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2)
-
M77 : 초거대질량 블랙홀의 주변을 서로 반대로 도는 가스원반
그림 1> 이 그림은 두꺼운 도넛 모양의 가스먼지 구름에 숨겨져 있는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을 그린 상상화이다. ALMA 관측을 통해 은하 중심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고 있는 가스를 발견했다. 이 그림에서 각 색깔은 가스의 움직임을 표현하고 있다. 파란색은 우리쪽으로 다가오는 물질을, 빨간색은 우리쪽에서 멀어지는 물질을 표시한 것이다. NGC 1068이라는 등재명을 가진 은하의 한복판에는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두꺼운 도넛 모양의 구름 속에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이 숨겨져 있다. 천문학자들이 ALMA를 이용하여 이 도넛 모양의 구름을 좀더 세밀하게 연구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예상 밖의 수확을 얻을 수 있었다. 초기 우주에서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이 어떻게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단서를 발견한 ..
2019.10.22 -
칠레일식여행 10. D-1 라실라 답사
제가 지금 칠레에 있는 이유, 그것은 오직 딱 하나, 2019년 7월 2일 개기일식을 라실라 천문대에서 맞이하기 위해서입니다. 오늘은 2019년 7월 1일, 그 목적을 이루기 하루 전 날입니다. 따라서 오늘 하루는 라실라 답사에 완전히 사용될 예정입니다. 칠레로 향하는 비행기가 한참 대서양 상공을 날고 있었던 지난 6월 28일, ESO로부터 IMPORTANT라는 말머리를 달은 메일이 한통 왔습니다. 라실라 천문대의 접근 경로를 안내하는 메일이었죠. 일식 당일 라실라 천문대로 들어오는 경로에 아타카마 주정부에서 주관하는 일식 행사가 열릴 것이고 따라서 교통체증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러이러한 경로로 우회하여 들어오라는 메일이었습니다. 사진 1> ESO로부터 온 우회경로 안내 메일 아타카마 주정부의 일식..
2019.10.19 -
어마어마한 속도로 회전하는 슈퍼나선은하들.
사진 1> 첫번째 줄에 있는 세 개의 은하들은 그 질량이 우리은하 미리내의 몇 배 수준에 해당하는 은하들로서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이다. 아래 줄에 있는 세 개의 은하들은 첫번째 줄의 은하들보다 훨씬 더 무거운 질량을 가진 "슈퍼나선은하"라는 타이틀이 붙은 은하들로서 지상에서 수행된 슬론디지털온하늘탐사를 통해 촬영된 것이다. 슈퍼나선은하의 질량은 대개 우리 은하 미리내 질량의 10배에서 20배에 해당한다. 하단 우측에 있는 2MFGC 08638 은하는 지금까지 알려진 은하들 중 가장 무거운 질량을 가지고 있는 은하이다. 이 은하의 질량은 암흑물질헤일로까지 포함하여 태양 질량의 최소 40조배 이상이다.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들의 외곽에서 나타나는 회전율을 측정하여 이들을 품고 있는 암흑물질이 얼마나 되..
2019.10.19 -
2I/보리소프(2I/Borisov) 혜성 : 머나먼 우주에서 찾아온 손님
사진1> 2019년 10월 12일, 허블우주망원경이 지구로부터 4억 2천만 광년 거리에 있는 2I/보리소프(2I/Borisov) 혜성을 촬영하였다. 이 혜성은 우리 태양계가 아닌 외부 행성계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 10월 12일, 허블우주망원경이 우주공간에서 찾아온 손님의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손님의 이름은 2I/보리소프(2I/Borisov)혜성이다. 이 혜성은 우리 태양계가 아닌 다른 행성계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별사이 우주공간에서 유입된 혜성을 관측한 사진으로서는 이번 사진이 가장 높은 해상도를 자랑하는 사진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을 보면 고체의 얼음 핵 주위로 집중된 먼지를 볼 수 있다. 2I/보리소프 혜성은 별사이 우주공간에서 우리 태양계로 유입된 천체로는..
2019.10.19 -
미리내의 가스 흐름을 조사한 결과 원인을 알 수 없는 추가유입가스가 발견되었다.
도표 1> 이 도표는 미리내 원반 위아래 방향으로 나타나는 가스의 재사용양상을 도식화한 것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은 감도높은 우주기원분광측정기(Cosmic Origins Spectrograph, COS)를 이용하여 은하원반에서 떠오르거나 은하원반으로 추락하는 가스구름을 관측할 수 있다. 머나먼 우주에서 도달하는 퀘이사의 빛이 이 가스구름을 통과하면 이 가스구름에 대한 정보와 움직임을 알 수 있는 분광신호를 남긴다. 퀘이사의 빛이 은하원반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가스구름을 통과하면 적색편이가 나타난다. 반면 은하원반으로 추락하고 있는 가스구름을 통과하면 청색편이가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 허블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로부터 유출되는 가스와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었는데 이로부터 그 원천을..
2019.10.14 -
우주의 프리첼 - 갓 태어난 이중별을 품고 있는 가스와 먼지 고리
사진 1> 아타카마 거대 밀리미터/서브빌리미터 배열(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이하 ALMA)을 이용하여 두 개의 별주위원반에 대한 유례없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다. 이 원반들은 어린 별들을 품고 있으며 이 별들은 주위의 원반으로부터 물질을 공급받으며 몸집을 키워나가고 있다. 먼지 다발들이 만들어내고 있는 복잡한 나선형 구조가 마치 프리첼의 고리 모양을 생각나게 만든다. 이번 관측은 갓 태어난 별들의 초기 상태와 이중별계가 만들어지는 조건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천문학자들이 ALMA 를 이용하여 몸집을 키우고 있는 어린 별들을 품고 있는 두 개의 원반을 최상의 해상도로 촬영해냈다. 이 어린별들은 가스와 먼지 다발로 이루어진 ..
2019.10.13