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집성운 (the Honeycomb Nebula)

2017. 10. 7. 11:413. 천문뉴스/ESA 허블

Credit: ESA/Hubble & NASA,  Acknowledgements: Judy Schmidt ( Geckzilla )

 

16만 광년 거리에 있는 대마젤란은하는 미리내와 가장 가까운 위성은하 중 하나이다. 

이 은하는 또한 미리내 이웃은하들 중 가장 거대하고 가장 강렬한 별생성구역 중 하나인 타란툴라 성운을 품고 있는 은하이기도 하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은 이 성운의 이름인 거미를 떠올릴법한 거미줄과 같이 얇은 먼지다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하단 왼쪽에 마치 거품들이 쌓여 있는듯한 흥미로운 구조는 벌집성운(the Honeycomb Nebula)라 불리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벌집성운은 천문학자들이 ESO의 신기술망원경을 이용하여 초신성 SN1987A를 촬영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초신성 SN1987A는 최근 400년 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발생한 초신성이다. 

 

벌집성운의 독특한 거품구조는 1990년대 초 발견이래 천문학자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다른 성운과는 확연히 다른 이 독특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어왔다. 

 

2010년, 일군의 천문학자들이 이 성운을 보다 향상된 데이터 분석기법과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연구한 결과 이 성운의 독특한 외형은 두 개 초신성의 폭발이 서로 영향을 끼친 결과라고 결론지었다. 

보다 나중에 발생한 초신성 폭발이 이전에 발생한 폭발 물질이 만든 구조를 관통하며 팽창하고 있다고 결론내린 것이다. 

 

특별히 인상적인 이 성운의 외양은 그저 우리가 바라보는 각도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다면 벌집을 이루고 있는 원형 구조는 전혀 보이지 않게 될 것이다. 

 

출처 : 유럽우주국(ESA) 허블 Picture of the Week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potw1740a/

         

참고 : 벌집성운을 비롯한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74

 

원문>

Bubbles in space

At a distance of just 160 000 light-years, the Large Magellanic Cloud (LMC) is one of the Milky Way’s closest companions. It is also home to one of the largest and most intense regions of active star formation known to exist anywhere in our galactic neighbourhood — the Tarantula Nebula. This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image shows both the spindly, spidery filaments of gas that inspired the region’s name, and the intriguing structure of stacked “bubbles” that forms the so-called Honeycomb Nebula (to the lower left).

The Honeycomb Nebula was found serendipitously by astronomers using ESO’s New Technology Telescope to image the nearby SN1987A, the closest observed supernova to Earth for over 400 years. The nebula’s strange bubble-like shape has baffled astronomers since its discovery in the early 1990s.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its unique structure, some more exotic than others.

In 2010, a group of astronomers studied the nebula and, using advanced data analysis and computer modelling,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s unique appearance is likely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two supernovae — a more recent explosion has pierced the expanding shell of material created by an older explosion. The nebula’s especially striking appearance is suspected to be due to a fortuitous viewing angle; the honeycomb effect of the circular shells may not be visible from another viewpoint.

 

 

Credit:

 

ESA/Hubble & NASA
Acknowledgements: Judy Schmidt (Geckzilla)

 

'3. 천문뉴스 > ESA 허블'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O 553-46  (0) 2017.10.11
NGC 4490 : 폭발적으로 별들이 탄생하고 있는 은하  (0) 2017.10.08
ESO 376-16  (0) 2017.10.06
WASP-12b : 칠흑같이 검은 외계행성  (0) 2017.09.25
NGC 5398  (0) 2017.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