것을 '도덕성'으로 부각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일단 시민들이 '청백리'라는게 뭔지는 알고, 그게 필요하다는 것도 알고 있다보니,

                               '진보'와 '보수'로 표방되어야 할 정치세력의 구분이

                               '청렴'과 '부패'라는 엉뚱한 기준에 의해 나눠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소위 진보연 하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착한 아이 컴플렉스'에 짓눌려 살고 있다.

 

                               노 대통령님을 떠나보내는 자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만장을 들고 추모행렬을 이어가던 많은 사람들 중에 한 분이

                               남대문 근처에서 '이.명.박.을.처.단.하.자.' 라고 한음절한음절 또박또박 외치며 걷기 시작했다.

                               그런데 반응이, 왠걸.

                               물론 몇몇 사람들 복창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아저씨 오늘은 하지 마세요~~~' 라는 어떤 여자의 목소리가 들린 후

                               복창이 사라졌다.

                               그러나 그 아저씨는 혼자 계속 외쳤고, 급기야는 상대방도 소리가 높아졌다.

                               "조용히 하라니까!!!!"

                               "상중에 와서 고함치는 사람이 어딨어!!!"

 

                               사실 그건 어느정도 사리에 맞게 들리긴 했지만,

                               대통령께서 그렇게 어처구니 없이 돌아가신 상황에서

                               그리고 그게 무엇때문인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상황에서

                               상중의 예의라는 게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 싶다.

 

                               나는 행사 후 쓰레기를 치우는 시민들, 여고생들의 모습이 그닥 자랑스럽지 않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회란,

                               모든 사람들이 쓰레기를 아무데나 버리지 않는 사회 - 이게 자유로운 사회일까? - 도 아니고,

                               자신이 버린 쓰레기를 자신이 치우는 사회 - 이것도 그닥~ 자유로운 사회라고는... - 도 아니고,

                               누군가 쓰레기를 버리더라도 쓰레기를 치우는 역할을 맡고 있는 사람들이

                               확실히 쓰레기를 치우는 사회이다.

 

                               사람은 누구나 한 번쯤은 쓰레기를 버리고 싶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구태여 법이나 도덕으로 옭아맬 필요도 없어보이고,

                               만일 그 사회가 직업으로 사람을 비하하지 않고, 맡은 바 책임을 다하는 것이 미덕임을 가르치는 정상적인 사회라면

                               환경 미화원 분들도 깔끔한 청소를 하실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번 사건으로 시민들이 받은 스트레스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쓰레기를 버리면 어떻고, 고함을 지르면 어떤가.

 

                               김대중 대통령님이나 노무현 대통령님께서 통치했던 10년 동안

                               이 두 분은 양아치 세력들로부터 끊임없이 도덕성에 흠집을 내려는 공격을 당해왔다.

                               이건 사실 승산이 결정된 싸움이다.

                               도덕성은 그게 사실이 아니라 하더라도 시비만으로도 타격을 입게 되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정치인에 대한 기부가 부족하고,

                               의정활동에 지원되는 세비가 부족한 - 이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나는 정말 정상적인 국회의원 한 명이 충실한 의정활동을 해야 한다고 가정한다면

                               현재의 세비는 충분치 않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 즉, 한 마디로 정치를 바라보는

                               민도의 인프라 자체가 성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덕성을 내세우는 것은 그 자체가 좋은 전략이 아닌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50보 100보는 다음과 같은 의미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쓰인다.

                               첫째. 많이 해쳐드신 나리께서 조금 해쳐드신 분과의 차별성을 무마하고자 할 때.

                               둘째. 이를 통해 많이 해쳐드신 나리께서 더더욱 많이 해쳐드시고자 하는 명분이 필요할 때.

                               셋째. 역시 난 사람은 해쳐먹어도 탁월하게 해쳐드신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을 때. 

 

                               도덕성?

                               다음에 진짜 '보수세력'이나 '진보세력'이 정권을 잡는다면,

                               도덕성 얘기는 일체 꺼내지 말자. 깨끗한 사람이라고 얘기하기도 말자.

                               왜냐고? 그건 기본이니까.

                               그건 저는 '허파로 숨을 쉽니다'라고 얘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합리적인 사람들끼리의 대화라면 구태여 이런것을 강조하지 않아도 충분하다.

 

 

                               .................................................................

 

 

                               왜 그렇게 행동해야 하는지는 생각있는 사람은 동감하고 있으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