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05)
-
외계행성 HD 209458b
이 내용은 2007년 1월 31일 발표된 뉴스입니다. 2007년 4월 24일 허블발사 17주년을 기념하여 허블 사이트에서 발표된 '허블을 통한 과학적 발견'에 포함된 뉴스이기도 합니다. 해당 내용은 11월 17일 '허블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 -4-'라는 제목으로 게시되어 있으니 참고하십시오. 그림 설명1> 이 그림은 HD 209458b로 이름붙여진 목성크기의 외계 행성을 그린 상상도이다. 그러나 이 행성은 목성과 달리 그 대기가 너무 뜨거워서 외부로 증발해 버리고 있다. 이 행성이 공전하고 있는 별의 별빛이 이 행성의 대기를 뜨겁게 만들고 있으며 그 결과 마치 보일러에서 증기가 발생되어 나오는 것처럼 그 대기가 우주 공간으로 뿜어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HD 209458b 는 자신의 별을 3...
2008.01.05 -
Abell S0740 은하단의 타원은하 ESO 325-G004
여기 등장하는 사진의 가로 넓이는 38만 5천 광년에 해당함. 사진 1> 이 사진은 센타우루스 별자리 방향으로 4억 5천만 광년 떨어진 Abell S0740은하단의 다양한 은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 은하단의 중앙에 거대한 타원은하 ESO 325-G004가 아스라히 보인다. 이 은하의 질량은 태양의..
2008.01.05 -
1월의 별자리
첨부 파일은 허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1월의 천체'에 대한 동영상 파일입니다. 동영상이 플래쉬(.swf)로 되어 있어서, 동영상 모드로 업로드가 안되네요. 그래서 그냥 첨부파일로 올립니다.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GOM으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1월, 겨울의 별자리는 '겨울의 대..
2008.01.05 -
NGC 2440
사진의 가로 넓이는 1.3광년에 해당함. 허블 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이 사진은 우리의 태양과 같은 별의 '마지막 환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별은 일생을 마칠 때 핵주위에 남아 있는 마지막 껍질들을 모두 뿜어내게 된다. 최후를 마치는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자외선이 이들 파편들을 불..
2008.01.03 -
초신성 SN 1987A의 폭발 장면
개인적으로 허블 사이트의 뉴스를 접하면서 가장 인상깊은 뉴스였던 이 내용은 초신성 폭발에 대한 뉴스로서 대상 천체는 SN 1987A로 명명된 초신성입니다. 이와 동일한 내용이 2007년 11월 18일 올린 "허블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 -8-"항목으로 간단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과연 과학적 발견으로 꼽힐만한 내용인 듯 합니다. 초신성의 폭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별의 일생에 대한 지식이 선행되는게 좋습니다. 관련된 내용은 본 블로그 '코스모스' 폴더의 '구글SKY가 안내하는 별의 일생' 이나 '별의 일생과 초신성 폭발'이라는 게시글이 있으니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별자리 : 황새치 자리(Dorado) 대마젤란성운 사진 설명 1> 20년 전 천문학자들은 400년 이상 밝은 폭발이 지속되고..
2008.01.03 -
목성 극지방의 오로라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2월 28일 목성을 근접비행한 뉴호라이즌호의 도움으로, 2월 17일과 21일까지 촬영한 목성의 가시광선 및 자외선 영상이다. 사진에서 네모박스안의 부분부분은 허블ACS 자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것이다. 자외선 이미지를 통해 목성의 극지방에 항상 나타나고 있는 오로라를 볼 수 있다. 이 오로라들은 지구의 북극에서 볼 수 있는 오로라보다 10배에서 100배 밝은 빛을 띄고 있다. 이 오로라들은 태양에서 발생한 대전입자들이 목성의 강력한 자기장에 충돌하면서 자기장 극 근처의 대기 상층부에서 형광가스가 발생하면서 생성되는 것이다. 목성의 적도 부근 사진은 2007년 2월 17일 광대역행성형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된 것이다. 이 사진을 통해 목성의 주요 대기에 존재하는 구름의 구조를 알 ..
2008.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